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테소리 교육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몬테소리 교육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방법
3. 연구개요

II. Montessori의 교육관
1. Montessori의 생애와 교육사
2. Montessori 아동관
3. Montessori의 발달관
4. Montessori의 교육관

III. Montessori 교육관 비판적 고찰
1. Montessori의 교육원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Montessori의 영역별 교육론 비판적 고찰

IV.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이론과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Kilpatrick과 Elkind의 관점에서 타당성이 있는가를 검토해 보았다. 이들의 관점은 Montessori가 의도했던 아동의 초기교육에 대한 방법적 측면을 사회교육적 측면에서 인식하려 했다는 것이며, Montessori의 관점과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의 주장은 서로 타당한 논의가 있지만, Montessori가 의도했던, 관점과는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즉, Montessori의 교육 목적은 아동의 잠재력이 충분히 발휘 되도록 돕는 것이었다. 아동의 잠재력이 개발되기 위해서는 아동의 신체활동을 통해서 신체운동 기술만 발달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키고 정서적으로도 성장하며 인지적 발달도 도모하게 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아동을 교육하는데는 어는 한 영역의 교육내용만이 아니라, 모든 영역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총체적 관점에서 교육내용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Montessori가 연구한 교육법은 오늘날 교육철학계에서는 직관적 관찰에 기초를 둔 새로운 교육철학을 시도하였다고 말한다. 그의 교육철학은 루소(Jean Jacques Rousseau), 페스탈로치(Johann Heinrich Pestolossi) 및 프뢰벨(Friedrich Froebel)의 전통에 입각하고 있고, 이들은 아동의 생득적 잠재능력과 자유와 사랑과 환경적 조건에 있어서의 그 개발능력을 강조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Montessori의 교육법이 최근에 우리 나라 초기 교육에 각광을 받고 있다. 많은 교육행정가와 교육자들은 전통적인 학교체제에서 새로운 교육방법과 체계를 원만하게 되면서, 직관적 관찰에 기초한 교육 방법에 관심이 모여진 것이다. 그리하여 Monterssori 교육법은 방법적 측면에서 분명 매력적이고, 초기교육에 관심이 가져질 여러 감각운동 훈련을 통하여 읽고 쓰고 셈하는 기본적인 학습을 위한 기술도 터득하게 한다는 것은 우리 교육에는 새로운 방향이 되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Montessori 교육법을 재 도입하는데 있어서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들이 있다. 즉 Montessori 교육법의 지속적인 발전, 개혁, 평가를 저하할 수 있는 일종의 맹신에 빠질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흥미있고, 가치있는 교구와 교육방법을 Montessori가 고안한 것은 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한 아동을 위한 실제적 적용이라는 점은 높이 평가할 수 있지만, 그것이 교구로서 완벽한 역할은 아니라는 것이다. 아무 것도 주어지지 않았던 시기와 Montessori의 교구의 시기를 보면, 또 다른 측면에서는 Montessori 교육방법을 형식적인 교육으로서의 찬반론이 있을 것이다. 아동에게 교구를 제시해 주지 않는다고 해서, 그 아동이 무익하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기에 맞는 적절한 교구를 제시해 주는 것이 유익하다고 한다면,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른 기본적인 것으로 출발하여 아동들에게 적절한 방법 및 자료들을 제시하고 계속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반면 다양한 자료들을 준비화된 통로로 일률적인 방법으로 모든 아동에게 적용시킬 위험성이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정해진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성취해야 한다는 것은 재검토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 아동과 아동, 아동과 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과 미술, 음악 등 심미적, 정의적인 측면에 대한 강조도 필요하다.
결국, Montessori는 관찰을 통해 아동의 집중현상을 발견했고, 아동의 집중현상은 자연성에 따라 그의 본성의 방향으로 성장하기 위한 아동의 몰두 및 움직임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때에 아동의 내부에서는 주제와 객체의 통합이 일어나며, 의미의 정상화 현상이 일어난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정상화 된 아동은 자유와 독창성, 자발성, 침착, 질서감이 있으며, 안정과 평화를 사랑하는 마음이 생기고 있는 것도 발견했다. 그러나 Montessori는 이러한 현상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준비된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아동의 성장을 돕는 데에서만 이루어진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하여 Montessori의 교육방법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아동의 잠재능력을 자유롭게 신장시키도록 돕는 교구의 제공이며, 아동의 교구를 연결 지어 주는 교사의 태도이다. Montessori 교사 양성과정에서는 현재 강조되고 있는 사회적 발달 영역에서의 활동을 도입하려는 움직임들이 활발하다. 물론 우리는 우리의 현실에 맞고, 또 그녀가 하고자 했던 교육의 본질을 이해하여 하나의 방법적 측면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을 말하고 싶다.
Montessori 교육을 막연하게 답습함으로써 우연한 교육적 효과를 얻으려 한다는 것은 우리가 주의해야할 사항으로 지적하고 싶다. 아동교육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가고 있는 현 교육시점에서 Montessori가 시도한 방법적인 측면처럼 이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육성하기 위한 철저한 연구적 자세가 필요하고, 그것이 교육의 근본적 목적에 부합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따라서 교사로서 우리의 자세는 아동의 흥미의 관심에 의한 학습방법을 모색해야 하겠지만, 아동의 흥미와 상관없는 분야에 대해서도 학습되어야할 사항이라면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측면을 향한 새롭고 다양한 방법적 시도로 접근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김옥련(1993). 유아교육사. 정민사.
박리나외(1991). Montessori 교육과정. 서울: 예쁜 튼튼사.
박성은(2001). Montessori 유아교육의 철학적 이론과 실제. 창지사.
이순형, 권미경(1992). Montessori 유아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이연섭(1997). 잘못된 교육. 원미사.
이홍우(1997). 윤리학과 교육. 교육과학사.
이홍우(1996).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김남균(1998). Montessori 교육 사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조은영(2001). Montessori의 아동관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최양자(2001). Montessori의 유아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동남보건대학.
  • 가격2,8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6.01.2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6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