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와 실버산업 & 실버산업의 문제점과 대책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복지와 실버산업 & 실버산업의 문제점과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노인복지란
1. 노인복지의 개념
2. 노인복지의 의의

Ⅱ.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정책
1. 노인문제
2.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복지정책

Ⅲ. 외국과 우리나라의 노인복지 비교
1. 외국의 노인복지 (-미국,일본)
2. 우리 나라의 노인복지

Ⅳ. 실버 산업
1. 실버 산업의 정의
2. 실버 산업의 등장배경
3. 실버 산업의 분류
4. 실버 타운의 선택시 유의점
5. 미국의 실버산업
6. 한국의 실버산업
7. 실버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Ⅴ. 실버 산업의 예
1. 노인 교육 프로그램의 예
2. 실버용품


Ⅵ. 우리나라의 실버산업의 문제점

Ⅶ.한국 실버산업의 전망과 활성화방안

결 론

본문내용

허가 제품들의 양산이 필요하다.
4. 실버산업의 활성화 방안
보다 근본적으로 실버산업이 안고 있는 문제들, 즉 해결해야할 과제는 크게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는데, 첫째는 실버산업과 함께 노인복지를 공급하는 여러 주체들 간의 역할의 한계와 범위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둘째는 실버산업시장의 공급자인 기업의 실버산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즉 기업 내에서 실버산업에 대한 수요를 제대로 다룰 수 있는 조직이나 인재가 없거나 부족한 실정인 데다가 실버산업에 대한 기업의 경영 철학이라든지, 장기 개발 전략이 없는 실정이다.
1) 중앙지방정부와 민간의 역할 분담
중앙정부는 노인 의료 및 복지체계의 정비, 필요인력의 기준 제시, 비용보조라는 역할을 하고, 지방정부는 그 지역의 특성에 맞는 노인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의 개발, 지역단위 계획의 수립 운영 등을 맡아서 실질적으로 각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아래 노인의료 및 복지제도가 운영되어야 한다.
즉, 정부에서는 고령노인에 대한 최저생활의 보장에 목표를 두고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사회적 최저기준 이하의 욕구나 전체노인을 위한 최소한의 예방적보편적 욕구를 중심으로 공공부문인 비영리산업을 분담해야 한다.
민간에서는 고령노인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목표로 하고 중산층 이상을 대상으로 사회적 최저기준이상의 고급화된 욕구나 문화욕구, 다양화되고 개인화 된 욕구를 중심으로 민간부문을 영리산업으로 분담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2) 실버산업의 경영철학 확보와 전문인력의 확보
우리나라의 기업이 실버산업에 참여하는 경영이념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인식의 전환이 경영 관리 층에서 일어나야 한다. 즉, 종전까지만 해도 기업은 기업활동에 전념하고 그 성과를 세금으로 납부함으로서 간접적으로 복지향상에 기여하면 된다는 식의 인식이 팽배했었다. 그러나 고령사회에서는 기업이 갖고 있는 힘을 직접적으로 복지수준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사회적 책임의 일부라는 사고방식으로 전환되어야한다. 동시에 보유하고있는 다양한 경영자원을 적극적으로 복지분야에 활용해야한다.
또한, 다양한 노인 소비자의 욕구를 제대로 읽고 그 욕구를 충족시키는 상품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주도할 수 있는 선도적인 실버전문인력이 확보되어야한다. 아름다운 금수강산이 있는 우리나라에서 태어나 다시 이 땅에 빈손으로 돌아 가야하는 운명적인 삶을 살고 있는 우리들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실버산업에 모든 혼을 불어넣는 정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렇게 할 때 우리 모두는 실버산업의 수혜자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다.
결 론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노인문제는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과거에도 있어왔던 이런 문제는 복지제도의 등장으로 절대적 수준은 다소 향상되었을지 모르나 노인인구의 증가, 사회 및 가족구조의 변화 등으로 더더욱 다양해지고 서로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 다. 그럼으로써 미래의 노후세대는 노후를 위한 다양한 연금으로 경제적 준비를 하고 의 료. 보건기술의 발전으로 소득 및 건강은 어느 정도 안정권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정이나 사회에서 의 역할상실 문제는 기본적으로 존재하나 상실된 역할을 대처할 자원 봉사 등 긍정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지금보다는 나아질 것으로 추측해본다.
앞으로의 노인세대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 것은 긴 여가시간과 부양. 보호에 대한 문제일 것이다.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길어진 여가시간을 보낼 수 있는 각자 나름대 로의 다양한 취미활동, 교육, 사회봉사활동 등이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부양. 보호문제는 노인 부양부담이 늘어나면서 노인 단독세대도 증가하고 있어 점점 더 심각한 노인문제로 나타날 것이다. 특히 고령후기 노인을 위한 장기요양 보호문제는 국가적 차 원에서 큰 관심을 갖고 준비하여야 할 것이다. 전문노인병원 및 병동, 노인요양시설이 증설되어야 하고 집안에서 생활하는 노인을 위한 재가 노인복지 사업의 확충 및 내실화, 전문 인력의 양성등 많은 과제가 있다.
- 참 고 자 료 -
◈채수길 (1977) 노인복지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학위논문
◈최병완 (1982) 한국 노인복지 정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학위논문
◈이가옥 (1993) 노인복지정책 개발을 위한 연구. 서울보건사회 연구원.
◈의료보험관리공단 (1991) 주요국의 노인복지 정책. 의료보험관리공단.
◈김성순 (1981) 노인복지론. 이우출판사
◈http://welfare.or.kr/law/aged.htm
◈http://galaxy.channeli.net/jkyman/
◈http://www.inpia.net/welfare/old_person/wf_old_person_understanding.ht ml
◈http://evergreen.skhu.ac.kr/~oskworker/book/노인복지혁명.htm
◈http://www.sabok.org/soc/노인복지/노인01.htm
◈http://bonghwa.co.kr/main/sinmun/gisa/2000/343/34313.html
◈http://snowblue.sookmyung.ac.kr/silver/
◈http://members.tripod.lycos.co.kr/satchmo/
◈http://www.kihasa.re.kr
◈http://silverville.co.kr/a/200/30/30-1.htm
◈실버넷 http://rich.chonnam.ac.kr/journal/jnal.htm
◈실버 라이프 http://my.netian.com/~cssilver/
◈성애 노인 요양원 http://www.seongaewon.com/
강수지(1996),『실버시대의 실버산업』, 동인.
김익기 외(1999),『한국노인의 삶』, 미래인력연구센터.
김태현(1997),『노년학』, 교문사.
김현주 외(1992),『실버산업의 현황과 전망』, 삼성경제.
김용만(1997),『마케팅』, 무역경영사.
노영섭(1994),『건강백세와 실버산업』, 아카데미서적.
문현상 외(1996),『실버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유기상(1997),『실버산업을 잡아라』, 글사랑.
이가옥 외(1994),『노인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한국보건사회연구원.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52페이지
  • 등록일2006.01.1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7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