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 이론]조건 형성 이론 . 사회 학습 이론. 욕구 위계 이론. 인간 중심 이론. 애착 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달 이론]조건 형성 이론 . 사회 학습 이론. 욕구 위계 이론. 인간 중심 이론. 애착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pavlov의 조건 형성 이론

2. skinner의 사회 학습 이론

3. bandura의 사회 학습 이론.

4. maslow의 욕구 위계 이론

5. rosers의 인간 중심 이론.

6. bowlby의 애착 이론

본문내용

지음
ⅱ. 배타적인 애착의 형성-특정한 사람을 좋아하며 낯선 사람을 경계함
ⅲ. 애착대상에 대해 적극적인 행동 보임-보다 활동적이 되어 부모를 뒤따라 다님
2. 애착의 단계
1)1단계(0~3개월)-인간에 대한 비변별적반응성의 단계
①미소짓기
ㆍ비선택적-대부분 사람들에게 비슷한 반응
ㆍ사회적 미소(3주쯤)-사람 목소리를 듣고 미소를 지음
ㆍ눈 마주치기(4주쯤)-사람의 얼굴을 보며 활짝 미소 지음
미소는 애착을 증진시킴
아기의 미소는 어떤 개인적 선호를 보이지는 않음; 특수한 시각적 자극에 의해 유발
②옹알이
ㆍ처음엔 비선택적
옹알이는 어머니와 아기 간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킴으로써 어머니가 아기 가까이 있게 하는 사회적 유발자극임
③울음
ㆍ아기가 도움이 필요하다는 신호-배고픔, 불편감, 고통..
④반사행동
ㆍ파악반사-손바닥에 어떤 물건이 닿으면 자동적으로 손을 꽉 쥐게 됨
ㆍ모로반사- 큰소리에 놀라거나 지탱하는 힘을 잃었을때 팔을 쫙 펼쳤다가 도로 가슴쪽으로 도고 가져옴
ㆍ더듬기반사, 빨리반사- 젖을 용이하게 먹게 해줌
반사 역시 아기와 어머니간의 상호작용을 가져와 애착을 증진시킴
2)2단계(3~6개월)-낯익은 사람에게 초점맞추기 단계
ㆍ반사들이 사라짐
ㆍ3~6개월: 미소와 옹알이가 선택적으로 시작됨
ㆍ4~5개월: 알고 있는 사람에게만 반응 보임
ㆍ5개월: 손을 뻗어 머리카락 등 신체일부를 만지고 붙잡기 시작
낯익은 사람에게만 반응을 보임
신호에 잘 반응하고 잘놀아 주는 사람에게 강한 애착을 발달 시킴
3)3단계(6개월~3세)-능동적 접근 추구 단계
ㆍ6개월: 애착인물의 유무에 깊은 관심 보임. 애착인물이 떠나면 울어버림
ㆍ7개월: 능동적으로 뒤따라 다님.
ㆍ목표수정 체계를 구축하기 시작함-안아달라는 몸짓, 소리쳐 부르기 시작
ㆍ애착인물에게서 멀어져 가기도 함-탐색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삼음
ㆍ낯선 사람에게 두려움을 보임
이 단계 아기는 애착이 강해지고 배타적이 됨
4)4단계(3세~아동기 말)-동반자 행동의 단계
ㆍ돌보는 사람과 가까이 있으려는 데만 관심을 기울임
이 단계 애착행동에 대해 알려진 것이 별로 없음
3. 민감한 시기(3세까지)
초기 경험의 중요
인생 초기에 형성된 사회적 관계의 질이 발달에 결정적인 역할 함
동물-결정적시기=발달의 특정 측면 ex)각인: 동물의 새끼들이 사회적으로 반응해야헐 대상을 학습하는 과정
인간-민감한 시기(sersitive period)
; 특정 능력이나 행동이 출현하는 데에 최적의 시기
이시기 특정한 환경의 자극에 민감한 반응 보임
친밀한 정서적 유대 형성하는데 매우 민감
→ 이 기간에 기회 없으면 친밀한 인간관계 형성 불가능
※ 아기가 애착을 형성한 후 애착대상과의 분리로 인해 영향을 받음
격리 후 아기의 변화
①반항-울고 고함침②절망-무기력 해지고 깊은 슬픔에 빠짐③분리 상태-모든 흥미 상실
;격리 지속시 더 이상 타인을 깊이 좋아하지 못하는 ‘애정없는 인물’이 될 수 있음
정옥분 저,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5, p87~89
강봉규 저, 인간발달, 동문사, 2004, p329~341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4.25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9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