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사회복지의 역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 사회복지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17세기 경건주의와 기독교사회복지

Ⅱ. 18세기 계몽운동기의 기독교사회복지
1. 존 웨슬리(John Wesley, 1703-1791)의 사회적 공헌
2. 감옥개량운동

Ⅲ. 19세기의 기독교사회복지
1. 영국구빈법의 개정 : 개정구빈법 제정
2. 자선조직화 운동(Charity Organization Society)
3. 인보사업운동(Settlement movement)
4. 아동복리운동
5. 여성봉사활동

Ⅳ. 사회선교운동

Ⅴ. 20세기의 기독교 사회복지 - 사회복음운동을 중심으로

Ⅵ. 한국 기독교 사회복지의 역사적 조명
1. 교회와 사회복지와의 관계 및 기독교 사회복지의 역할
2. 기독교사회복지 발전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역사적 조명

본문내용

정권과 1988년 노태우씨의 제 6공화국 5년, 그리고 1933년 문민정부가 등장할 때까지의 12년간이다.
전두환 정권은 국가의 안보, 안정, 질서의 중요성을 계속 강조하였고, 국민대중의 저항과 민주운동 세력이 비약적으로 확대되어 가는 시기였다. 이 시기는 선진조국 창조의 불가결한 조건으로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총량적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권력형 부조리, 정경유착에 의한 조직적 부정부패 등으로 지금까지의 경제개발 우선주의자들에 대한 비판이 일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시기 가치관의 변화, 핵가족화의 심화, 취업여성의 증가, 노인인구의 증가, 청소년비행 및 범죄의 증가, 도시 빈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의 심화, 노동자, 농민의 문제, 장애인문제, 약물중독 및 남용문제 등이 이전시대와는 판이한 형태로 나타남으로써 전체 사회는 더 한층 불안하였고 독재 군부의 통일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짐으로써 사회는 불안하고 긴장했다.
ⅱ. 일반적인 사회복지의 실태
첫째, 복지사회 건설은 생활보호법의 개선 과 영세민의 대책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전 국민 의료보험의 실시, 국민연금과 최저임금제를 실시했다.
세 번째, 이 시기 사회복지관계법에 있어서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많은 법률들이 대폭 수정되고 심신장애인복지법, 노인복지법이 새로 제정됨으로써 복지5법시대로 접어들었다.
네 번째, 이 시기부터 우리나라에서 역사상 처음으로 국민복직증진재책의 일환으로 대도시 저소득층의 200가구 이상 밀집지역 동사무소에 7급 지방별정직 사회복지전무요원을 배치하기 시작했다.
다섯 번째, 제 5공화국 후반부터는 지금까지 한국의 사회복지서비스를 주도해오던 시설수용보호에서 크게 탈피하여 지역복지와 재가복지의 새로운 사상이 도입되었다.
제 6공화국의 변화를 살펴보자면,
첫째, 1989년 지방자치법이 부활되고 지방의회가 되살아남에 따라 지금까지의 중앙정부 주도형의 사회복지실천에서 지방분권의 복지시대가 열리기 시작했다.
두 번째, 1983년 개정 사회복지사업법에 사회복지관 사업이 제도화된 후 6년만인 1989년 사회복지관 설치 및 운영규정이 보건사회부령으로 제정되어 이후 지역사회의 사회복지서비스를 주도할 종합사회복지관 시대가 시작되게 되었다.
세 번째, 탁아사업이 크게 부각되었다.
네 번째, 장애인복지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높아졌다.
다섯 번째,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대기업이 사회복지 지원재단을 설치하여 사회복지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현대그룹의 아산사회복지재단과 삼성복지재단, 럭키금성복지재단 등이 그 예이다.
여섯 번째, 시설복지사업의 종류와 서비스 내용이 크게 변화되었다. 즉 영유아시설이 크게 감소되고 탁아시설, 장애인시설, 정신요양시설, 노인 시설등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일곱 번째, 위에 이야기된 것 이외 국민연금과 의료보험이 확대되었고 사회복지전문요원의 법적 지위가 확보되었으며 지역사회봉사센터가 설치되는 등 사회복지의 선진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ⅲ. 산업화, 도시화시대에 있어서 기독교사회복지
1980년대 이후부터는 한국 기독교계에는 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각성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주로 공단지역과 도시빈민지역을 중심으로 민중교회가 출현하고 민중 신학이라는 독특하고도 한국적인 신학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다수의 보수적인 교회들은 사회적인 변화에 대한 관심보다는 교회자체의 확장에 몰두했다.
이 시기 기독교가 전개하고 있는 사회복지활동들을 분야별로 요약,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대 정부에서는 새롭게 신설되는 저소득층 아파트지역에 지역복지관과 재가복지를 전국적으로 확대해갔다. 정부는 종교단체와 교회로 하여금 이러한 지역사회복지관의 위탁운영을 적극 권유하였고 이러한 위탁 운영형 복지참여는 더욱 확대되어 오늘에까지 이르게 된다.
둘째, 경제적 평등화와 통일, 환경, 정치, 경제 등의 폭넓은 시민운동들은 시민단체위주로 흘러감에 따라 교회의 역할이 많이 축소되기 시작한다.
셋째, 한국어린이재단과 기독교 아동복리회 등은 그 활동을 KBS 사랑의 리퀘스트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소년소녀가정과 불치의 병마와 싸우는 가난하고 외로운 사람들을 돕고 있다.
네 번째, 충현교회, 사랑의 교회, 소망교회 등 큰 교회가 중심이 되어서 교육봉사, 의료봉사, 지역복지관 사업, 어린이 탁아사업, 노인요양원 등 다양한 사회복지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또한 사회로부터 소외된 장애인복지사업을 조직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다섯 번째, 노인문제에 대한 한국사회의 관심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대부분의 큰 교회들은 노인대학을 운영하기에 이른다. 뿐만 아니라 노인휴양소, 건강지원서비스, 상담서비스, 호스피스 등 다각적인 서비스를 실천하고 있다.
여섯 번째, 청소년의 가출, 청소년의 범죄, 미혼모, 학교폭력문제 등에 교회가 적극 참여하게 된다. 부스러기선교회, YMCA, 한국기독교장로회 등이 주최가 되어 청소년 쉼터 운동을 전개하고 있고 매매춘 여성을 위해서도 두레방, 다비타의 집, 참사랑쉼터, 막달레아의 집, 사마리아의 집 등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 우리나라에서는 자원봉사활동이 전 국민의 운동체제로 발전되고 있지만 그 가운데서도 가장 알찬 활동을 전개하는 곳이 기독교 단체나 교회가 중심이 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것 같다.
여덟 번째, 1980년대와 1990년대 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사회복지에 대한 기독교계의 대학과 연구가 크게 확대되었다.
이상과 같이 오늘날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사회복지와 기독교주체의 사회복지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우리나라 전 영역의 사회복지분야에 기독교, 혹은 교회가 침투되어 사회복지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참고문헌]
기독교사회복지론(1998), 김기원, 대학출판사
사회복지개론(2001), 김상균 외, 나남출판
사회복지실천기술론(2001), 이영분 외, 동인
논문) 한국 기독교사회복지의 역사적 조명, 김만두
사회복지역사와 철학(2002), 함세남 외, 학지사
현대사회복지개론(2001), 김만두 외, 홍익재
기독교사회복지학(1998), 김장대, 도서출판 진흥
서울 YMCA 홈페이지(www.ymca.or.kr)
김상태, 한국사요론, 백록출판사,1986
한국 YWCA 홈페이지(www.ywca.or.kr)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01.21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3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