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물리치료기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록 >

1. 개 요

2. 신경계 손상의 일반적 질환
①뇌졸증(CVA)
②외상성 뇌손상(TBI)
③척수 손상(CSI)
④다발성 경화증(MS)
⑤파킨슨병
⑥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⑦뇌성마비

3. 평가원리와 기법
①인지력
②의사소통
③기능적 활동
④운동조절
⑤긴장도
⑥감각과 지각
⑦유연성

4. 치료원리
1)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PNF)
(1)이론적 배경
(2)기본원칙
(3)테크닉
2) 보바스
(1) 보바스치료의 최신 정의
(2)기본원리
3) 보이타
(1) 보이타의 기본원리
(2)Vojta치료법 개요
(3) 보이타 치료의 적용범위(신생아 - 어른)
(4) 치료량의 결정
(5) 치료 시작
(6) 꼭 필요하지 않지만 효과를 볼 수 있는 경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해 고정되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즉 스윗치를 바꾸어 끼우므로 인해 정상적인 부분 model을 정상적인 모양으로 vojta 치료로서 비정상적인 스윗치로 바꾸지 않게 하는 동안 정상적인 운동발달을 발달해 나가게 한다. 이러한 것들은 조기치료가 얼마나 중요한 지를 이야기 한다
보이타 박사는 뇌성마비아의 자발운동성(spontaneous motions)을 관찰하여 운동발달연령과 연대연령(chronological age)을 비교하고 자신에 의해 체계화된 7가지 자세 반응평가 및 원시반사검사를 통한 이학적 검사의 조기 진단법을 만들어 조기치료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보이타 치료법은 반사적 진행 동작인 반사적 기기와 반사적 뒤집기인 신경생리학적, 발달 운동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비정상적인 발달 및 병적 상동증을 고정되지 못하게 하면서 정상운동 발달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보이타 치료법의 기본 원리는 소통체계로서의 반사적 이동동작으로 이해되는데, 반사적 이동동작이란 ① 자세반응 ② 정립기전 ③ 위상성 동작을기본 원칙으로 한다. 소통체계는 중추신경계(CNS)로의 일정한 구심성 자극과 중추에서의 목적있는 처리, 이로부터 일정한 원심반응 및 이 모든 과정이 끊임없이 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중추신경계가 보유하고 있는 정상적인 패턴에 치료 전에는 접근할 수 없었던 것이 치료에 의하여 일정한 통로가 생겨 중추신경계가 활성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소통에 의하여 패턴의 출현을 장려하려는 새로운 능력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 소통체계에 의해 생후 첫 1년에는 신체상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는 일생을 통하여 무의식적으로 자세유지, 정립, 목적있는 진행동작을 위하여 유도된다. 보이타 치료는 반사적 기기와 반사적 뒤집기의 전신적인 즉, 신체 전체가 포함되는 감각운동적인 자세 패턴과 운동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반사적 기기는 그 부분 패턴으로서 인간의 정립과 진행동작의 초석을 포함하고 있다. 반사적 뒤집기는 인간의 개체발생에서 일어나는 것으로서 영아의 정상발달에서 그 전체적인 복합체를 볼 수 있다. 보이타의 소통체계에서는 반사적 기기와 반사적 뒤집기의 전신적인 즉, 신체 전체가 포함하는 감각운동적인 자세 패턴과 운동 패턴을 통하여 이러한 길을 열 수 있다. 반사적 기기와 반사적 뒤집기는 합목적적인 치료로서의 기준을 갖추고 있다. 즉, ① 일정한 출발자세 ② 일정한 유발점 등에 가하는 적당한 자극과 그 고유수용성 감각 - 자동적 조정에 의한 시간성 공간성 소통을 유도 ③ 일정하고 운동적으로 기술될 수 있는 운동적 응답의 재생성 - 정상 중추신경계의 선천성 총체적 패턴 ④ 개인에 따른 운동력의 조절성이다. 이러한 기준으로부터 치료사에게나 환자에게나 유발점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뚜렷해진다. 유발점들은 중추신경계로 들어가는 열쇠로서 선천적으로 타고난 프로그램을 드러내 놓을 수 있는 것이다. 유발점을 통하여 공간적, 시간적 소통은 알맞은 정도로 촉진시킴으로써 반사적 기기와 반사적 뒤집기의 전신적인 자세 및 운동 패턴의 조정 및 원격응답의 총화로써 협동운동 복합체가 이루어지며, 이 협동운동 복합체를 사용하여 대뇌에 비정상적인 자세 및 운동 패턴이 기억되는 것을 억제하고 정상적인 패턴을 촉진시켜 대뇌에 잠재기억을 형성하여 잡기, 뒤집기, 앉기, 서기,기기, 걷기등의 정상발달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3) 보이타 치료의 적용범위(신생아 - 어른)
- 소아 학령기 청소년 틀에 짜인 조각을 성장기나 발달에 맞게 적당한 자극을 통하여 틀을 맞히는 의미를 가진다.
- 어른 중추신경계에 타고난 기본 패턴을 새로 불러내는 것이다.
(4) 치료량의 결정
1) 영아나 소아는 하루에 4회를 균등하게 3시간 간격으로 치료함을 원칙으로 한다.
2) 학생, 청소년, 어른은 하루에 3번이 적당하나 목표설정, 가능성에 따라서 1-3번 선택할 수 있다. 3) 가정치료시 20-30분을 하며, 나이와 견디는 능력에 따라서 틀릴 수 있다.
4) 치료후 바로 잠자는 것은 치료적 효과가 없으며 치료하기 전후 30분동안 먹지 말아야 한다. 그 이유는 치료적 효과가 중추신경계에 도달되지 못하고 중단되어 치료적 효과가 없어진다.
(5) 치료 시작
- 중추성 협응운동 장애아(조기 진단시)는 생후 6개월 미만에 치료를 실시해야 한다. - 상완 신 경총 마비아는 생후 10일부터 치료를 실시한다.
- 사경은 생후 1세부터 실시한다. 단, 조기 진단시 비대칭 중추성 협동 운동 장애(CCD)로 판단되 기 쉽기 때문에 조기치료 대상이 되므로 1세 이전에 실시될 수도 있다.
- 중간 정도 또는 중증인 중추성 협동운동 장애
- 경한 비대칭적 중추성 협동운동 장애
- 영아에서 심한 근육적 또는 신경적 측만증
- 말초신경마비
- 척수신경 손상 또는 수두증
- 선천적 기형
- 근육병
(6) 꼭 필요하지 않지만 효과를 볼 수 있는 경우
- 다운증
- 운동 지체아
- 정립 또는 자세 이상아(C형태 측만증, 전만증)
- 고관절 기형
- 발의 기형
【금기증】
1) 갑상선 호르몬 치료시
2) 예방 접종 후 1주간
3) 체온이 38.5℃ 가 넘을 때 ※조기치료를 하는 이유
- 뇌의 plasticity(적응성, 유연성)가 미숙한 뇌
- 뇌의 2차 변성을 저지
- 병적 운동의 고정화 저지
- 정형 외과적인 관절의 구축예방
- 성취동기를 이끌어 낸다.(motivayion)
- 어린아이는 취급하기가 용이하다. 이러한 조기 발견과 더불어 조기치료가 중요하지만 치료의 효 과를 위해서 요구되는 것이 있다.
- 유능한 치료사
- 부모의 애정과 참여도
- 어린이의 motivation 이 세조건은 호흡이 잘 되어야 한다. 유능한 치료사는 사랑과 함께 어린아 이에게 적절한 치료의 기술로 부모를 교육하여 가정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부모는 치료 사의 치료기술을 익히고 교정을 받으며 유아에게 애정의 손길로 1일 3-4회 정도 치료에 임해야 한다.
≪참고문헌≫
물리치료학개론 (배성수외, 대학서림)
영아기의 뇌성운동장애 (보이타지음, 일조각)
http://www.kbobath.com/
http://bhwang.hihome.com/
http://kpta.co.kr
http://www.pnf.or.kr/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1.04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8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