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개념과 실제 적용 사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비쿼터스 개념과 실제 적용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주제 선정 계기 및 방향 제시)

Ⅱ. 본론
1. 유비쿼터스의 개념
2. 유비쿼터스개념의 유래
3. 유비쿼터스 기술의 적용
1) 위치기반서비스 LBS
2) 스마트디스플레이
3) 스마트 웨어
4) 스마트타이어
5) RFID
6) UFID프로젝트
7) 홈 네트워킹
8) U헬스 케어
9) BMS프로젝트
10)FM라디오기반 데이터 방송

Ⅲ. 결론

본문내용

10) FM라디오기반 데이터방송
보통 라디오방송국에서 사용하는 FM주파수에는 다른 방송국들과 혼선을 막기 위해 음성정보가 실리지 않는 여분의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는데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이 남은 FM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초당 12Kbps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폿(SPOT : Smart Personal Object Technology)' 이란 기술개발로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뉴스, 날씨, 교통, 주식 및 기타 개인 정보 등의 문자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받아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미국 전역의 FM라디오 방송국들과 주파수 임대계약을 체결했으며 현재 전국토의 80%를 서비스 영역으로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에 쉽게 접속하는 유비쿼터스 시대를 본격 구현하고 있다.
Ⅲ. 결 론
우리는 언제 어디어서나 네트워크 환경이 조성되어있는 사회에 살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사회를 유비쿼터스 사회라 규정지었고 위에서 그 개념 또한 살펴보았다. 유비쿼터스에 대해 각 분야의 전문가 마다 개념에 대한 정의를 내렸지만 아직까지 일반인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쉬운 개념정의는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이유는 우선적으로 유비쿼터스 기술자체가 정체되는 것이 아니라 나날이 발전하는 것이므로 시간이 지나고 다른 기술이 발전되면 또 다른 정의를 내려야 하므로 한가지 정의가 모든상황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또 기술의 수준에 비해 그것에 대한 개념을 국민모두에게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농업혁명을 통해서 인류가 정착생활을 시작하였고 산업혁명을 통해서 자본주의가 발생하였으며 정보혁명을 통해서 전 세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시대를 구현하였다면 이제는 유비쿼터스 혁명을 통해 어제어디에서나 네트워크 환경이 조성되는 시대로 변하였다. 혁명의 단계가 거듭될수록 사회의 이전 속도도 빨라지고 있으며 우리는 현재 유비쿼터스 기술이 그 기반이 되는 사회를 살고 있다.
우리가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살고 있다는 것은 LBS, GPS, 홈오토메이션, 스마트웨어, 스마트타이어 , BMS 등 우리가 이것이 유비쿼터기술이구나 라고는 따로 생각해보지는 않았어도 개별의 명칭만큼은 한번쯤 들어보고 사용해 보았다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초등학교 시절 ‘소년, 21C’ 라는 과학소설을 읽을 적이 있는데 소설속의 남자주인공은 지금의 PDA와 같은 기계로 송수신을 하였고 음식물을 씹지 않아도 모든 영양소를 공급받을 수 있는 알약을 먹으며 지금의 홈오토메이션 기술이 적용된 아파트에서 살고 있었다. 어린시절 담임선생님께서는 너희들이 아버지 어머니가 될 때쯤이면 이 기술이 실생활 속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말씀을 하셨는데 그 기술은 우리의 상상보다 훨씬 더 일찍 적용된 것 같았다.
이미 홈오토메이션은 이미 ‘자이’와 같은 지능형 아파트를 통해 구현되었고 상상속의 알약 또한 섭취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PDA나 무선인터넷이 되는 핸드폰은 대표적인 유비쿼터스 단말기로서 초등학교 아이들 사이에서도 사용되는 그런 흔한 기계가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유비쿼터스 기술에 대한 점검을 해보면 참여정부는 이미 소위 'IT 839전략'을 내세워 'U-KOREA' 정책을 선포했고, 이를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로 진입하는 키워드로 제시했다. 그러나 'IT 강국'이란 명칭과 달리 유비쿼터스에 대해선 이미 길게는 20년 넘게 선진국에 떨어져있는 상태다. 일본의 경우는 유비쿼터스와 유사한 ‘트론’(TRON·The Realtime Operating Nucleus)을 준비하고 있다.
우리나라 신문이나 방송매체에서 유비쿼터스를 다룰 때 ‘세계의 주도권’, ‘경제적 이익’, ‘생활의 편의성’, ‘첨단성’ 등의 긍정적 면만을 부각시켰지만 '마이카 시대'의 도래가 우리에게 편의성과 공해 및 교통사고라는 양면성을 가져다 준 것처럼 미래의 유비쿼터스 시대에서도 이에 동반하게 될 부정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인터넷이 일반화된 환경 속에서 인터넷 뱅킹 사기, 인터넷 중독으로 인한 개인의 정신적 사회적 피해는 경제적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휴대폰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수능 부정행위는 고도로 발전된 기술에 비해 그것을 통제할 수 있는 기술의 발전이 미미하다는 것을 결정적으로 보여준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밖에도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의 단말기로 다양한 정보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는 긍정적 면 뒤에는 청소년들이 음란물에 더욱 쉽게 다가갈 수 있다는 부정적 면 또한 숨어있었다.
또 2005년도 1월 BMS시스템 장애로 서울의 대중교통이 마비된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현재 이러한 기술이 없는 상황을 대비한 대체기술이 부족하며 사람들의 의식 또한 기술에 길들여져 있기 때문에 그것이 사라졌을 때 우왕좌왕 하는 즉 어느새 기술에 종속된 우리의 일면도 볼 수 있었다.
또 다른 부정적 면으로 지금현재의 유비쿼터스 환경은 가진 자들만이 누릴 수 있고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현될 수 있는 단말기들은 그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서민층들은 쉽게 이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가진 자들만이 전유하는 유비쿼터스는 경쟁력이 없다. 유비쿼터스에서 앞서는 나라가 세계의 경쟁력과 영향력을 선점하게 되므로 온 국민이 공유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정부와 기업이 주도하여 만들어야 할 것이다. 또 그 기술에 대한 개념과 사용방법을 정확히 숙지하여 기술에 대해 능동적인 입장을 취하여 기술이 배제된 상태에서도 아무런 불편 없이 살아 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 하루가 멀다 하고 변해가는 기술에 대해 사회적으로 기술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장치들이 시급히 마련되어 그것으로 발생될 수 있는 만약의 사태에 대해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가 인간의 성장을 인위적으로 막을 수 없는 것처럼 인간 기술의 진보는 막을 수없다. 그리고 유비쿼터스 기술의 선도적역할로 인한 부가가치는 무궁무진하다. 이 논문을 통해 우리는 유비쿼터스의 개념과 그것이 실생활에 쓰인 것을 조사해 보았다. 또 이를 토대로 본격적인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면과 함께 부정적인 면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숙지하며 이 소논문을 마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4.29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