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DMB란??

DMB도입의 역사

지상파DMB와 위성DMB의 구분

DMB 서비스의 주요 특성

DMB의 경제적 전망

우리나라 경제와 IT산업에 기여

DMB의 서비스 속성과 의의

DMB를 둘러싼 논란 및 쟁점

DMB 수익모델과 서비스 제공 현황

DMB 수요 분석

요약 및 결론: DMB 시장 활성화 방향

본문내용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지상파 DMB의 가입자 수는 856.4만 명(전체 DMB 가입자 규모의 64.6%)이었으며 위성 DMB의 가입자 수는 469.2만 명(전체 DMB 가입자 규모의 35.4%)으로 추정되어, 지상파 DMB의 가입자가 위성 DMB의 가입자보다 1.8배 정도 상회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9.요약 및 결론: DMB 시장 활성화 방향
DMB의 잠재적인 가입자 규모를 예측하면 2010년에는 지상파 DMB는 대략 820만 명, 위성 DMB는 450만 명이 존재할 것으로 예측된다. 지상파 DMB는 공중파 방송을 중심으로 핸드폰, 노트북 및 차량용 단말의 다양한 매체기기에서 수요가 균등하게 나타났으며, 위성 DMB는 교육, 동영상과 같은 프리미엄형 콘텐츠가 핸드폰과 PDA와 같은 소형단말 지향의 이용자들에게 잠재수요가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즉, DMB는 가입자 규모 뿐만 아니라 수요의 특성이 DMB 매체나 단말기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DMB 서비스는 예측된 수요를 바탕으로 광대역 멀티미디어화와 산업간의 융합을 통해 디지털 컨버전스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무엇보다 이용자 욕구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킬러 앱 콘텐츠의 조기 확보는 DMB 시장 조기 활성화의 매우 중요한 핵심 요인이다.
셋째, 다른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하여 DMB 서비스 제공 범위 및 이용효과를 강화하여 도입기 시장의 불확실성을 감쇄시켜야 한다.
넷째, 특화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한 이용자 비용 부담을 경감시켜야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8.24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0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