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소설의 주변 문예 양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 소설의 주변 문예 양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 제기

2. 설화(說話)
⑴ 설화와 소설의 비교
⑵ 소설의 근원으로서 설화
⑶ 구조의 유형과 공통성
⑷ 양식적 상호 영향
⑸ 설화의 소설화 과정
⑹ 신화, 전설, 민담의 소설화 과정

3. 전(傳)
⑴ 좌구명의 전체
⑵ 서사문학으로서의 전의 출현
⑶ 역사적 변모 과정
⑷ 전의 소설화 과정
⑸ 전이 고소설화 된 이유
⑹ 전과 고소설의 비교
⑺ 전의 형식적 변모
⑻ 장르상의 관계
⑼ 형식상의 관계
⑽ 내용상의 관계

4. 야담(野談)
⑴ 야담이란?
⑵ 유몽인의 어우야담(於于野談)
⑶ 3대 야담집
⑷ 야담의 소설화 과정

5. 판소리
⑴ 판소리의 기원
⑵ 형성된 시기
⑶ 판소리 사설의 특징
⑷ 판소리의 발생
⑸ 판소리와 고소설의 비교
⑹ 판소리의 소설화 과정(판소리계 소설의 형성)
⑺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선후 관계

본문내용

측면에서 본다면 판소리의 사설은 근원 설화나 문장체 소설에서 연원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판소리가 설화, 고소설과 같은 이야기 문학 전통의 계승·발전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오랜 옛날부터 존재했던 서사 양식의 주류는 설화이다. 설화는 후대로 내려오면서 소재가 다양하면서도 재미있는 이야기를 요구하는 민중들이 문학적 요구에 의하여 다양한 소재를 취하여 이야기를 재미있게 꾸며야 하고 그것은 음성의 변화, 표정, 몸짓 등을 상상하여 효과적으로 구연하여야 한다. 이러한 일을 잘 하는 사람은 소속 집단으로부터 이야기를 잘하는 이야기꾼으로 꼽혀 환영을 받고 인기를 끌었다. 조선 후기에는 그 나름대로 이야기를 잘하여 자신이 속한 집단 내에서 오락저인 기능을 담당하였던 강담사(講談師), 이야기책을 청중에게 낭독해 주는 강독사(講讀師)가 있었다 강담사와 강독사의 구연을 통하여 설화나 소설의 이야기를 듣던 청중들은 이들의 구연과는 다른 것을 요구하게 되었는데 이에 부응하여 나타난 것이 이야기를 노래로 부르는 강창사(講唱師) 즉, 판소리 광대들이다. 광대들은 이야기 문학에 대한 민중의 새로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설화나 고소설에서 소재를 취하여 이야기를 구성한 다음 그것을 전부터 있었던 소학지희(笑謔之戱)나 무가·무악에서 음악적 요소와 연희적 요소를 가져다가 결합하여 노래로 불렀던 것이다. 그런데 이야기를 노래로만 부른 것이 아니고, 창과 아니리를 섞어가며 불렀고, 몸짓 연기인 너름새 또는 발림도 하였다.
㈏ 민속학적 측면
판소리가 무가·제의에서 기원되었다는 것인데, 그 사설과 연창형태, 담당계층의 유사성에 근거를 두고 있다. 판소리 사설과 서사무가는 모두 노래로 불려지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일치된다. 따라서 둘은 서로 다른 형태로 이행되기도 하였는데, 판소리 <심청가>가 심청굿에서 불려지는 것과 같은 것이 그 좋은 예이다. 연희 형태를 보면 무가는 구송창(口誦唱)과 연희창(演戱唱) 형태로 구분된다. 구송창은 판소리의 학습과정에서 볼 수 있는데, 이는 초기 판소리의 구연형태라고 할 수 있다. 연희창은 현재 행해지는 판소리의 연창 형태와 비슷하다. 무가의 반주자와 판소리의 고수의 기능 또한 비슷하며 무가를 부르는 무당의 동작 역시 광대의 발림과 비슷하다. 또 부를 때에 말과 노래가 교체되는 것 역시 무가와 판소리가 같다. 판소리 광대는 대체로 전라도의 단골 무가에서 나왔다. 출신 지역이나 신분이 다양하게 된 것은 나중의 일인 것이다.
⑸ 판소리와 고소설의 비교
구분
공통점
차이점
판소리
서사성, 형식성, 개방성
현장성(청중이나 독자의 수준이나 취향 분위기를 중시)
주된 향유 계층이 서민층
음악성·연극성 중시
시가체, 대화·동작에 치중 극적 요소가 많고 희극적
소설
산문체 상태 묘사에 치중
㈎ 판소리계 소설은 문장체 서술이 상대적으로 길다.
- 판소리는 창이 되고, 소설은 읽혀졌다.
국문소설가 판소리가 양식적으로 정착한 때는 17∼18세기로 비슷하고 수용계층이 같아지면서 많은 차이점을 보이지 않으며, 판소리의 열두 마당 중에서 소설로 읽혀진 것들이 생명력이 더 많음을 보아, 독자와 청자들의 이해와 요구에 의해 형성·발달을 같이 한 문학이라 볼 수 있다.
⑹ 판소리의 소설화 과정(판소리계 소설의 형성)
소설 창작자는 한 작품이 글을 아는 독자들에게 읽혀지거나 전문적 비전문적인 강독사들에 의하여 낭송·구연되는 동안에 보인 독자와 청중들의 반응을 보고, 이를 다시 필사하거나 판본·활자본으로 간행할 때 그에 맞도록 첨삭·보완하고 윤색하였다. 또 그들은 당시에 널리 서민층의 사랑을 받고 있는 판소리를 수용하여 새로운 소설로 정착시키기도 하고 기존의 작품을 개작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판소리계 소설이 형성되었다.
춘향가 - 춘향전
심청가 - 심청전(심청의 집안이 양반으로 격상하는 내용변화)
흥부가 - 흥부전
수궁가 - 토끼전(계층간의 갈등보다는 골계적인 요소를 강조하며, 별주부의 충을 강조)
적벽가 - 화용도, 적벽대전(정치지도자 풍자에서 영둥들의 이야기 첨가)
변강쇠가 - 사설로 남음
⑺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선후 관계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선후 관계에 관하여 많은 논의가 있었는데, 이것은 근원설화를 바탕을 소설이 먼저 형성되고 그 뒤에 판소리가 형성되었다는 소설 선행설과, 근원 설화에서 판소리가 형성되고 그 뒤에 소설이 형성되었다는 판소리 선행설로 요약된다. 김태준은 옛날 이야기책, 소설이 광대들에 의하여 판소리로 개작되어 부려졌다는 것으로 소설 선생설을 주장하였다. 정노식은 <춘향전>이 무녀의 굿에서 광대의 창극조로 변천하고 이것이 어느 문호의 손에 의해 소설화되고 그 뒤 많은 사람의 손에서 부연되어 오늘읜 걸작 <춘향전>이 완성된 것이라 하였다.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선후 관계에 관한 논의는 판소리계 소설의 원작자를 누구로 보느냐 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소홀히 할 수 없다. 판소리가 선행한다고 볼 경우, 판소리가 독창성을 갖게 되고 소설은 단지 판소리 사설을 정착시켜 정리한 것이 되고 만다. 반대로 소설이 선행한다고 볼 경우, 판소리는 단지 소설을 각색한 것이 되어 광대들은 소설을 연희하는 배우로서의 역할을 하는 데 그친다. 판소리 선행설에서는 판소리 창자인 광대를 작자로 보게 되고, 소설 선행설에서는 소설의 작자를 따로 인정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참고문헌>
김광순(2004), 『한국고전문학사의 쟁점』, 새문사 ; 서울
김태준(1993), 「고소설과 인접 문예양식」, 『고소설사의 제문제』, 집문당 ; 서울
소인호(2001), 『고소설사의 전개와 서사문학』, 아세아문화사 ; 서울
신월균(1993), 「야담, 소화의 소설적 변모 과정」, 『고소설사의 제문제』, 집문당 ; 서울
유영대(1993), 「판소리의 소설적 전개」, 『고소설사의 제문제』, 집문당 ; 서울
임동철(1997),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 연구』, 민속원 ; 서울
조동일(1994),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 서울
조희웅(1995), 「설화와 소설」, 『한국서사문학의 연구Ⅰ』, 중앙문화사 ; 서울
최운식(1995),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형성 및 선후관계」, 『한국고소설연구』, 계명문화사 ; 서울

키워드

고전소설,   문예,   문예양식,   판소리,   ,   설화,   야담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2.06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4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