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포늪 서식생태 생물도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포늪 서식생태 생물도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 효과가 있고, 지혈 작용이 있어 코피·토혈·소변 출혈에 사용하며, 림프절결핵·유방염·치질 등에 외용한다. 동아시아·유럽·인도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가시연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Euryale ferox 분류 수련과 분포지역 한국(경기·강원 이남)·일본·중국·인도·타이완 등지 서식장소 못이나 늪 크기 잎 지름 20∼200 cm 개연이라고도 하며, 못이나 늪에서 자란다. 풀 전체에 가시가 있고 뿌리줄기에는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씨에서 싹터 나오는 잎은 작고 화살 모양이지만 큰잎이 나오기 시작하여 자라면 지름 20∼200 cm에 이른다. 잎 표면은 주름이 지고 광택이 나며, 뒷면은 짙은 자주색이다. 잎맥이 튀어나오고 짧은 줄이 있으며, 양면 잎맥 위에는 가시가 있다.
7∼8월에 가시 돋친 꽃자루 끝에 1개의 자줏빛 꽃이 피는데, 꽃잎이 많고 꽃받침조각보다 작다. 수술도 많아서 8겹으로 돌려나며, 8실의 씨방은 꽃받침 아래 위치한다. 열매는 길이 약 5∼7 cm로 둥글고 겉에 가시가 있으며 끝에 꽃받침이 남아 있다. 씨는 둥글고 열매 껍질은 검은색이다.한방에서는 씨를 감실이라 하여 가을에 채취하여 강장제로 사용한다. 뿌리를 감인근, 잎을 감인엽이라 하여 약용하며 뿌리줄기는 식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인도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한국에서는 전주·익산·대구·경산·광주·함평·나주·경기도 서해안·강릉 등지의 못에서 자생하였으나 수질 오염으로 멸종위기에 있다. 1986~1990년까지 5년간 실시한 제1차 자연생태계 전국조사 결과 대부분의 분포 지역에서 멸종되었거나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사말
외떡잎식물 소생식물목 자라풀과의 여러해살이 수초. 학명 Vallisneria asiatica 분류 자라풀과 원산지 한국 분포지역 한국(제주·강원\·경기·황해\·평남)
서식장소 연못, 강가 크기 길이 30~70cm 연못이나 흐름이 느린 강가의 물 속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흰색이고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나온다. 잎은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뭉쳐나고 반투명하며 줄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잎 위쪽 가장자리에는 희미한 톱니가 있고 길이가 30∼70cm, 폭이 4∼9mm이다.꽃은 단성화로 암수딴그루이고 8∼9월에 핀다. 수꽃은 잎어깨에서 나온 길이 2∼3cm의 꽃대에 붙고 주걱 모양의 포에 싸여 있다. 포에 싸인 부분은 1cm 정도로 많은 수꽃이 달리고, 수꽃이 떨어지면 물위로 올라와 암꽃의 암술에 접근하여 수분(受粉)을 한다. 꽃받침조각은 3개이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1∼3이다.암꽃은, 가늘고 긴 꽃줄기 끝에 달려 물위에서 피고 포에 싸인 부분은 11∼15mm이다. 꽃이 지면 꽃줄기가 꼬이면서 물 속으로 가라앉는다. 꽃받침조각은 3개로 타원 모양이고 암술대는 3개이며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지고 씨방은 하위(下位)이다. 열매는 줄 모양이고 겉이 밋밋하며 길이가 15∼20cm이다. 종자는 원기둥꼴의 양끝이 뾰족한 모양이지만 원뿔 모양에 가깝다. 한국에서는 제주도·강원도·경기도·황해도·평안남도 등지에 분포한다.

키워드

우포늪,   ,   서식,   생태,   도감,   동식물,   생물상,   람사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6.29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6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