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진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현실 비판의식을 중심으로

I.서론

II.오영진의 생애와 사상

III.작품 분석
1.인간 허욕에 대한 비판의식
2.정치 비판의식
3.문명 비판의식

IV.오영진 희곡의 풍자성

V.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단순히 풍자 대상의 부정성을 혐오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나은 세계를 추구하는 정신을 담고 있다. 이처럼 작가가 바라는 보다 나은 세계로의 희망은 작품을 통해 드러나기 마련인데, 하나는 죄 지은 자의 징벌을 통해 그 우행의 결과를 보여주며 작품내에서 작가가 바라는 세계가 부정적 세계를 대체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부정적 세계의 비난을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대립되는 긍정적 세계를 상정하게 하는 경우이다. 오영진 희곡 작품들은 주동적 인물이 긍정적 인물이든, 부정적 인물이든 불행한 결말을 맞게 되는 하강적 구조를 하고 있다. 이러한 하강구조를 작가가 풍자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구분하면 맹진사, 이중생 등과 같은 부정적 인물들에 대한 징벌과 이창수, 박보패 등과 같이 순수하고 무고한 이들의 희생의 구조로 크게 나뉘어 진다 할 수 있다.
오영진 희곡의 맹진사나 이중생 등은 자신의 우행과 악덕에 의해 조롱되어지고 결국 불행한 결말을 맞게 된다. 즉 대상의 인물들은 악하거나 우습게 그려짐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대상들보다 다소 우월하게 느끼게 해주고 거리감을 갖고 판단하게 해준다. 결말에 이르면 작가의 도덕적 판단이라 할 수 있는 대상의 불행에 대해 작가의 판단을 공유하게 된다.
<해녀 뭍에 오르다>, <정직한 사기한> 등에서 보여지는 또 하나의 풍자적 구조는 순수하고 무고한 인물들의 희생을 통해 인간의 순수함을 파괴하는 사회의 왜곡과 모순을 풍자하고자 한다. 즉 작품의 외적 구조는 한 인간의 불행이라는 하강적 구조를 띠지만 작가는 그것을 통해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간접적으로 비판하며 인간의 순수함을 옹호하고 있다. 오영진은 순수한 인물들의 불행에 연민을 느끼게 함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폭로하고자 하는 사회의 악덕을 직접 대면하게하고 그가 지나쳐 온 자신의 인생에서 당연히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해 알도록한다. 즉 드라마 내에서 그 해결이 제시되기보다는 관객의 삶으로 갈등이 확대된다.
이러한 두 개의 풍자 구조를 통해 오영진은 그가 처한 사회 현실이 어떻게 인간 본연의 삶을 훼손하는가를 폭로하고 그 해결을 모색하고 있다. 오영진은 후기의 반일, 반공이라는 문제를 피해의식을 가지고 조급하게 다루면서 문학적으로 승화시키지 못한 점은 인정되나 그가 지속적으로 추구해 온 인간과 사회의 상관관계에 대한 탐구와 비판 정신은 높이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V. 결론
오영진은 시대가 안고 있는 현실문제를 그대로 작품화시켜 그 해결을 모색한 작가이다. 생애와 사상을 배경으로 그의 작품을 살펴보면,인간의 허욕을 풍자한 작품에 <맹진사댁 경사>와 <정직한 사기한> 등이 있고, 현실정치를 비판한 작품으로는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를 들 수 있다. 문명비판적 의식에 관해서는 <해녀 뭍에 오르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론에서와 같이 오영진은 사회 현실에 대한 저항적,비판적 자세를 견지하며 사회와 인간의 삶에 내재한 모순과 부조리를 폭로하고 그 해결을 모색한 작가이다. 이러한 오영진의 희곡문학은 조소와 미소를 머금고 사회 현실을 풍자로서 증언하고 있다. 이점이 암울한 현실을 감상적이고 비극적으로 그려내던 당대의 다른 희곡작가들을 뛰어넘고 있는 것이며, 진정한 풍자가 진정한 리얼리즘으로 나아가는 지점이 된다.
# 참고문헌
한옥근, 『오영진 연구』, 시인사, 1993
유민영, 「오영진론」 上, 드라마 3호, 1972.3
유민영, 「오영진론」 下, 현대 드라마 제1호, 1973
박매리, 「오영진 희곡연구」, 성신여대 대학원, 1986
손화숙, 「오영진의 희곡에 나타난 현실 인식 연구」, 고려대 대학원, 1995
권태호, 「오영진론」, 전북대 대학원, 1980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1.1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