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 70년대 시나리오 분석 - '마부', '영자의 전성시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작품분석1. <마부>
1. 시대개관(60년대)
2. 작가소개
3. 작품소개
4. 작품분석
5. 의의
*작품분석2. <영자의 전성시대>
1. 시대개관(70년대)
2. 작가소개
3. 작품소개
4. 작품분석
5. 시나리오와 소설의 차이점
6. 결론

Ⅲ. 결론

본문내용

를 안고 있는 영자의 얼굴 클로즈업과 영자의 남편과 창수가 나란히 도로를 질주하는 엔딩 장면은 이 영화가 초반에 보여준 극 사실주의적인 포커스와 달리 비현실적인 드라마로 격하되는 아쉬움을 남긴다.
5. 소설과 시나리오의 차이점
첫 번째로, 창수와 영자의 재회 방법이 다르다. 소설에서는 창수가 월남전에서 돌아온 후 목욕탕에서 때밀이 일을 하면서 약간의 여유가 생긴다. 그러자 군대 가기 전에 사귀었던 창숙을 찾아 나서기 위해 사창굴에 갔지만, 꼭 이 이유 때문에 사창굴을 찾은 것은 아니었다. 단지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사창굴을 찾았고 그 과정에서 우연히 영자를 다시 만나게 된다. 하지만 시나리오에서는 영자가 손님과 다투다가 경찰서에 잡혀가고 이 과정에서 창수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창수는 단지 영자만을 보러가기 위해 사창굴을 찾는 등 지고지순한 사랑을 보여준다.
두 번째로, 시나리오에서는 소설에 비해 멜로적인 요소가 더욱 부각된다는 것이다. 시나리오에서는 영자가 병에 걸려서 창수가 영자를 병원에 데려가는 등 그녀를 챙겨주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영자와 창수의 재회 후에 영자가 다시 창수를 떠나게 되는데 그 이유가 다분히 멜로영화적이다. 하나 더하기 하나는 둘이지만, 하나 빼기 하나는 영이므로 즉 영자와 창수의 만남은 영인 만남이라는 김씨의 말에 영자는 고민에 빠진다. 결국 영자는 자신이 창수에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사랑하기 때문에 그를 떠난다. 이러한 멜로적인 요소가 소설에서는 드러나지 않는다.
세 번째로, 소설과 시나리오의 가장 큰 차이점은 결말부분이다. 시나리오에서는 후에 영자가 용철을 만나 결혼을 하고 딸아이까지 낳은 후 평범한 어머니가 된다. 그리고 우연한 기회에 창수를 만나게 되고 창수는 진심으로 영자의 행복을 빌어준다. 이렇게 시나리오는 해피엔딩으로 끝을 맺지만, 소설은 비극적인 결론을 맺는다. 소설에서는 사창굴을 완전히 소탕시키겠다는 당국에 방침에 의해 경찰의 단속을 피해 영자는 지붕을 타고 넘어 창수와 함께 도주를 한다. 그리고 보름쯤 후에 영자는 사창굴에서 일할 당시 나이롱에게 맡겨두었던 돈을 찾으러 그녀를 찾아 청량리 사창굴 일대에 갔다가 원인 모를 화재로 인해 죽게 된다. 사실 이 화재는 영자가 지른 것으로 은연중에 드러난다. 이 마지막 부분에서 잠시 살펴 볼 수 있는 것은 사창굴에 대한 경찰의 ‘불도저 작전’은 월남전에서의 ‘중대가 베트콩 잔비들을 깨끗이 소탕하는’ 것과 같은 일종의 전쟁이다. 자신이 맡겨둔 돈을 찾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사창굴로 들어갔다가 결국 불에 타 죽은 영자의 주검을 보면서 창수는 월남전때 화염방사기에 타 죽은 베트콩의 시체를 연상한다. 그 전쟁에서 비참하게 전사한 베트콩이 바로 영자임을 소설은 환기하는 것이다.
이 밖에도 소설은 시나리오에 비해 작품이 겉은 웃음으로 치장하고 있지만 속에서는 피눈물을 흘리는 식으로 즉, 가벼운 웃음 속에 눈물 내장하기 형태로 나타나며 영자의 삶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을 고발하고 있다. 그리고 시나리오에서는 영자의 입장에서 영자를 기준으로 내용이 전개 되는 반면, 소설에서는 창수의 입장에서 내용이 전개 되는 차이점이 있다.
이렇게 소설과 시나리오가 차이점을 가지는 이유를 나름대로 생각해 보았다. 첫 번째로, 아무래도 영화는 관객을 모으고 흥행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상업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
러므로 시나리오에 관객의 주의를 사로잡을 수 있는 멜로적 요소가 더욱 첨가 되고 부각 된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 당시 1970년대 시대상으로 봤을 때 영화산업 쪽에 강한 억압과 제제가 가해졌기 때문에 소설의 비극적 결말을 차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았을 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6. 결론 및 평가
지금까지 1970년대 영화사부터 시작하여 <영자의 전성시대>의 작가, 작품 세부 내용, 작품의 의의와 한계, 소설과 시나리오의 차이점까지 살펴보았다. 이 작품은 <영자의 전성시대>라는 반어적인 제목을 사용하여 급속한 근대화 속에서 소외된 계층과 산업화의 피해자이자 희생양인 여성들을 ‘영자’라는 인물에 투영시켜 그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 실제로 올해 5월 초에 ‘서울환경영화제’가 있었는데 ‘회고전 - 서울 스펙트럼: 1950-2000’이라는 이름 하에 각 연대 별로 다섯 편의 영화가 준비 되었고 이는 한국 대중영화 속에 재현된 서울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서울이라는 환경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대화를 이끌어 보자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그리고 이 <영자의 전성시대>가 한국의 197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영화로 꼽혀서 상영 되었다. 그만큼 <영자의 전성시대>는 당대의 시대상을 영화 속 멜로적 요소와 잘 버무려 표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Ⅲ. 결론
1960,70년대 영화사 전반을 공부하면서 우리가 주목한 <마부>와 <영자의 전성시대>로 시대의 흐름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시간을 60년대와 70년대로 시간을 딱 잘라 구분하기 모호한 점도 없지 않았으나 60년대 사회 변화상을 잘 그려낸 <마부>와 70년대 산업화 시대에 대다수의 관객이 공감한 <영자의 전성시대>를 고찰함으로써 그 시대와 작가의 의식상태, 그리고 그 작품을 공감 할 수 있었던 관객의 모습을 나름대로 그려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완벽한 연구는 아니겠지만 이번의 두 작품을 공부 하면서 우리는 미약하지만 결론을 내려 보고자 한다. <마부>와 <영자의 전성시대>로 이어지는 작품을 보고 급변하는 산업화 시대의 농촌에서 도시로 내몰린 서민들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또 그러한 서민을 그려낸 작품이 흥행에 성공하였다는 점은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그 영화에 공감을 하고 있었다는 증거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60,70년대 영화의 모습은 서민들의 애환을 그려내는 것에 주목한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작품분석1. <마부>
1. 시대개관(60년대)
2. 작가소개
3. 작품소개
4. 작품분석
5. 의의
*작품분석2. <영자의 전성시대>
1. 시대개관(70년대)
2. 작가소개
3. 작품소개
4. 작품분석
5. 시나리오와 소설의 차이점
6. 결론
Ⅲ. 결론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6.25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6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