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고지혈증의 원인
2.분류
3.증상
4.진단
5.예방및 치료

결론

본문내용

작용 : 상경적으로 위장관에서 cholesterol의 흡수억제
- 제제 : sitosterol
Cholesterol 및 TG합성 억제제
1) Nicotinic acid (Niacin, Vit B3)
- 작용 : 지방조직의 TG로부터 free fatty acid의 동원을 억제하여 간에서 cholesterol 및 TG의 합성억제
- 제제 : acipimox
2) HMG CoA reductase 억제약
<작용>
- cholesterol의 합성과정 중 반응속도조절효소인 HMG CoA reductase를 억제하여 cholesterol 합성억제 (HMG-CoA → Mevalonate 의 전환 억제)
- 간에서 LDL수용체 증가 → 혈장에서 LDL입자를 제거
<제제>
- lovastatin, simvastatin, flavastatin, pravastatin, atorvastatin, rosuvastatin 등
Cholesterol 및 TG 대사 촉진제
1) Probucol
- 작용 : 혈중 LDL을 간으로 uptake 증가
구조적으로 변형된 LDL을 생성하여, 혈장 중 LDL 배설촉진
LDL → oxidized LDL (동맥경화의 원인)로 변화 방지
- 부작용 : HDL도 같이 낮춤 (다른 약 효과 없을 때 사용)
- 제제 : probucol
2) Fibric acid
- 작용 : lipoprotein lipase 활성증가로 VLDL 중의 TG 대사촉진
- 제제 : benzafibrate, fenofibrate, miconized fenofbrate
3) Gemfibrozil
- 작용 : lipoprotein lipase 활성증가로 VLDL 중의 TG 대사촉진
VLDL의 합성 및 분비억제 ? 혈중 TG감소
- 제제 : gemfibrozil
배설 촉진제
1) 고급 불포화지방산류
- 작용 : cholesterol의 담즙산으로의 대사를 촉진
LDL과 결합하여 조직에 축적하는 것을 방지
- 제제 : ethyl linoleate, oleum carthami
2) Cholestyramin
- 작용 : bile acid에 결합하여 장에서 재흡수 되는 것을 막아준다.
- 부작용 : 지용성비타민의 흡수방해
- 제제 : cholestyramine
<운동요법>
고지혈증의 치료에는 식사요법과 약물요법이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고지혈증의 치료를 위해서 적당한 운동요법을 병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약제 투여를 줄일 수 있고 건강에도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고지혈증의 치료를 시작할 때 운동요법과 함께 1일 콜레스테롤 섭취량을 200-300mg 이하로 낮추어야 되므로 콜레스테롤이 높은 오징어, 굴, 계란 노란자, 간 등의 음식을 제한해야 한다. 균형있는 식생활을 통해서 섭취하는 에너지의 과잉 또한 막아서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해야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저하되고 HDL 콜레스테롤이 증가한다. 운동 부족과 관련이 깊어 알맞은 운동을 통한 체력수준의 향상이 질병치료와 건강증진에 대단히 중요하다.
지질대사도운동을 통해서 개선되는데 건강에 나쁜 LDL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저하되고, 건강에 좋은 HDL콜레스테롤은 상승한다.
운동은 주당 5-6일 규칙적으로 실시하고, 운동 시간은 처음에는 20-30분부터 2주에 5분씩 늘려서 운동시간이 40-50분까지 도달하게 한다. 운동 강도는 자신의 최대심박수의 60-75% 범위에서 실시하면 되는데 처음 4주간에는 운동 강도를 다소 낮게 60%로 실시하고 점차 운동강도를 높여서 운동 12주에는 운동강도가 자신의 최대 심박수의 75%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운동하면 된다.
이때 운동의 형태는 걷기, 고정식 자전거타기, 트레드밀걷기, 조깅, 수영, 등산, 에어로빅 등의 유산소성 운동을 선택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와 체력 수준에 알맞게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연구 보고에 의하면 8명의 고지혈증 환자에게 약은 사용하지 않고 하루에 3Km씩 1주일에 20Km 이상 걷도록(속보) 운동요법을 실시하였을 때 총콜레스테롤이 운동 4주 후에 15% 감소하였고, 중성지방은 2주 운동후 20% 낮아졌다고 했다. LDL 콜레스테롤이 4주 운동으로 15% 감소하였으며, HDL 콜레스테롤은 2주 후에 약 15% 상승하였다고 했다.
오니쉬의 연구에서는 생활형태의 변화와 운동으로 1년간 치료시에 관상동맥의 협착률 감소하였다고 했다.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도 운동요법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매우 중요한 사실이다. 그러나 운동을 잘못 적용하였을 때는 치명적인 위험도 내포하고 있어서 35세 이상의 사람으로 고지혈증이 있는 사람은 운동을 실시하기 전에 다른 위험인자는 없는지 건강검진과 병력을 확인 한 후에 운동하는 것이 좋다.
Ⅲ.결론
고지혈증은 위에서 언급한대로 성인병의 일종으로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이 질환의 주된 원인으로는 유전적 원인, 포화지방이 많은 음식의 섭취, 과도한 체중, 지나친 음주, 스트레스 등이 있다. 이로 인해 황색종, 황색판종, 각막주위 백색륜, 간비대증, 비장비대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적절한 유산소 운동으로 정상 체중을 유지하고, 콜레스테롤이 많은 식품은 피한다. 또한 긍정적인 사고로 스트레스를 피한다. 그리고 정기적으로 전문의를 찾아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하고 진찰받는 것이 중요하다..
고지혈증은 이처럼 적절한 자기 관리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예방하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임동준, 『헬스조선』, http://www.chosun.com/culture/news/200510/200510040308.html
김권배, 「고지혈증의 치료」,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최경숙, 「고지혈증」, 서울대학교 약학부
산업보건, 고지혈증 예방과 관리, 뇌심혈관질환 예방가이드.
영진약품공업주식회사, http://www.yungjin.co.kr/product/sickness_detail.asp?sn=5
캐어캠프, http://www.carecamp.com/ency/ency_diseaseinfo_sub.jsp?idx=40
질환포럼, http://medcity.com/

키워드

고지혈증,   고지혈,   지혈증,   지혈,   혈증,   연구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4.22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7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