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남군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동기

2. 풍토(자연환경)

3. 인문환경(인구, 산업별 종사자, 인구변화)

4. 역사

6. 분석 의견

5. 동·면 행정구역

본문내용

6,939
15,081
13,110
87%
농정과 농정기획담당(T.530-5388)
◆ 축산
국민소득 향상과 식생활 문화의 변화로 육류 소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농림사업 중 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나, 수입개방 및 IMF의 영향으로 인하여 축산농가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가축사육의욕을 고취하고 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생산기반, 사육시설, 조사료 생산기반확충 등에 대한 종합지원을 강화하고 가족 노동력 중심의 전업농을 육성하여 어려운 난국을 헤쳐 나갈 수 있도록 축산 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 수산
☞어업인구
해남군의 해안선은 육지 226km, 도서 76km등 총연장 302km이며 65개의 유.무인도를 가지고 있다. 수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인구는 3,799가구에 32,951명으로서 총 가구의 11.4%를 차지하고 있다.
어업가구 및 인구
가구수(호)
인구수(명)
총가구
어가수
대비(%)
총인구
어민수
대비(%)
'95
33,324
3,856
8.9
104,660
31,095
29.7
'96
33,255
3,942
9.9
101,625
10,564
10.4
'97
33,630
3,301
10.1
99,392
12,114
12.1
'98
34,689
3,449
9.9
101,825
11,129
10.9
'99
35,222
3,501
9.9
100,867
11,241
11.1
☞어선 현황
어선의 규모는 5톤 이하가 99.3%를 차지하고 5톤 이상은 0.7%에 그쳐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나 최근 들어 선질 개량 및 장비의 현대화로 어선의 규모가 차츰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수산진흥
어업인후계자 육성사업
유능한 어업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확보·육성하여 해남군의 수산업을 진흥시키고 주민소득을 증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어업인 후계자 지원사업을 적극 추진하였다. 지원대상 사업은 어선어업·수산증양식·수산물 가공, 기타 수산기반시설, 컴퓨터 구입 등에 대하여 1인당 20~50백만원을 지원하고 융자조건은 국고용자 100%, 연리 5% 10년 균등상환조건으로 지원하였다.
연도별 지원내역
(단위 명, 천원)
사업자수
사업비
'95 이전
234
2,688,000
'96
22
369,000
'97
45
911,000
'98
48
1,110,000
'99
29
625,000
'2000
34
690,000
'2001
22
480,000

434
6,873,000
어촌소득기반 확충
낙후되어 있는 어촌을 활성화하고 어업인 소득증대를 향상하기 위하여 수산기반시설 구축(어촌종합개발, 도서개발, 제2종어항개발, 소규모주민숙원)사업을 20개소에 2,737백만원원을 투자하였으며 수산 증양식 사업을 9개소에 625만원과 양식어장 정화사업 2,056ha에 1,968백만원을 지원하였으며 해남군에서 생산되는 김을 국내외에 알리고자 김브랜드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4. 역사
◆ 연혁
선사시대
- 신석기시대 후기에 즐문토기인이 현산면 두모리에 출현
- 삼한시대에 마한 54국 중 소위건국 등 4~5개의 마한소국세력 성립
삼국시대
- 백제성왕 16년(538년)새금현, 고서이현, 황술현 설치
통일신라시대
- 경덕왕 16년(757년) 3현의 이름이 침명, 고안, 황원으로 개칭됨
고려시대
- 태조 23년(940년) 침명현을 해남현, 고안현을 죽산현으로 개칭하고 황원현 은 황원군으로 승격
조선시대
- 태종 9년(1409) 진도와 해남을 합하여 해진군으로 함
- 세종 19년(1437) 진도와 해남을 나누어 해남현을 복설하고 치읍을 현재의 해남읍으로 옮김
- 고종 32년(1895) 전국 행정 개편되고 따라 해남현이 나주부 해남군으로 승격
- 1896년 다시 전라남도 해남군으로 개편하고 부근도서를 완도군으로 이속
- 1914년 해남 인접지역을 병합하여 13개면으로 개편 - 1955년 해남면이 읍으로 승격(1읍 12면)
현대
- 1983년 북평면을 나누어 북일면 신설 1읍 13면으로 편제 - 1992년 현재 1읍 13면 513리로 편제
6. 분석 의견
해남군은 해마다 발전을 거듭하는 도시이다. 그러나 현재 산업구조를 살펴보면 1차산업 51%, 2차산업 37%, 3차산업12%로 아직은 1차사업의 비율 즉, 수산업과 농업 종사자의 비율이 50%를 넘는다. 특히 농업 종사자의 40%를 넘는다는 것이 약간은 불안 요소이다. 분명 우리나라의 농산물이 외국의 농산물보다는 질이 월등히 좋은 것은 사실이나 너무나도 값싸게 들어오는 농산물에 경쟁력을 잃어버리는 것은 아닐까? 그러면 해남의 군민의 40%이상에게 경제적 타격이 클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럼 당연히 해남군의 예산도 줄어들 것이고 그로인해서 지역발전에 심대한 타격을 입을 것이다. 따라서 해결책으로 해남군에서는 조선특구사업, 화원관광단지, 땅끝지구 관광지 개발사업, 우수영 관광지 개발사업, 농산물 가공 공장 등을 신설하고 계획하여 활발히 활동 중이다.
관광산업을 보면 관광은 관광을 와서도 즐거워야하지만 오는데도 편안해야한다. 따라서 교통여건을 살펴보겠다. 서해안 고속도로, 호남선 철도 복선화 등 사통팔달의 교통요충지이며, 목포 신외항을 이용한 중국 등 수출교역으로 장래가 유망하다. 또, 무안국제공항 건설, 전남도청 이전, 남악신도시 건설로 SOC시설 확충을 하고 있다.
관광인원
외국인
내국인
Total
2000
1,561
2,766,813
2,768,374
2001
7,662
3,034,298
3,041,960
2002
12,047
3,965,992
3,978,039
2003
14,020
4,500,580
4,514,600
위의 표를 보면 3년 사이에 관광객의 수가 외국인은 약9배 내국인은 1.8배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점차적으로 관광객의 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해남군은 1차산업도 중요하지만 3차산업인 관광산업을 더욱 중심으로 해남군의 발전을 이바지해야겠다. 따라서 해남군은 발전 가능성이 무한한 도시이고 미래에 우리나라의 관광산업의 한 축이 될 것이다.
5. 동·면 행정구역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4.24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