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화물 운송 수단 현황 및 운송형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 주요 화물 운송 수단 현황 및 운송형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2. 본론 1
제1절 운송수단별 현황 / 1
1. 내륙운송
2. 해상운송
3. 항공운송
제2절 내륙/해상 운송시스템 / 8
1. 도로운송의 운송경로
2. 철도운송의 운송경로
제3절 항공운송 시스템 / 11
1. 환적화물
2. Sea & Air system
제4절 운송효율을 위한 개선점 /12

3. 결론 14

본문내용

지하는 수송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도로 이외의 여타 교통수단(철도)에 대한 역할의 확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철도에 대한 투자비중을 증대하여야 한다. 고속철도를 제외한 일반철도의 연장은 10년 전인 95년과 거의 차이가 없다. 철도회사의 규모에 대한 미시적 분석 연구에 따르면 철도운영비용을 최소화하는 적정 영업연장은 4천~5천Km로 현재의 영업연장은 부족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둘째, 철도를 화물 수송의 중추적인 수송수단으로 키워 나가야한다. 철도의 역할이 증대될 경우 도로의 수송 분담을 덜어줌으로써 교통혼잡과 물류비 증가,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 밖에 구체적으로 산업지원철도를 확대하고, 수출입화물을 위한 공단과 항만의 연계 철도를 구축하면 도로혼잡을 불러일으키지 않고 손쉽게 컨테이너 화물들이 철도를 통해 항구까지 수송되어 수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안화물운송효율 개선방안
연안화물운송의 경쟁력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운송시간으로서, 연안화물운송의 운송시간을 단축하는 방안으로는 위그선등 초고속선의 투입, 갑문 밖 하역으로 갑문통과 시간 절감, Ro/Ro선 투입에 의한 하역시간 절감 등을 대안으로 고려할 수 있다. 운송시간 단축을 위해 120km/h이상의 초고속선의 투입은 고가의 선박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영세적인 민간기업으로는 투자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갑문밖에 부두를 확보하는 대안은 운송시간 절감과 정시성을 확보하는 데 선결과제가 된다. 인천항 등 서해항구들이 갑문밖 부두를 확보할 경우, 운항의 정시성에는 큰 진척을 기대할 수 있지만, 일기에 따라 운항을 제약받아 기상이 악화될 경우 운항을 중단하여 서비스가 불안정한 측면이 여전히 있다. 하역시간을 절감시켜주는 Ro/Ro방식은 기존 일반화물선 하역보다 고비용을 유발함에 따라 하역회사에서는 도입을 꺼려했다. 이러한 Ro/Ro선 등 신기술의 적용은 항운노조 등 관련단체의 양해를 전제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항공운송효율 개선방안
항공화물 운송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첫째, 접근교통시설의 적기 확보. 국제적인 물류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공항과 항만이 연계되어 국제공항과 해상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되어 질 수 있어야 한다. 물류거점의 경우 한번 뺏겨버린 물동량을 다시 회복하기는 쉽지 않다. 항만개발을 고려해 봤을 때 중국은 국제적인 공항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것인바 물류거점으로서의 우위를 잃지 않도록 공항, 항만의 물류기반시설이 시기적절하게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둘째, 배후물류단지 개발. 다국적 물류기업의 유치와 함께 관세자유지역 및 배후물류단지 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국제공항으로서의 기능을 최대화할 수 없다. 셋째, 화물터미널 시설 확충. 동북아 거점 공항을 목표로 건설된 인천국제공항은 수년 내에 그 시설이 포화상태에 다다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물동량을 예측하여 화물터미널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항공화물 정보화 추진. 항공사, 포워더, 세관, 화주 등이 하나의 정보 시스템으로 연계체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보망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Sea & Air 운송의 경우는 현재는 그 비중이 크지 않으나 추후 중국과 인천항 간을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초고속화물선이 등장할 경우 그 당일에 항공화물을 환적이 가능해 짐으로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천국제공항에 인접한 인천항에 효율적인 연계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시설과 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제 3 장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운송을 담당하는 내륙운송의 현황과 주요 운송 루트에 대해서 살펴보고 아울러 주요 내륙화물이 해외로 운송되기 위한 운송 과정 및 경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주요 운송형태를 내륙운송, 해상운송, 항공운송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운송의 최적효율은 이러한 세 영역이 상호 연계하여 Door-to-Door시스템을 달성할 시 가장 효율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륙에서 생산된 물품이 항공운송이나 혹은 해상운송을 통해 해외로 운송되어지거나 해외로부터 화물이 내륙으로 이동되어지는 경우 최적의 효율을 가지는 운송수단과 화주의 needs에 부합되는 운송루트를 선택하여 운송을 행함으로써 물류비 절감과 고객만족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운송수단마다 세분화된 특성에 맞게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봄으로써 물류비절감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21세기 선진 물류 중심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법적인 문제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물류 효율화를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참고문헌 및 싸이트
통계청 <2004년기준 운수업통계자료>
건설교통부 <도로현황조서>
건설교통부 <2005년 3분기 해운시황 전망(안)>
교통개발 연구원 <항공화물 수송부문의 경쟁력 강화 방안>
권혁기, 박진호 <항만-내륙간 첨단 연계 운송시스템 개발방안 연구>
오세창, 이승택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축현황과 향후 추진방향>
한진교통물류연구원 <교통물류동향 제 7호~16호. 2000>
Ballou R., Business Logistics Management, 2nd ed.,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1985.
Chatterjee, S.K, Microcomputer Based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The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Review, 1984.
Daugherty, P.J., Outsourcing Logistical Services : Firm-Specific Usage Patterns, Unpublished Dissertation, East Lansing, MT : Michigan State University, 198
국가 교통 데이터 베이스 센터(http://www.ktdb.go.kr/)
인천공항공사(http://www.icpa.or.kr/) 
코리아쉬핑가제트(http://www.ksg.c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4.27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2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