우리나라수자원의전망과대책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서론

Ⅱ본론

1. 세계의 수자원 현황
1.1 지구의 물부존량
1.2 지구촌의 물사정

2. 우리나라의 물사정
2.1 우리나라 수자원의 현황
2.2 우리나라 수자원의 전망

3. 물관리 종합 대책
3.1 수자원 확보와 공급대책
3.2 댐건설 중장기 대책
3.3 광역 및 지방 상수도 시설 확충계획
3.4 중수도 제도의 도입
3.5 해수의 담수화

4. 물 절약의 생활화
4.1 우리나라의 물소비 실태
4.2 우리나라의 물값
4.3 정부의 물값 현실화 방안
4.4 물절약의 효과
4.5 물절약형 기기
4.6 물절약의 방법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입장에서는 수도요금을 절감 할 수 있게 된다.
우리의 장기 수요전망에 의하면 2001년에 연간 93억톤, 2011년에는 연간 119억톤의 생공 용수가 필요한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이를 10%만 절약한다면 2001년에는 9억톤/년, 2011년에는 12 억톤/년의 용수가 절약된다.
4.5 물 절약형 기기
(1) 절약형 수도꼭지
기존의 욕실 또는 부엌의 수도꼭지에서는 분당 11~27리터의 물을 사용하고 있는데, 잠금 장치나 조절장치를 부착시켜 냉, 온수의 혼합량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물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기를 사용하면 분당 10리터 미만으로 조절할 수 있다.
(2) 샤워용수
샤워용수는 날씨, 기온, 개인의 성격 그리고 물 절약의식에 따라 사용량의 차이가 심하다. 절수형 샤워기의 사용으로 개인적 차이에서 오는 편차를 줄일 수 있다.
현재 보급된 샤워꼭지는 대략 분당 17~19리터 정도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미국에서 시판되고 있는 물 절약용 샤워꼭지는 5~10리터/분 정도의 물을 사용하는 절약형으로 10가지 이상이 소개되고 있다.
(3) 수세식 화장실 변기
최근에 보급되고 있는 수세식 화장실 변기의 용량은 1회 사용시 13~19리터가 대부분이다. 화장실 사용횟수에 대한 94년 건설기술연구원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남자는 대변이 1일 평균 1.09회, 소변은 6.58회이고 여자의 경우 대변 0.77회, 소변 5.17회로 나타났다.
절수형 변기를 사용할 경우 1회 사용량이 평균 6리터 정도이므로 1회 사용시 7리터의 물을 절약할 수 있고 4인 가족 기준 1일 190리터, 연간 40,000리터의 물을 절약 할 수 있다.
(4) 물 절약형 수도기기 보급 확대
절수형 수도기기 설치의무화 현황
연면적 100㎡이상의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20세대이상의 공동주택을 건축하는 경우에 절수형 변기 사용 의무화한다. 건축물 및 주택에 설치하는 변기는 수세식으로 하고 수세장치는 사용 목적에 따라 수량이 조절되는 절수식으로 설치(건축법 제58조)
절약형 수도기기 보급 확대
절약형 수도기기 설치대상 확대
절약형 수도기기 설치대상 건축물을 현행 연면적 100㎡ 이상의 건축물 및 2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에서 신축하는 모든 건축물 및 주택으로 단계적 확대
4.6 물 절약의 방법
(1) 욕실에서
1) 화장실 변기의 누수를 없앨 것 : 물감 등을 이용한 테스트로 누수를 확인한다.
2) 변기에 담배꽁초나 이물질을 넣지 말 것 : 변기의 고유용도 이외의 물을 낭비하므로 약 18~ 25리터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
3) 변기물통에 모래나 자갈을 채운 플라스틱 물병을 넣는다. 가구당 약 35리터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
4) 샤워시간을 줄이면 약 18~35리터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
5) 절약형 샤워꼭지나 유량 조절기가 부착된 것을 설치한다.
6) 목욕 시 욕조의 물을 틀어놓고 하지 말고 샤워기로 적당량만 사용하도록 한다.
7) 양치할 때에는 물을 틀어놓고 하지 말고 칫솔에 물을 적신 후 컵을 이용한다.
8) 면도 시에도 물을 틀어놓고 하지 말고 세면기에 약간만 받아 놓고 면도기를 씻으면 물을 절약 할 수 있다.
9) 수도꼭지나 관의 누수를 철저히 점검. 수도꼭지의 와셔가 조금만 낡아도 하루 수십에서 수백 리터의 물이 낭비된다.
(2) 부엌이나 세탁실에서
1) 자동식기 세척기는 모아서 한꺼번에 쓴다.
2) 세탁기도 빨래를 많이 모아서 한꺼번에 한다.
3) 설거지를 할 때 물을 틀어놓고 하지 말고 받아서 한다.
4) 채소나 과일 씻을 때도 물을 틀어놓고 하지 말고 받아서 한다.
5) 먹는 물은 냉장고에 넣어두고 먹는 것이 수도물을 받아먹는 것보다 훨씬 절약할 수 있다.
6) 누수는 하루 종일 쉬지 않고 진행되므로 수도꼭지 등의 누수가 있는지를 수시로 점검해야 다.
(3) 옥외에서
1) 잔디의 물주기는 정확한 시기를 맞춰서 필요한 때만 준다.
2) 물주기를 할 때는 한번에 충분히 하여 뿌리까지 적셔줌. 물주기가 충분하지 않으면 빨리 물이 증발하고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3) 물주기는 날이 시원할 때 하는 것이 좋다. 이른 아침에는 증발방지는 물론 곰팡이 균등의 번식 도 방지할 수 있다.
4) 물주기를 할 때는 정확한 위치에다 물을 줄 것이며, 도랑 등으로 물이 흘러낭비되지 않게 해야 하고 특히 바람 부는 날에는 물을 주지 않아야 한다.
5) 식재는 물을 적게 먹는 것이 좋다.
6) 나무나 큰 식물에는 윗덮개를 하여 수분의 증발을 막을 것. 덮개를 하면 잡초의 번식을 막을 수 있다.
7) 보도 등을 청소할 때는 호스를 이용한 물청소를 하지 말고 비로 쓰는 것이 좋다.
8) 세차 시에는 가급적 호스를 쓰지 말고 비누로 닦아 마지막에만 물로 헹군다.
9) 아이들에게 호스나 스프링쿨러 등으로 장난치지 못하게 해야 한다.
10) 옥외의 누수는 잘 보이지 않으므로 간과하기 쉬우나 호스관, 꼭지, 연결부 등의 누수를 철저히 막는 게 중요하다.
Ⅲ 결 론
인구의 증가와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로 인한 용수 부족난 및 하천 수질의 악화로 수량과 수질 양면에서 「물의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물의 위기시대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급격한 물수요의 증가로 인하여 용수수요가 년 평균 1.2 %증가되어 오는 2011년에는 20억 톤의 물 부족으로 전국적으로 심각한 물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 바, 이에 대한 수자원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된다. 해안 도서지역이나 광역 상수도의 혜택이 곤란한 지역에서는 지하수 개발, 해수 담수화, 인공강우, 저류댐 등의 대체 수자원의 개발에 전력을 다하여야 할 것이며, 중수도시설 설치 이용을 적극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부존 수자원의 량이 절대 부족한 관계로 한정된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물 절약을 유도하기 위한 적극적인 물 수요관리정책 수립을 추진하여야 한다. 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통한 용수공급 능력의 확보와 절수를 생활화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대 국민홍보가 요망된다.
※참고문헌
세계의 물환경 신광출판사 조윤승, 황규호공저 1998
수계환경오염개론 동아기술 이근광편저 1997
http://webserver.yosu.ac.kr
http://www.moct.g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1.05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