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페미니즘] 정치, 문화, 사회면에서 본 페미니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과학-페미니즘] 정치, 문화, 사회면에서 본 페미니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조사 방법

2. 본론
2.1. 여성주의이란?
2.2. 여성주의 운동의 영향
2.2.1. 여성주의가 경제에 미친 영향
2.2.1.1.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역사
2.2.1.1.1. 한국 여성의 경제참여와 분화
2.2.1.1.2. 한국 여성노동자의 탄생과 발전
2.2.1.1.2.1. 여성 노동자의 탄생
2.2.1.1.2.2. 여성 노동자의 경제참여 확대
2.2.1.1.3. 여성 노동운동의 발생과 발전과정
2.2.1.1.3.1. 여성 노동운동의 발생
2.2.1.1.3.2. 해방 ~ 60년대 여성노동 운동
2.2.1.1.3.3. 1970년대 여성노동운동
2.2.1.1.3.4. 80년대 ~ 90년대 여성 노동 운동
2.2.1.1.4. 여성의 경제 상층부 활동
2.2.1.1.4.1. 경제 엘리트로써 여성의 탄생
2.2.1.1.4.2. 발전과 문제점
2.2.2. 현재 상황과 진행
2.2.2.1. 현재 여성의 고용상황과 여성노동자의 노동조건에 대한 고찰
2.2.2.2. 현재 여성주의가 노동운동에 미친 영향
2.2.2.3. 여성주의가 여성 경영자를 배출하는데 미친 영향과 진행상황
2.2.3. 현재 여성주의 운동의 한계점
2.2.3.1. 여성노동문제 해결에 있어 여성주의 시각의 한계
2.2.3.2. 계급성의 망각과 실제
2.2.4. 해결방안
2.2.4.1. 여성주의가 아닌 젠더
2.2.4.2. 여성을 성 동질체가 아닌 사회 동질체로 이해해야 함
2.2.4.3. 젠더라는 새로운 개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2.2.5. 정치면
2.2.5.1. 역사-현대사회와 여성 참고
2.2.5.1.1. 개화기 및 일제시대 한국 여성운동
2.2.5.1.1.1. 새로운 여성관의 태동
2.2.5.1.1.2. 구국운동의 참여: 국채보상운동과 3․1운동
2.2.5.1.1.3. 일제하 여성 노동운동과 농민․해녀 운동
2.2.5.1.2. 광복 이후 한국 여성 운동
2.2.5.1.2.1. 미군정기 여성 운동
2.2.5.1.2.2. 50년~70년대 초의 여성운동
2.2.5.1.2.3. 70년대 여성운동
2.2.5.2. 현상․진행
2.2.5.2.1. 현실 정치적인 측면
2.2.5.2.2. NGO측면에서
2.2.5.3. 한계점
2.2.5.4. 해결 방안
2.2.5.4.1.
2.2.5.4.2.
2.2.5.4.3.
2.2.5.4.4.
2.2.5.4.5.
2.3. 문화면
2.3.1. 역사
2.3.1.1. 의도
2.3.1.2. 전통시대의 여성의 외모
2.3.1.3. 현대 여성과 외모
2.3.2. 현상, 진행
2.3.2.1. 기존의 매스미디어에서 비추어지는 여성의 모습은 어떤가?
2.3.2.2. TV드라마 ․ 영화 속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역할과 성격
2.3.2.2.1. TV드라마 ․ 영화 속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역할
2.3.2.2.1.1. 전형적 가정주부
2.3.2.2.1.2. 여성의 미덕은 남편과 자식을 위한 헌신적인 봉사이다?
2.3.2.2.1.3. 신분상승의 기회를 남자에게서 찾으려는 신데렐라형
2.3.2.2.1.4. 커리어우먼의 역할과 전업주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슈퍼우먼’
2.3.2.2.2. TV드라마, 영화 속에서 비추어지는 여성의 성격
2.3.2.2.2.1. 외모지상주의- 성격 나쁜 건 참을 수 있어도,못생기고 뚱뚱한 건 참을 수 없다?
2.3.2.2.2.2. 성적 대상(sexuality)
2.3.3. 한계점
2.3.3.1. 여성들의 다중 역할 부담
2.3.4. 해결방안
2.3.4.1. 이제는 남성학이 필요할 때
2.3.4.1.1. 왜 여성들에게만 변하라고 하는가?
2.3.4.1.2. 남성학이 정착하려면

3. 결론(대안)
3.1. 한계점의 종합적 정리
3.2. 대안

본문내용

지만 남성의 변화라는 충분한 조건 없이 가부장제의 극복은 불가능하다. 아무리 신세대 여성들의 자의식이 강하고 무조건 참고 인내하는 것을 미덕으로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강해진다 해도 말이다. 가정은 혼자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듯이 가부장제에서 쌓아올려진 남성 중심적인 사회 구조가 여성들만의 노력으로 극복되기 힘들기 때문이다. (김미경 2000:114)
다만 가부장제가 요구하는 전형적인 남성상을 이상적으로 여기도록 강조하는 문화가 매체 속에서 아직까지 만연해있고, 그것을 당연시여기는 분위기 또한 여전하다. 우리 사회에서 남성들의 변화가 아직까지 요원해 보이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결론(대안)
한계점의 종합적 정리
현대 여성의 문제는 단순한 성의 문제가 아니다. 여성의 계층 분화로 단순히 성을 기준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른다. 앞서 본론에서 언급한 것처럼 대다수의 여성들이 사회적으로 남성에 비해 불리한 위치에 있고, 여성들 사이에서도 정규직에서 종사하는 사람보다 비정규직에 종사하는 사람의 수가 더 많다는 사실을 간과한다면 여성을 위한 법률을 제정해도 실효를 거두기가 어려울 것이다.
여성들 스스로 여성문제를 사회문제로 인식하는 면이 턱없이 부족하다. 현재 상당수의 여성들이 졸업한 후에도 사회에서 하위의 소득계층으로 편입되고, 출산과 육아라는 모성보호가 비정규직에서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런 문제들이 제대로 해결되지 않는 이유는 여성의 성정체성이 성 동질체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자본의 구조 속에서 여성의 성 정체성, 사회적 정체성을 구분하기는 모호하다.
대안
여성주의가 여성을 뛰어넘는 사고를 해야 한다. 그리고 여성들은 성 정체성에 대한 고민과 함께 사회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도 병행해야 한다. 즉, 성 정체성의 인식이라고 하는 것은 스스로 여성의 지위를 확인하는 과정임과 동시에 단지 생물학 적인 측면에서의 자기 정체성이 아닌 사회적 존재로써 정체성의 확립이 필요하다.
본론에서 언급한 것처럼 최근에는 ‘젠더’라는 생물학적 성이 아닌 사회적 성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이 젠더라는 개념이 일반의 여성들 사이에는 널리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여성운동의 방향을 설정할 때 현재 한국 여성이 겪고 있는 비정규직과 사회 소득계층의 문제는 단지 여성으로 겪는 것이 아닌 사회적 약자로써 받는 고통임을 감안해야 한다.
여성 문제 해결에 남성들도 동참해야 한다. 남성중심의 사회구조와 가부장적 문화로 나타나는 봉건적 가족주의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여성들만의 노력으로는 부족하다. 남성들의 인식이 변하지 않는다면 여성들이 겪는 불평등은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여성들이 제기하고 있는 문제들이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여성들만의 문제가 아닌 남녀 공동의 문제로 바뀌어 질 것이므로 여성 문제 해결에 남성을 참여시키는 것은 필요하다.
현재의 성 정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장치를 마련하고, 경제 사회 활동에 있어서 여성에 대한 차별적 제도를 폐지하기 위해서는 여성단체나 보육, 간호, 주부 부문에서의 활동도 중요하지만, 여성이 별로 없는 남성영역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 그 부문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여성 관련 기구를 적극적으로 만들어내야 한다.
<참고 자료>
1. 참고문헌
김미경(2000) 여성주의적 유토피아, 그 대안적 미래, 책세상
김양희민인철(1996) “대중매체의 여성차별지표개발 :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96 연구보고서 200-12 대중매체의 여성차별지표개발, 한국여성개발원
김영옥(2002) 여성 IT 인력의 현황과 잠재력 분석, 한국여성학회 2002 학술대회 발표문
김원홍이인숙권희완(1999) 오늘의 여성학, 건국대학교 출판부
박민나(2004) 가시철망위의 넝쿨장미 : 여성노동운동가 8명의 이야기, 지식의 날 개
방현석(1999‘) 아름다운 저항, 일하는 사람들의 작은 책들
송무 외(2003) 젠더를 말한다: 페미니즘과 인문학의 만남, 박이정
오장미경(2003) 성노동운동과 시민권의 정치, 아르케
우리사회연구학회(1998) 현대사회와 여성, 정림사
이명혜(2003) 한국을 움직이는 여성 CEO, 도전과 성취
이신자김경아(2003) 여성 리더의 특징과 역량 및 지원책에 관한 탐색적 연구 - 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003 학술대회 발표문
이영애 외 10명(2001) 밀레니엄의성정치학, 법지사
이영자(2003) 신자유주의 노동시장과 여성의 노동자성, 한국여성학회 2003 토론 발제문
장지연(2002) 고학력여성 경제활동의 국제비교, 한국여성학회지 2002년 발표논 문
장미경(1999) 페미니즘의 이론과 정치, 문화과학사
한서설아(2000), 다이어트의 성정치, 책세상
Jane Freedman(2002') 이박혜경 옮김페미니즘, 이후
U. Muller(1988). “Neue Mannerforschung braucht das land!”, c.Hagemann-white M.S. Rerrich(Hg.) Frauen Manner Bilder Manner und Mannlichkeit in der ferministischen Disskussion
2.참고사이트
신문기사검색 : http://www.kinds.or.kr/
여성민우회 : http://www.labor.womenlink.or.kr/ 
전국여성노동조합 : http://www.kwunion.or.kr/
http://jouissance.cafe24.com/bbs/zboard.php?id=cultural&page=3&sn1=&divpage=1&category=2&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5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1501&docid=626725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14&docid=72583
※사이트의 텍스트를 직접 인용하지 않고 여러 가지 자료와 토론방을 참고한 사이트는 사이트 제목만 올렸습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06.04.13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40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