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성곽의 특징과 분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라 성곽의 특징과 분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성곽의 개념 및 기원

3. 한국 성곽의 특징

4. 신라성곽의 특징

5. 신라 성곽의 분포
(1)월성(月城)
(2)명활산성(名活山城)
(3)남산성(南山城)
(4)부산성(富山城)
(5)창녕 화왕산성(火旺山城)
(6)보은 삼년산성(三年山城)
(7)청주 상당산성(上儻山城)
(8)상주 금돌산성(今突山城)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길게 다듬은 돌
으로 잘 쌓은 남문 성벽도 이 때 축조한 것이다. 성벽의 곳곳에 여장이 설치돼 있던 흔적이 남아 있고 성안에는 큰 연못과 군창터가 있다.
(8)상주 금돌산성(今突山城)
경북 상주와 충북 영동의 도계(道界)에 위치한 백화산(白華山)에 안팎 이중으로 쌓았다. 외성은 산 어귀에서 좌우 능선을 따라 뻗어나가고 내성은 정상 근처에 타원형으로 축성되었다. 외성에는 거대한 석재들이 무너져 돌더미를 이루었으며 지금도 성문터가 남아있다. 내성 안에는 300평 가량의 궁궐터와 높이 12미터나 되는 석축이 2단으로 남아있다. 김유신이 백제 정벌을 위해 5만 군사를 이끌고 떠난 뒤 신라 무열왕이 금돌산성에 들어와 한 달 동안 머물면서 전황을 보고 받았다고 한다.
맺음말
지금까지 우리나라 성곽의 특징과 그 중 신라시대의 성곽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뛰어난 축성기술을 자랑했던 신라의 성곽은 고구려, 백제와는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끊임없는 외적의 침입에 대항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방어체계였다고 볼 수 있다. 성곽은 그 하나 하나가 역사의 산물이고, 조상들이 살아온 삶의 발자취이며 외적의 침입이 많았던 우리 역사 속에서는 외적을 막아 국토를 지키려 했던 선인들의 끈질긴 호국의지이다. 다른 나라와는 달리 우리나라의 성곽은 자연 형세를 그대로 이용하여 자연에 거슬리지 않고 자연에 순응하는 우리의 민족성도 남아 있다. 따라서 한국의 성곽은 한국지형에서 발생한 한국적인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반영환, 최진연, 『한국의 성곽』, 대원사, 1990
장경희, 외, 『한국 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키워드

신라,   성곽,   신라성곽,   신라성,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5.30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22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