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복식에 용용된 초현실주의적 표현방법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복식에 용용된 초현실주의적 표현방법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현대복식에 용용된 초현실주의적 표현방법 고찰(1)
Ⅰ. 서 론

Ⅱ. 초현실주의 예술양식의 문화적 배경

Ⅲ초현실주의의 유래 및 특성

Ⅳ. 데페이즈망(depaysement)기법

Ⅴ.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한 현대복식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Pexton Murray, Changing Style in Fashion Who, What, Why(New York: Fairchild, 1990), pp.131-133
6) '89-'94' S&S, A&W Paris London Collection, (東京: Gap Japan, Co. Ltd., 1991)
7) 임영방, 「현대미술의 이해」,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3), p.23.
8) 閔錫泓, 「西洋史槪論」, (서울: 三英社, 1991), p.570.
9) 차하순, 「서양사총론」, (서울: 탐구당, 1980), p.700.
10) 趙景來, 「西洋現代史」, (서울: 日新社, 1990), pp.394-396.
11) 배영수 편, 「서양사 강의」, (서울: 한울, 1993), p.489.
12) 閔錫泓, Op. Cit., p.636.
13) Rene Albrecht-Carrie, Diplomatic History of Europe, (New York: Haper & Row, 1973) 「유럽외교사/하」 김영식, 이봉철 역, (서울: 까치, 1993), pp.574-594)
14) 閔錫泓, Op. Cit., p.641.
15) 趙景來, Op. Cit., p.514.
16) 배영수 편, Op. Cit., p.528.
17) 閔錫泓, Op. Cit., p.659.
18) 정흥숙, 「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1989), p.300.
19) 신상옥,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1990), p.346.
20) 배영수 편, Op. Cit., p.523.
21) 趙景來, Op. Cit., p.529.
22) 曺佐鎬, 「世界文化史」,(서울: 博英社, 1987), pp.656-657.
23) 閔錫泓, Op. Cit., p.662.
24) 호세 피에르, 「초현실주의」, 朴淳鐵 역, (서울: 열화당, 1990), p.5.
25) Ibid., p.5.
26) Herbert Read, Futurism Dada Surrealism-A concise history of modern painting, (New York: Frederick A Raeger Inc. 1964), p.132.
27) 신현숙, 「초현실주의」, (서울: 동아출판사, 1992), pp.75-76.
28) 李逸, 「西洋美術의 系譜」, (서울: PI, 1992), P.284.
29) 신현숙, Op. Cit., p.86.
30) Sarane Alexandrian, Surrealist Art, (London: Thames and Hudson, 1985), pp.163,232
31) Ibid., p.232.
32) C. W. E. Bigsby, Op. Cit., p.73.
33) H. W. Janson, A Basic History of Art, (New York: Harry N. Abrams Inc., 1971) 「서양미술사」, 李逸 편역(서울: 미진사, 1985), pp.301-305.
34) J.L. 페리에 편, 「20세기 미술의 모험Ⅰ」, 김정화 역 (서울: API, 1990), P.237.
35) C. W. E. Bigsby, Op. Cit., p.62
36) A. Neumeyer, 「현대미술의 의미를 찾아서」李京禧 역, (서울: 열화당, 1992), p.108.
37) W. Haftmann, Painting in the 20th Century, 1960, p.274
38) 호세 피에르, Op. Cit., p.17.
39) 이본느 뒤플레시스, 「초현실주의」, 趙漢卿 역, (서울: 탐구당, 1993), pp.164-165.
40) LEXPOSITIONDE ARTISTES EUROPEENS CONTEMPORAIN, Hyundae Art Gallery, 1995. 1. 4. -1. 19, p.18.
41) 김해성, 「현대미술을 보는 눈」, (서울: 열화당, 1985), p.79.
42) Jacques Meuris, Rene Magritte, (Germany: Benedick Taschen, 1992), p.103.
43) 정영진, "Rene Magritte의 영혼과 현상에 관한 고찰", 세종대 석사학위 논문, 1988, p.12.
44) J.L. 페리어 편, Op. Cit., p.352.
45) Suzi Gabric. Magritte, (London: Thames & Hudson, 1985), p.123.
46) 金寄惠, "르네 마그리트(Rene Magritte)회화에 있어서의 '역설'연구", 이대석사학위논문, 1991, pp.17-18.
47) 박서보, 「Magritte」, (서울: 지소림, 1987), p.110.
48) Robert Hughes, The Shock of the New, (New York: Alfred A. Knopf, Inc., 1981) 「새로움의 충격」, 최기득 역(서울: 미진사, 1993), p.229.
49) 小倉忠夫, 現代世界美術全集(22)-Ensor/Magritte, (東京: 集英社, 1974), p.134.
50) 박서보, 「Magritte」, (서울: 단문당, 1982), p.66.
51) 小倉忠夫, Op. Cit., p.137.
52) Rebert Hughes, Op. Cit., p.230.
53) 박서보, 「Magritte」, (서울: 단문당), Op. Cit., p.26.
54) Ibid., p.22.
55) Suzi Gabric. Op. Cit., p.123.
56) 李逸, Op. Cit., p.282.
57) 이효진, "현대의상에 표현된 인상주의 회화양식에 관한 고찰", 중대박사학위 논문, 1993, pp.14-15
58) Richad Martin, FASHION AND SURREALISM, (New York: Rizzoli, 1990), p.77
59) Palmer White, Elsa Schiaparelli, (New York: Rizzoli, 1986), pp.150-151.
60) Richard Martin, Op. Cit., pp.114-115, 123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4.29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6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