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목적, 특성, 교육의 의미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교육목적의 의미

(2)교육 및 교육과정과 목적의 관계

(3)네가지 교육목적에 대한 분석

(4)교육목적의 외적 및 내적 특성

(5)목표로서의 교육목적

(6)오코너의 교육의 다섯가지 의미

본문내용

듯이 교사도 어린아이를 소홀히 할 수 없다.
ⅱ교사와 사수의 차이점- 사수는 잘못된 총이나 탄환을 사용하기를 거절하지만 교사는 완전하지 않은 아이를 맡기를 거절할 수 없다. 사수는 결함 있는 것으로 ‘목적’을 성취할 수 없으나 교사는 언제나 지적으로, 감정적, 사회적으로 완전하지 못한 아이들(장애인, 정서불안, 정신지체아)과 함께 그 목적을 성취해야 한다.
3. `피터스‘: 교육목적이 교육의 과정에 내재해야 한다는 입장.
- 경험 있는 교사들은 목적을 내재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초보교사는 과정으로부터 내적인 목적을 꺼내서 바라보는 것이 도움을 줄 것이다. 초보교사는 교육의 목적을 ‘외화(externalize)하고, 그 결과로 그의 가르침은 ’목적없는(aimless)'것처럼 보일 것이다. 자연적인 것은 항상 인위적인 것 다음에 오게 되듯, 그 가르침은 시간이 경과되면서 자연스러워지게 된다. 즉, 교육의 목적을 외화하는 것은 철학적으로 인위적일 수 있으나 내면화 자연스런 가르침을 위한 서곡이라고 볼 수 있다.
(6)오코너의 교육의 다섯가지 의미
*오코너(O'CONNOR)의 교육의 다섯 가지 목적
:일반적 합의의 관점에서 목적을 주려고 시도
1.첫째 목적: 사람들이 사회에서 지위를 얻고 더 많은 지식을 얻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
-전반부는 원시 사회이건 문명사회이건 똑같이 교육에 적용된다.
-후반부는 문명사회에 더 직접적으로 적용된다.
-후반부는 듀이의 주장 “교육의 목적은 개인이 스스로 학습을 계속하도록 하는 것이다”을 함축하고 있다.
2.둘째 목적: 사람들이 자립할 수 있는 직업 훈련을 제공하는 것.
-문명사회에 제한된다.
-첫째 목적을 발전시킨 것이다.
-문명 사회에서 대리기관으로서의 학교에 해당한다.
3.셋째 목적: 지식에 대한 관심과 적성을 일깨우는 것.
-문명사회에서 교육에 구체적인 것은 지식에 대한 관심과 적성을 일깨우는 것이다.
- ‘동기적 필요성’에 접근한다.
- 피터스의 경고 “전달되는 지식은 이해되어야 하고, 학습자가 ‘인식적 조망’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를 상기해야 한다.
- ‘본성에 따른 교육(지식에 대한 적성은 사태의 정상적인 진행 과정에서 우연히 일어날 것이라고 믿는)‘ 에 어긋난다.
4.넷째 목적: 사람들이 비판적 능력을 갖도록 하는 것.
-자연주의 교육자들의 약점 인식한다.
5.다섯째 목적: 사람들이 서로 사귀고 인류의 문화적이고 도덕적인 성취를 평가하도록 양성하는 것.
- ‘필수적 삶’에 대한 집중, ‘기본적 욕구’의 충족, ‘자연주의적 약점’을 상기시킨다.
-플라톤의 안락한 삶의 관념을 상기시킨다.
참고 문헌
교유철학 개론, D.J. O,connor, Routledge & Kegan Paul, 1957
분석적 교육철학, Harry Scofield, 2001
교육과 교육과학, Ralph Boston Perry
교육사 속의 교과서, P.Monroe, Macmillan, 1925
http://www.kds.es.kr
http://www.home.opentown.net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3.30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1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