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가집김치의 해외시장 진출 성공사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序 論
1 김치의 語源 및 由來
(1) 김치의 語源
(2) 김치의 由來
2 김치硏究의 必要性
3 (주)두산식품 ‘종가집 김치’ 選定事由

Ⅱ 日本 김치市場의 現況과 展望
1 日本 김치市場의 規模
(1) 日本 김치市場의 크기
(2) 韓國 김치의 年度別 輸出現況
(3) 日本 김치市場의 韓․日 兩國 占有比率
2 對 日本 김치輸出 現況 및 流通
(1) 對 日本 김치輸出 現況
(2) 流通 및 消費現況
3 김치市場의 展望

Ⅲ (주)두산식품 ‘종가집 김치’의 日本市場內 事業現況
1 종가집 김치의 事業背景
2 종가집 김치의 事業現況
(1) 기무치(キムチ)와의 差別
(2) 日本市場內 流通現況

Ⅳ 종가집 김치의 日本市場 마케팅戰略
1 종가집 김치의 日本市場內 與件 및 SWOT분석
- 機會要因․强點要因․威脅要因․弱點要因 -
2 종가집 김치의 標的市場과 마케팅戰略
(1) 종가집 김치의 標的市場
(2) 종가집 김치의 마케팅戰略

Ⅴ 結論

※參考文獻

본문내용

호도를 높여서 구매행위를 유도하는 것은 수출광고의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이다. 이에 종가집 김치는 낮은 비용으로 많은 표적청중에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광고 판촉루트를 모색하였으며, 이런 점에서 세계식품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 김치의 원산지 효과로 제품의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지난 달 26일 일본 자민당 총재로서 새로이 일본 총리로 선출된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는 “김치가 싫다, 김치를 안 먹는다”라고 말했으나, 이는 결과적으로 김치가 한국을 상징하는 고유의 전통음식임을 스스로 자인하는 발언이었으며, 조사결과 대다수 일본인들이 자기네 일본 기무치보다 한국산 김치를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난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왜곡된 역사 교과서와 함께 영원히 바꿀 수 없는 한국 고유의 전통음식인 김치에 대한 원산지 효과를 통한 세계화의 필요성은 자명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종가집 김치는 대일 김치수출의 수출성 제고를 위해서 개발시기부터 제품의 특성을 결정하고 현지적응 전략인 현지 소비자의 기호 및 환경에 맞추어 마케팅 믹스 요소들의 차별화를 통해 시장 침투가 용이하도록 하여 수출성과를 높일 수 있었던 것이다.
본 프로젝트 팀원은 이상과 같이 종가집 김치의 사례를 통하여 전문적인 수출마케팅 개념과 현지 적응전략을 이해할 수 있었고, 마케팅 믹스에 현지 적응전략을 도입함으로써 수출성과를 높일 수 있는 이론적이며 실질적인 과정에 대해 수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프로젝트 연구에 도움을 주신 (주)두산식품 해외영업팀의 박은건 차장님과 마케팅팀의 이기형 과장님께 감사를 드리며, 아무쪼록 한국의 전통음식인, 아니 한국의 대표 상품인 김치의 세계화와 특히 정치사회문화적으로 복잡성을 띠고 있는 현 일본과의 관계에서 김치의 종주국은 한국임을 피력함과 동시에 (주)두산식품 종가집 김치의 건승과 발전을 마음으로부터 바라며 본 프로젝트를 맺는다.
參 考 文 獻
1. 參考書籍
1) 김재범外, 글로벌마케팅, 경문사, 2000
2) 국제경영학연구회, 글로벌시대의 국제경영, 박영사, 1998
3) 편집부 편, 디스카운트 머천다이저(2~4월호), 한국수퍼체인협회, 2001
4) 다이아몬드 후리드만사(반지명 譯), 일본 수퍼마켓 성장전략,
한국수퍼체인협회, 1994
2. 參考論文
1) 이혜경, 김치문화의 변천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98
2) 최태동, 김치시장의 시장조직 분석,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3) 문조선, 한국 김치의 대일 수출성과 제고를 위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4) 신영건, 한국전통적 김치의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5) 서정석, 김치시장의 실태와 농협김치의 시장전략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3. 其他
1)「종가집 김치」INTERNET, 김치이야기
2)「농수산물유통공사」INTERNET, 농수산물수출상품
3)「부산대학교」INTERNET, 김치연구소
4)「전통음식」INTERNET, 김치의 효능
6) 일본 「柳キムチ」INTERNET
7) 일본 「韓國食材 李朝宮廷」INTERNET
질 의 사 항
1. 종가집 김치의 사업현황이 궁금합니다 ?
(업체개요/생산 및 판매실적/일본의 수출현황)
2. 종가집 김치의 경영형태는 어떻습니까 ?
(경영자 마인드/조직의 특이사항/인사고과 제도/복리후생 등..)
3. 국내기업과 차별화된 수출 전략이 있습니까 ?
4. 종가집 김치의 일본내 표적시장과 포지셔닝에 대해서는 어떻습니까 ?
5. 종가집 김치의 일본내 환경요인은 어떻습니까 ?
(SWOT 분석 - 기회요인/강점요인/위협요인/약점요인)
6. 일본내 종가집 김치 제품의 상품 및 가격전략에 대해서는 어떻습니까 ?
7. 기존 일본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기무치"와 차별화하기 위한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8. 홍보를 위한 광고, 판촉활동은 어떤 방법으로 진행하고 있습니까 ?
답 변 내 용
1. 종가집 김치의 일본 수출현황 (2000년 기준 )
1) 정한농산 1,000 만불 2) 종가집 850 만불
2. 국내기업과 차별화 된 수출전략
1) Brand royalty 육성
2) 국가별 차별화 포장
(일본: 투명한 plastic 용기, 동남아: 알루미늄 파우치, 미주: 대용량 PET)
3) 냄새 없는 김치: 김치를 접해보지 못한 국가에 김치의 소개를 위한 신제품
4) Mass market / Niche market 구분
5) 북미 시장은 인지도 높이는 노력이 필요
3. 일본 내 표적시장과 포지셔닝
1) Market segment: 30~40대 성인으로 한국 방문 경험이 있는 일본인
2) 성별 구분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음
3) 구매는 월평균 1~2회
4. SWOT 분석
1) 강점, 기회요인
국내기업 중 유일한 김치연구소 보유
OEM이 아닌 자사 Brand로 수출
종가집에 있는 다른 종목군의 상승효과
기업 Infra 적극 활용 (두산그룹 동경지사, 오사카 지사)
2) 위협요인: 일본산 김치의 품질이 향상되고 있음
3) 약점요인
일본으로의 수출관세로 일본내 경쟁제품보다 가격이 높다
가격경쟁력 저하
(일본 Buyer에 의한 영세 국내 김치업체를 통해 덤핑수출 조장으로
인하여 가격경쟁력 약화 요인 발생)
5. 일본시장내 상품 및 가격 전략
1) 고가격 전략: 일본산 김치 대비 1.5 배 높은 가격으로 고가격 전략
2) 일본 Vender 연결: CVS, 슈퍼, 백화점, 양판점에 납품하는 유통방법 채택
6. 일본 기무치와의 차별화 전략: 발효의 차이
(기무치는 발효가 되지 않은 식품), 건강부분 강조
7. 홍보를 위한 광고, 판촉활동: 공중파 광고가 일본 현지에서 무척 비싸기 때문에
1) 식품전시회 참가를 통한 홍보
2) 교포방송 (라디오, TV) 통한 CF
3) DM 발송 (통신판매를 통한 상협 조합원들에게 홍보)
4) 점두판촉: 특가세일, 경품행사 등
5) 아리랑 TV 통해 CF, 다큐멘터리 협력제작, 국내 횡성공장 견학
6) 전문신문 (식료신문), 잡지 (관공서 납품 책자, 식품관련 책자 등)
  • 가격5,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6.04.06
  • 저작시기200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8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