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O2/UV를 이용한 TCE의 광촉매 분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iO2/UV를 이용한 TCE의 광촉매 분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TiO2/UV 광촉매 반응의 개요
2.2. TiO2/UV에 의한 TCE의 분해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벽, solid-supported matrix, 또는 광원 주위에 코팅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반응기는 낮은 비표면적과 absorption 및 반응액에 의한 빛의 산란에 대한 비효율성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모든 형태의 반응기들은 공통적으로 반응물, 생성물, 또는 열전달 매체 등에 의한 온도, 압력, 그리고 부식문제를 고려하여 반응기의 재질이 선정되어야 하며 안정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광촉매 반응기는 기존의 촉매 반응기 도는 열반응기와 달리 광에너지가 공급되기 때문에 설계가 까다롭다. 광반응기의 성능은 광원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반응 시스템에 도달하는 파장을 고려한 광반응 시스템의 설계가 요구된다.
Ⅲ. 결 론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TiO2/UV process를 이용한 TCE의 광촉매 분해 반응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광에너지의 세기, 광반응기의 형태, 반응온도, 유입농도, 수분함량, 산소의 농도, 반응기 내부의 압력, 촉매의 성능이 해당되며, TCE는 기체와 액체 상태에 따라 다소 다른 분해 mechanism을 나타냈으나 대부분 CO2, HCl과 같은 인체에 무해한 최종 생성물로 전환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TCE의 분해에 따른 carbon tetrachloride, chloroform, DCAC, phosgen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중간산물 및 부산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으며, 생성된 부산물들은 모두 생체내 독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그에 대한 제어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부산물의 생성 정도가 상이한 것은 사용한 촉매의 양과 종류 및 반응조건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광촉매를 이용한 처리기술이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부산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그 생성량을 억제할 수 있는 촉매의 개발과 반응기 설계 및 반응조건이 확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Fujishima, A. and K. Honda. 1972. Electrochemical photolysis of water at a semiconductor electrode. Nature 238: 37.
Glaze, W. H., J. F. Kenneke, and J. L. Ferry. 1993. Chlorinated byproducts from the TiO2-mediated photodegradtion of trichloroethylene and tetrachloroethylene in water. Environ. Sci. Technol. 27: 177-184.
Herrmann, J. M. 1999. Heterogeneous photocatalysi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to the removal of various types aqueous pollutants. Cat. Today 53: 115-129.
Hoffmann, A. J., E. R. Carraway, and Hoffmann, M. R. 1994. Environ. Sci. Technol. 28: 776-785.
Hoffmann, M. R., S. T. Martin, W. Y. Choi, and D. W. Bahnemann. 1995. Environmental applications of semixonductor photocatalysis. Chem. Rev. 95: 69-96.
Holden, W., A. Marcellino, D. Valic, and C. A. Weedon. 1993. Titanium dioxide mediated photochemical destruction of trichloroenthylene vapors in air, pp. 393. In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iO2 Photocatalytic Purification and Treatment of Water and Air, London, Ontario, Canada, Elsevier, Amsterdam/New York.
Hung, C. -H. and B. I. Marinas. 1997. Role of chlorine and oxygen in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vapor on TiO2 films. Environ. Sci. Technol. 31, 562-568
Jacoby, W. A., D. M. Blake, R. D. Noble, and X. A. Koval. 1995. Kinetics of the oxidation of trichloroethylene in air via heterogeneous photocatalysis. J. Cat. 157: 87-96.
Kormann, C., D. W. Bahnemann, and M. Hoffmann. 1988. Environ. Sci. Technol. 22: 798-806.
Mills, A. and S. L. Hunte. 1997. An overview of semiconductor photocatalysis. J. Photochem. Photobiol. A: Chem. 108: 1-35.
Pruden, A. L. and D. F. Ollis. 1983. Photoassisted heterogeneous catalysis: The 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in water. J. Cat. 82: 404-417.
신항식, 임재림, 1995. 고급산화법을 이용한 Trichloroethylene 함유 폐수의 처리(Ⅰ). 대한환경공학회지 17: 1079-1088.
윤재경, 강준원, 이태규, 전명석, 주현규. 1999. 광촉매(TiO2/UV)를 이용한 기체상태 TCE의 분해. 대한환경공학회지 21: 1003-1011.
이길철. 1990. 폐용제의 적정처리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환경연구원 보고서.
하종환, 1998. 광촉매를 이용한 PCE, TCE의 기상처리. 경상대학교 환경보전학과 석사학위논문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3.28
  • 저작시기200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1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