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디아코니아적 섬김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디아코니아적 섬김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환경문제의 현주소 : 환경이 어디까지 왔는가?

Ⅲ. 환경문제의 원인

Ⅳ. 해결 방안 : 디아코니아적인 섬김

Ⅴ. 나가는 말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계속되는 지구 온난화와 핵의 위협은 그 어디에도 이 위기를 피할 곳이 없다는 인식을 더해주고 있을 뿐이다. 이런 시점에서 본고는 환경에 대한 디아코니아적인 섬김이 가능할 것인지를 연구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는 현재 환경의 문제가 어디까지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환경문제의 원인을 크게 2가지로 구분하여 생각해 보았다. 하나는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사상적인 배경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다른 하나는 현대 사회의 일반적인 현상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디아코니아적인 섬김의 방향에서 환경문제를 어떻게 해결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환경문제가 잘못된 가치관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본고는 자연을 이용의 대상이 아니라 공존의 대상으로 보는 인식의 전환을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창조신앙의 회복을 통해서 인간 중심적인 세계관을 탈피하고 하나님 중심의 세계관을 가져야 한다고도 하였다. 이어서 본고는 창조 세계에 대한 인간의 책임성을 청지기 의식이라는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창조자로서 하나님은 우주전체의 근원과 유지자이며 창조세계를 사랑한다. 이제는 환경문제에 대해서 교회가 관심을 가지고 디아코니아적인 섬김으로 회복하려는 노력을 시도해야 할 때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는 JPIC의 글을 인용하는 것으로 본고를 마무리 하고자 한다. 하나님의 창조가 회복되는 그날을 기대한다.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창조된 사람들을 창조하고 지탱하는 하나님의 사랑을 본받는 종들로서 창조세계를 돌보고 창조세계와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특별한 책임을 지니고 있다는 성서의 가르침을 받아들인다. … 그러므로 살아있는 창조세계의 일원이며 그리스도의 계약 공동체의 일원, 하나님의 온전한 공동사역자가 되기 위하여 우리는 도덕적 책임을 가지고 미래의 세대들의 권리를 존중하고 하나님께 대한 창조세계의 내적 가치를 위해서 그리고 정의가 실현되고 유지되기 위해서 창조세계의 온전성이 유지되도록 일하는 데 헌신한다. 박종화 편, 『기사연무크 2』(서울:민중사, 1990), p. 167.
Ⅶ. 참고문헌
김균진, 『생태학의 위기와 시학』,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1.
김영한 외, 『21세기의 생명문화와 기독교』, 서울:쿰란출판사, 2000.
김중기, 『신앙과 윤리』, 서울:종로서적, 1987.
맹욜길, 『현대사회와 생명윤리』, 서울:쿰란출판사, 1993.
맹용길, 『자연환경과 윤리』, 서울:쿨란출판사, 1994.
박종화 편, 『기사연무크 2』(서울:민중사, 1990), p. 167.
이삼열,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 서울:한울, 1992.
제임스 A. 내쉬, 이문균 역, 『기독교 생태윤리』,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조용훈, 『기독교 환경윤리의 실천과제』,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7.
조용훈, 『동서양의 자연관과 기독교 환경윤리』, 서울:대한기독교서회, 2002.
http://my.netian.com/~ykbh
http://kr.dic.yahoo.com/search/enc/result.html?pk=20281300

추천자료

  • 가격4,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3.20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5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