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의 종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취의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환자의 의식이 흐려지거나 긴장하지 않는다. 불안해 하는 환자에게는 barbiturate 를 소량 줄 수 있으며, 안정시켜서 수술하는 동안 잠을 자게 할 수 있다.
금식하지 않은 환자에게도 시행할 수 있다. 구토하는 경우에는 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깨어 있기 때문이다.
④ 단점 : 하지의 소동맥 이완과 운동신경 마비에 따른 정맥 환류의 감소로 혈액이 정체되며, 순환의 억제가 나타날 수 있다.(정맥 환류를 도와주기 위해 마취 시행후 머리 쪽을 약간 낮추어 주는 체위를 취해준다.) 급격한 체위변경은 혈압 강하를 초래한다.
⑤ 시행상 주의점
척추마취를 위한 천자는 3째와 4째 요추사이(L3 ~ L4) 혹은 4째와 5째 요추사이(L4 ~ L5)에서 시행하는데 그 이유는 척수가 제2요추(L2)에서 끝나므로 척수를 다칠 위험이 없기 때문이다. 주사바늘은 가능한 한 가는 것을 이용하며 천자시에는 측위를 취한다.
천자 후 stylet를 뽑아 뇌척수액의 유출이 확인되면 국소마취제를 0.5 ml/sec의 속도로 주입하며, 주입 개시 때에 0.1 ml 정도의 뇌척수액을 주사기로 뽑아보며 지주막 하강에 국소마취제가 정확하게 주입되는지를확인해야 한다. 척추 천자후 stylet를 뽑았을 때 혈성 뇌척수액(bloody spinal fluid)이 나오면 소량의 뇌척수액을 더 유출시킨 후 stylet을 다시 넣고 1분간 기다린후 다시 stylet을 뽑아본다. 이때 뇌척수액이 나오면 괘찮으나 역시 bloody spinal fluid가 나오면 다시 천자 부위를 옮긴다.
천자부위에는 gauze를 대며 앙와위(dorsal position)를 취해주며 이때 환자가 체위를 급격히 변화시키거나, 앉아 있거나 일어서지 않도록 해야한다.
Lidocaine은 1 ~ 3분, dibucaine는 10 ~ 15분 사이에 마취효과가 나타난다.
3) 척추마취의 합병증과 간호
합 병 증
원 인
치 료
예 방
저혈압
(Hypotension)
혈관운동 신경의 마비 혹은 마취 유도 직후 보통 나타날 수 있다.
산소흡입
혈관자극제
ephedrine 혹은 Methoxamine(vasoxyl) IV
Trendelenburg체위
(마취유도 10~20분후 마취정도가 고정된 후)
울혈성 심부전증 환자가 아닌 경우에는 차단시키기전 정맥수액 50~800ml를 투여한다.
오심과 구토
주로 복부수술 중에 생길 수 있는데 이유는 복강내 여러 구조들을 잡아당기거나 저혈압 때문이다.
Ephedrine
항구토제
산소
정맥수액
복대를 단단하게 감아준다.
두통
(심한 두통이 수일 혹은 수주일간 지속)
뇌척수액이 천자한 부위로 흘러나오므로
1. 굵은 척추침을 사용
2. 탈수상태
수액투여
진통제
심한 경우에는 환자의 혈액 10ml로 구멍을 막는다.
아주 가느다란 척추침을 사용하므로 두통을 0.9%감소시킴.
척추마취, 시행전, 후에 정맥내 수액이나 구강으로 수분을 섭취
환자를 조용하고 편안하게 해준다.
호흡마비
과량의 마취제 사용,
농축된 마취제를 투여시 흉곽이나 뇌척수에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마취기계나 소생기를 사용하여 인공호흡을 시킨다.
마취의 정도가 고정되기 전에 trendelenburg 체위를 취하지 않음.
6. 경막외 마취(Epidural anesthesia)
경막외강(epidural space)에 국소마취제를 주입하여 척수신경의 전근,후근을 차단한는 방법
1) 경막외강의 해부학적 구조
경막외강은 척추강을 둘러싸고 있는 골막과 경막사이의 공간으로 대개 두개골 아래 대후두공에서 시작하여 천골공에 걸쳐 위치하며 척수신경(spinal nerve)은 추간공(intervertebral foramina)과 천골공(sacral foramina)을 통과하고 있다.
경막외강에는 척수신경은 물론 정맥, 지방조직, 섬유성 결합조직 등이 위치하게 된다. 경막외강의 폭은 5mm정도, 전체 용적은 50~70ml로 피부로부터 경막외강까지의 거리는 3~5cm 정도이며 약간 음압상태이다.
2)경막외 마취의 작용기전과 생체내 영향
경막외강에 투여된 마취제는 대부분 추간공(intervertebral foramina)을 통해 확산되어 경막에 덮혀있지 않은 척수신경의 전근과 후근에 작용하며 또 한편으로는 경막을 통해 지주막 하강으로 흡수되어 척수신경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소마취제를 급속히 주입하면 뇌척수액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상승되고, 국소마취제의 과량투여가 된 초기에는 중추신경계가 자극되어 흥분, 불안, 경련 등이 나타나나 말기에는 중추신경계가 억제되어 각종 반사가 소실되며 의식도 소실된다.
3)경막외 마취의 적응과 시행상의 주의점
척추마취의 적응 환자는 모두 경막외 마취가 적용되며, 척수마취를 받을 수는 있으나 장시간의 수술이 예상되는 경우, 경부흉부상지 수술과 무통 분만 등의 산과마취에 경막외 마취가 이용된다.
① 장점 : 혈압강하, 두통 및 신경계 손상이 심하지 않다.
② 단점 : 시행상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며, 천골부의 천자부위는 염기성 세균 감염 증의 가능성이 있으며, 마취에 요구되는 마취제의 투여량이 많다는 점이다.
경막외 마취에서 요부 및 경부의 천자에서는 측와위, 두부와 상흉부의 천자에서는 좌위, 천골부의 천자에서는 복와위를 취한다.
4) 경막외 마취의 합병증과 간호
혈압저하, 호흡억제, 오심, 구토와 두통은 척수마취에 비해 경하게 나타나나 전척수 마취와 국소마취제에 의한 중독은 척수마취에 비해 가능성이 훨씬 더 크다.
혈압하강시에는 수액을 충분히 공습하거나 혈압 상승제를 투여하며, 국소마취제에 의한 중독증상으로 불안, 흥분, 호흡곤란이 나타나면 즉시 초단시간 작용성 barbiturate인 thiopental이나 minor tranquilizer인 diazepam을 정맥내 주사한다. 국소마취제의 중독으로 각종 반사가 소실되고, 근이완과 의식의 소실이 나타나면 trendelenburg 체위를 취해주고, 혈압 상승제를 투여하며, hartmann수액을 주며 인공호흡을 시켜야 한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 서문자 외 수문사 1997
성인간호학 상 전시자 외 현문사 1996
수술실 환자간호 윤혜상 저 청구문화사 1997
기본간호학 하 김명자 외 현문사 1997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1.06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9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