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예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양예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인사예절
-파티문화
-식사예절(레스토랑 예절)
-체스
-결혼예절
-그밖의 에티켓

<결론>

본문내용

없는 아이는 만져볼 생각을 아예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남자끼리 손을 잡고 다니든가 어깨동무를 하는 것은 십중팔구 Homo취급을 당하는 행동이다. 미국인에게 친절히 하는 것은 좋으나, 걸어갈 때 너무 가까이 붙거나, 식당에서 옆에 너무 가까이 앉아 친절히 이야기하면 Homo로 오인한다.겨울철에 자동차 위에 눈이 쌓이면 눈을 깨끗이 쓸고 다녀야 한다. 잘 모르고 앞 유리에 쌓인 눈만 쓸고 가는 경우가 있는데, 경찰에 적발되면 벌금을 물어야 한다.사람이 빈번히 오가는 도심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신호등이 버튼을 눌러야 신호가 바뀐다.
(얼굴 표정)
대체로 명랑하게 웃고, 'Oh, No problem'이라고 언제든지 말할 수 있을 정도의표정이 대체로 어울린다. 따라서 사람들 중에는 인상을 찌푸리는 표정은 거의 없다. 초조하고, 짜증나고, 약간 뚱한 표정을 없애는 것이 좋다.
(인생관)
기본적으로 낙관적인 것이 이곳 사람들의 평균이다. 뭐든지 쾌활하고, 자기 의사를 분명히, 마치 MC가 말하듯이 피력하고, 남에게 신세를 짓지 않으려는 태도. 그리고 남의 사생활이나 가치관에 해당되는 부분은 공적인 관계에서는 절대로 분리시키는 등, 낯선 사람이 한적한 공간에서 지나갈 경우, 인사 한다. Hi, or Good morning or How are you ? 등등. 조용히 지나가도 무방하나, 대체로 눈이 마주치면, 반갑게 인사하는 것이 예의이며, 단 화가 나있거나, 몸이 불편할 때는 인사하지 않아도 된다. 공공장소에서는 작은 소리로 대화한다. 한국인들의 볼륨이 약 3.5배정도 더 크다. 우리는 그렇게 살아와서 잘 모른다. 그런데 이곳 사람들의 말소리는 작다. 단 대중을 향해서 말할 때는 우리보다 크다. 목소리가 크면, 속으로 경멸을 받는다. 특히 엘리베이터나 버스 안에서 조용조용 이야기한다. 단, 면접 시에는 상대가 알아들을 수 있게 명료하고, 적당이 볼룸을 올려서 말한다. 문을 나갈 때, 뒤에 누가 따라오면, 항시 문을 잡고 있도록 3,4 미터 뒤에 누가 따라오는데 문을 놓아버리면, 그 사람은 다시 문을 열어야 한다. 이럴 때 문을 잡아주고 있으면, 그 사람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Thank you" 그러면 당사자는 "You are Welcome" 이라고 말한다. 길가다 상대방의 진로를 우연히 막게 되면 "Sorry" 라고 말한다.
상대방의 몸이 무의적으로 닿아도 바로, Sorry라고 해야 한다. 모든 경우에서 상대방과의 거리를 약 1 미터 유지하는 것이 예의 이다. 엘리베이터나 지하철입구에서는 안에 있는 사람이 모두 나올 수 있도록 길을 가로막지 않고, 측면에 서 있다가 진입하며, 엘레베이터의 문을 붙잡아서 뒤 따라오는 이가 들어올 때 문이 닫기지 않도록 배려해 준다. 한국 음식을 먹은 후 항시 양치를 꼭 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마늘 및 향이 강한 음식을 먹고 엘리베이터와 같은 좁은 공간에 있게 되면, 각별히 냄새에 주의 하여야 한다. 자신도 모르게 트림이나 재채기를 한 후에는 항시, Excuse me라고 말한다. 대화를 할 때에도 상대가 제 3자와 대화를 하고 있을 때는 조용히 서서 차례를 기다려야 한다. 아무리 급해도, 어쩔 수가 없다. 별거 아닌데도, Thank you, Excuse me, Sorry등을 남발해야 한다. 이러한 표현은 너무나 당연한 일상용어이기 때문이다.뚱한 표정은 금물. 항시 상냥하고, 웃는 표정을 유지하며 어린 아이들을 상대할 때와 같은 밝은 태도로 상대방을 대하여야 한다.
< http://kin.naver.com/open100에서 IDasdfjko님이 작성해 주신 글>
<결론>
지금까지 서양예절에 관한 이모저모를 살펴보았다. 동양예절과는 전혀 다른 색체의 이미지가 확연히 그려짐을 느낄 수 있었다. 추구하는 가치가 달랐고 중요시 하는 관점의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생활 범위 안에선 동양예절과 서양예절이 반쯤 혼합된 형태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을 만났을 때는 절을 하기보다는 악수로 인사를 건내고 있으며 음식을 먹을 때는 여성 우선주의를 따르기보다 연장자를 우선시 하는 사상을 따르고 있다. 서양예절이나 동양예절이나 까다롭고 다소 허례스러운 요소를 갖고 있는것이 사실이지만 어느 것이 더 옳고 어느 것이 더 나쁘다 라고 말 할 수 없는 것은 동양예절과 서양예절 모두 그 정신은 상대방 우선주의에 입각하고 있으며 상대방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시작된 정신이기 때문이다. 즉 목적은 선한곳에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우리는 서양예절의 과도한 격식과 절차에 답답함을 느끼기 보다는 서양예절이 갖고 있는 기본 정신에 초점을 두어 예절을 준수해가야 할 것이다. 또 하나 우리가 알아두어야 할 것은 지금 우리가 서양예절을 배우고 준수해야만 하는 목적이다. 서양예절은 국제매너라는 또 다른 이름을 갖고 있다. 즉 세계가 점차 단일화 글로벌 화 되어가면서 외국인과 접할 기회가 늘어나고 그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국제 매너교육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공적으로든 사적으로든 우리는 사람을 대하는데 있어 나 자신도 모르는 사이 상대방으로 하여금 보이지 않는 평가를 받고 있고 그 평가는 곧 자신의 이미지가 되며 그는 개인의 각종 업무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자신이 좋게 길러놓은 이미지는 같은 행동을 하더라도 평가를 달리하게 하며 업무에 있어서 득이 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아무리 유능한 지식인이라도 격식 있는 모임에서 이미지를 깎이면 효율적인 비즈니스를 성사시킬 수 없다. 개인의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이 되는 시점에 다다랐다. 우리는 각종 비니지스나 사교 모임 등에서 서양 예절준수를 통한 매너 있는 자세로 세계인과 마주해야 할 것이며 그로써 자신의 부가적인 가치를 높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우리는 스스로 국제화된 매너와 에티켓을 준수하여 개인주의 성향이 짙은 서양 사람들에게 패를 끼쳐서는 안 되며 나아가 국가의 이미지 또한 부상시켜야 할 것이다. 어쩌면 까다롭고 불편한 예절을 준수해야만 하는 것은 자신을 위해 약을 먹는 행위처럼 맛은 쓰지만 곧 좋은 결과를 가져오게 하는 효과와 비슷하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6.09.0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1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