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직업재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장애인의 직업재활
1. 장애인 의무 고용 제도
2. 한국 장애인 고용촉진 공단(http://www.kepad.or.kr)
3. 그 외 다양한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
4. 재택근무지원
5. 직업능력평가
6. 장애인고용정보시스템

본문내용

※ 직업능력평가센터는 공단의 전국 13개 지사와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등 4개 보건복지부 직업재활 사업 수행기관에 설치되어 있다.
(대구지사053-746-8911~3)
6. 장애인고용정보시스템
장애인 고용정보 시스템은 공단 13개 지사와 166개 보건복지부 직업재활사업 수행기관이 연계되어 있는 장애인 종합 취업정보망이다.
1)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라도 쉽고 편리하게 장애인 고용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2) 온라인 상에서 장애인과 사업주가 직접 구인·구직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건을 이용하여 검색이 가능합니다. 원하는 정보에 맞춰 사용자는 일자리와 인재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3) 공단에서 제공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장애인단체, 직업재활센터, 직업훈련시설 등으로 구성된 166개 보건복지부 직업재활사업 수행기관에서 제공하는 폭넓은 고용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4) 이용방법
(1)장애인 고용정보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회원가입(무료)하신 후 인증을 받아야한다. 인증이란 해당기관의 담당자가 회원가입 신청내용이 사실과 맞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2)맨 처음에는 회원가입과 구직신청이 동시에 가능하며 이후에는 로그인 후 개인정보 수정 및 구직신청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3)인재를 구하려는 사업주의 경우에는 우선 사업장을 등록하여 인증을 받으시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초에는 사업장 등록과 구인 신청이 동시에 가능하며 이후부터는 등록절차 없이 구인신청이 가능하다.
(대구지사053-746-8911~3)
*일자리 찾는 장애인
*인재를 구하는 사업주
5) 한국 장애인 고용안정협회(http://www.kesad.or.kr)
(1) 주요사업- 지방장애인기능경기대회, 직업재활, 전국장애인근로자문화회, 장애청년직업찾기교육, 안전보건환경실태조사
(2) 채용정보 및 인재정보
-채용정보: 채용을 원하는 업체가 구인광고를 올리는 곳
-인재정보: 일하기를 원하는 사람이 자신의 정보를 올리는 곳
※참고문헌
문서자료
1. 이상춘(1993). 장애인 직업적응을 위한 재활방법. 양서원.
인터넷자료
1. 대구 직업능력개발센터 http://www.dgvti.or.kr
2. 한국 장애인 고용안정 협회 http://www.kesad.or.kr
3. 한국 장애인 고용촉진 공단 http://www.kepad.or.kr
4. 한국 직업 재활 정보센터 http://www.kvric.com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5.2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0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