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발레와 한국 발레의 역사 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세기 발레와 한국 발레의 역사 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1920 ~ 50년대

2. 1960년대 이후

3. 한국 발레의 역사

본문내용

운영되고 있는 발레단이기도 하다.
한편, 국립발레단과 함께 한국 발레를 이끌어 가고 있는 또 하나의 발레단인 유니버설 발레단이 한국문화재단에 의해 1984년 미국인 애드리언 달라스를 예술감독으로 창단되었다. ‘신데렐라’를 창단 무대에 올린 이 발레단은 초기부터 세계적인 무용가를 초빙해 협동 작업을 시도함으로서 단시일에 주목할 만한 국제적인 감각을 습득하는데 성공하였으며, 1986년 아시아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한국 창작발레의 주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심청’을 선보여 큰 호평을 받았다. 이어 1987년 2대 예술감독으로 아메리칸 발레단 출신의 다니엘 레반스와 1988년 3대 감독으로 뉴욕시티 발레단 출신의 로이토비아스가 임명되었다. 당시에 미국을 비롯한 유럽의 무용수들도 다수 객원 또는 정단원으로 활동해 현재에도 이 발레단에는 다국적의 단원들이 활동하고 있다. 전통 클래식 발레를 중심으로 다양한 레파토리를 선보이던 유니버설 발레단은 한국과 러시아 수교 초기인 1992년 러시아 키로프 발레단의 제작자들과 협동으로 쁘띠빠 원작을 바탕으로 비노그라도프의 백조의 호수 전막을 공연하였으며, 1998년에는 전 키로프발레단의 예술감독이었던 올레그 비노그라도프를 예술감독으로 영입하였다. 초창기부터 일본을 위주로 동남아 순회공연을 매년 해왔고, 러시아 고전발레와 한국 창작 발레를 주요 레퍼토리로 국내와 북미, 유럽 등의 세계 순회공연을 병행하여 국내. 외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에는 정기적으로 현대무용가들과의 작업을 통해 현대적 작품을 무대에 올리고 있다.
1995년에는 유니버설 발레단 출신의 제임스 전, 김인희를 주축으로 두 번째 사설 발레단인 서울발레싸어터가 창단되었다. 기존의 고전 작품보다는 록 음악과 플라잉 기법을 사용하는 대표작 ‘현존’과 같이 현대적인 색채의 다양한 창작 발레로서 대중화의 기치를 들고 창단되었다. 초대 예술감독으로 유니버설 발레단의 3대 예술감독이었던 로이 토비아스가 합류하였다.
현재 국립발레단, 광주 시립발레단, 유니버설 발레단, 서울발렌시어터 등의 4개 발레단이 전문적 단체 체제를 구축하고 활동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발레 무용수들이 세계적인 무대와 대회에서 상위에 입상하는 등 점차 세계 발레의 변방에서 주류로 진입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으나, 아직 미숙한 국내 여건 하에서 독자적인 색채를 지닌 완성도 높은 작품의 출현에 대한 기대와 우료의 목소리가 공존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경쟁력 있는 창작품의 출현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제도 장치가 마련되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권윤방 외, 무용학개론, 대한미디어, 2003년.
김옥진, 무용의 이해, 한양대학교출판부, 1998년.
김혜정, 한국무용사의 이해, 형설출판사, 2003년.
안제승, 무용학개론, 신원문화사, 1992년.
김말복, 무용의 이해, 예전사, 2000년.
황경숙, 한국무용의 인문학적 이해, 대경북스, 2005년.
장사훈, 한국무용개론, 대광문화사, 1997년.
정소영, 무용의 이해, 충남대학교출판부, 2000년.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6.07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7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