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안전교육과 응급처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학교안전사고의 개념
2. 학교안전사고 현황
3. 학교안전사고의 유형과 예방법
1) 학교안전사고의 유형
2) 학교안전사고의 예방
4. 응급처치
1) 응급처치의 개념
2) 응급처치의 중요성
3) 응급처치의 일반 원칙
4) 학교에서 할 수 있는 여러 응급 처치법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환자가 심장과 폐가 정지되었을 때 즉시 심폐 소생술을 실시해야 한다.
- 호흡이 정지되거나 맥박이 뛰지 않은 환자는 구조대가 올 때까지 방치해두면, 산소공급 이 중단 된지 5분 안에 뇌손상을 일으켜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오기 때문에 중요하다.
- 심폐소생술을 할 때, 우선 의식을 확인한다. 귀 가까이에서 환자의 이름을 불러 대답하 는지를 알아보거나 손발을 가볍게 꼬집어본다. 아래위 눈꺼풀을 열어 동궁의 크기가 정 상인가 살펴본다.
- 의식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기도를 확보한다.
- 가슴이 상하로 움직이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때 가슴에 손을 얹어 보아도 된다. 뺨을 환 자와 입과 코 가까이 대보아 호흡이 있는지 알아본다.
- 인지, 중지, 약지 손끝을 환자의 손목과 목젖에서 바깥으로 약 3cm 떨어진 부위에 대어 맥을 짚어 보면서 맥박을 확인한다. 귀를 가슴에 대고 직접 심장 박동을 들어본다.
- 호흡과 맥박이 없으면 심장마사지와 인공호흡을 동시에 실시한다.
- 우선 환자의 가슴을 강하게 쳐준다. 그 후 심장 마사지 15회 후 인공호흡 2회, 다시 심 장마사지 15회 후 인공호흡 2회의 과정을 계속 반복한다.(수 천회를 실시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끊임없이 해야 한다.)
심장마사지 방법
- 흉골의 중간점에 두 손을 포개어 올려놓는다.
- 흉골이 4∼5cm 들어갈 정도로 세게 누른다 : 자신의 두 손과 환자의 흉골이 정확히 90 도가 되어야 한다.
- 1초에 1회 정도 누른다.
인공호흡
- 물에 빠진 사람을 건졌는데 숨을 쉬지 않을 때, 또는 갑자기 쓰러져서 숨을 쉬지 않을 때 인공호흡법을 사용한다.
- 사람의 뇌는 5분 이상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큰 문제가 생기게 되므로 구조대가 오기 전에 인공호흡법을 하는 것이 좋다.
① 환자를 반듯하게 눕힌다.
② 한쪽 손은 이마에 놓고 다른 손은 목 뒤에 대 턱을 들어올려 머리를 뒤로 젖히게 해서 숨이 잘 통하게 한다.
③ 입속에 구토물 등 이물질이 있는 경우 머리를 옆으로 돌려 이물질을 꺼낸다.
④ 손가락으로 혀를 눌러 꺼낸다. 의식을 잃은 경우 혀가 말려 기도를 막는 경우가 있다.
⑤ 한 손으로 코를 막고, 환자의 입에 자신의 입을 완전히 밀착해서 댄다.
⑥ 환자의 가슴이 부풀어올 때까지 숨을 불어 넣는다.
⑦ 처음 두세 번은 약간 빠르게, 그 후에는 어른은 5초에 한번, 어린이는 3초에 한번씩 인 공호흡을 한다.
⑧ 번번이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를 보고 불어넣은 숨이 폐로 들어갔는지를 확인한다.
⑨ 숨을 내쉬는 것을 확인할 때는 볼을 입에다 대본다.
⑩ 맥박도 없을 때는 심폐소생술을 해야 한다.
Ⅲ. 결론
학교는 학생들이 일과의 대부분을 보내는 곳이다. 학교가 안전한 곳이 되지 못할 때, 학생들은 불안감을 가지게 되며, 학습활동에 열중할 수 없게 된다. 학교가 학생의 안전을 보장해 주지 못할 때, 학교교육은 고유의 목적과 가치를 추구할 수 없게 되어 학교 자체의 존재 의미를 상실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에서 안전한 학교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는 일은 학습 활동 이상의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사실, 학교에서 발생하는 대부분 사고는 예방이 가능한 것들이다. 따라서 안전한 학교생활을 통해 충분히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생각과 준비 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하며,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의 실현을 위해 학생들이 안전하게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시켜 주는 동시에,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안전관리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학생들에게 정기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안전의식을 생활화하고 불의의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의식을 일깨워 주어야 하며, 또한 학교 내 시설물에 대한 안전 점검표를 작성하고 정기적으로 학교 주변 안전 실태를 점검하는 노력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사 스스로가 안전 수호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를 갖는 것이다.
지금까지 학교안전사고와 응급처치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았는데, 학교안전사고의 범위는 상당히 광범위하고 또한 사고라는 것은 워낙 우발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에 간단히 정의내리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이번 보고서를 통하여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학교교육의 현장에서 지금도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학교안전사고에 대해 보다 관심을 갖고 안전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가질 수 있었다. 또한 바람직한 교육과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학교안전사고에 대한 철저한 대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 (물론 학교안전사고에 대한 예방이 최우선이지만) 일단 일어난 학교안전사고에 대한 정확한 대처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교사가 될 사람으로서 우리 모두는 학교현장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의 끊을 놓지 말아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한국아동안전관리교육협회 편(2003). 아동안전교욱개론. 서울: 학문사.
김수현(2001). 학교안전사고에 대한 교원의 법적 책임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병익(2000). 초등학교 체육수업 시에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향옥 역(2002). 아마다 마코토, 야규 겐이치로 저, 다쳤을 때는 어떡할까? 응급처치. 서 울: 비룡소.
교육인적자원부 http://www.ken.go.kr/
경기도교육청 http://www.moe.go.kr/
꼬마 안정짱 http://ccoma.redcross.ac.kr/
응급처치와 건강상식 http://www.lifestar.pe.kr
어린이 안전재단 http://www.childsafe.or.kr/
소방방재청 http://www.nema.go.kr/
이기선의 응급처치 http://my.netian.com/~fenoboy/firstaid/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학교안전사고의 개념
2. 학교안전사고 현황
3. 학교안전사고의 유형과 예방법
1) 학교안전사고의 유형
2) 학교안전사고의 예방
4. 응급처치
1) 응급처치의 개념
2) 응급처치의 중요성
3) 응급처치의 일반 원칙
4) 학교에서 할 수 있는 여러 응급 처치법
Ⅲ. 결론
■ 참고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7.06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0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