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름 활성화위한 마케팅기획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씨름 활성화위한 마케팅기획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현황분석

Ⅱ. 시장환경분석

Ⅲ. 스모의 마케팅 전략 비교

Ⅳ. 마케팅 전략 수립

Ⅴ. 마케팅 플랜

본문내용

고, 관람을 유도한다. 또한 지역연고제 실시에 따른 애향심 고취를 유발하고 연맹의 지도로 각씨름단의 자발적인 동참으로 전개한다.
3) 효과
젊은층 관중 동원으로 연계되며 프로씨름 최우수 선수 및 인기선수 선정시 선정인원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방송 및 언론사에 씨름 동향 및 보도 요청 등 모니터 요원으로 활용이 예상되며 청소년층의 호응과 관심유발로 인기스포츠로 도약할 수 있는 말판을 마련한다.
7. 공식 스폰서제 도입
1) 배경
프로씨름 스폰서 도입은 씨름의 상품화를 위한 방안으로써, 씨름에 대한 고부가 가치를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이다.
2) 공식 스폰서의 구분
① 연간 공식대회 스폰서
② 단위대회(지역대회) 공식 스폰서
③ 번외경기(해외대회/ 기타대회) 공식 스폰서
④ 이벤트행사(심장병어린이돕기/ 불우이웃돕기등) 공식 스폰서
⑤ 공식 스폰서 금액은 광고제공 기업과 협의 후 결정
8. 이벤트 경기 실시
1) 배경
씨름 경기의 팬서비스는 휴식시간에 농악놀이나 민요가수의 노래 부르기 등만 있을 뿐, 관중들의 입장에서 다양한 볼거리 제공을 구상하거나 준비하고자 하는 노력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경기 중간 중간 이러한 지루함이 지속 된다면 관중들은 다음부터 경기장을 찾지 않게 되고 씨름의 인기는 낮아지기만 할 것이다.
2) 추진 방향
① 은퇴 선수 친선 경기
현역에서 은퇴한 씨름 선수와 현역 선수들을 중심으로 씨름대회 개최지역의 씨름팬들과 이벤트 친선경기를 개최함으로써, 프로씨름이 보는 스포츠에서 참여하는 스포츠로서 전 환할 계기를 만든다. 그 예로 현재 가장 인기가 많은 MC인 강호동이나 이만기 교수를 큰 대회가 있을 경우 초청하여 관중에게 더 큰 즐거움과 만족을 줄 수 있다면 더 많은 씨름 팬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 씨름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강호동이나 이만기를 보러 씨름판에 오게 될 것이고, 이것을 계기로 씨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늘여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대회 개최지에서 사전 홍보하여 참가자를 접소 받고, 신청자가 많을 경우 예선전을 거쳐 최종적으로 3명을 선발한다. 그리고 은퇴 선수와 현역 선수는 연맹에서 추천한다.
② 소년소녀가장 돕기 운동
인기종목 스타플레이어들은 소속사와 공동으로 소선수범으로 다각적인 이벤트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나, 프로씨름의 경우에는 사회 봉사활동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 씨름단 별로 1지역 1가정 결연식 운동을 펼치고, 연맹 및 씨름단과 선수들이 주축으로 운동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후원활동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광고협찬 기업체와 연계’를 모색하며, 대회기간 중 방송멘트를 통한 직접적인 홍보로 참여를 확대할 수 있다.
③ 천하장사 알아맞히기 퀴즈잔치
프로씨름의 최고 강자인 천하장사에 대한 인지도가 은퇴한 천하장사에 비해 저하되어 있음으로 인한 프로씨름의 인기저하의 현실을 탈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프 로씨름에 대한 다양한 계층의 관중을 확보 할 수 있다. 천하장사대회 개최 전 각 언론을 통한 행사의 취지를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천하장사 후보자” 명단을 함께 보도 자료로 활용한다. 경품은 연맹차원에서 씨름단과 광고 스폰서 기업의 후원을 유도하며 대회 종 료후 공정한 추첨으로 경품을 배분한다. 이를 통해 퀴즈 행사에 응모한 관중들을 잠재적 인 씨름 팬으로 관리할 수 있다.
9) 교육의 장으로 활용
설날장사 및 추석 장사 대회 때는 씨름관계자들조차 우리 한복에 대하여 불편하다는 이유로 착복하기를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정확한 고증과 검증을 통한 복장 및 의식화 작업을 추진하여, 간편하고 정숙된 한복을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씨름경기장을 청소년들에게 우리 문화에 대한 ‘교육의 장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 노력하여 한다. 최근에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한복(개량한복)은 착복에 편리하게 제작되어 있어, 씨름 선수들 체형에도 잘 어울리며, 해외 대회 출전시 착복하도록 함으로써 우리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다.
※ 현재 해체의 위기 속에 빠진 씨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오랜 숙원 사업인 전용 씨름 경기장 건립을 통해 대회 및 시범의 정예화를 기하고, 더 많은 씨름단을 창단하고, 남·북 씨름교류를 통해 통일여건 조성과 동질성을 회복하며, "인터넷"과 "위성방송"을 통한 씨름 홍보와 해외 대회 개최 및 타 고유전통경기와 학술 교류를 통한 씨름의 세계화를 추진한다. 또한 씨름을 한국 전통 문화 와 연계하여 국내·외 관광객에게 소개하는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고, 일찍부터 교육을 통해 씨름에 관한 관심을 고조(유치원 시절부터 권장)시키며, 샅바 잡기 및 경기방법의 개선을 통해 국제적 경쟁력이 있는 경기로 발전 시켜 한민족의 우수성을 나타내는 경기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많은 투기 종목 중에서도 씨름은 가장 신사적인 운동이라 생각된다. 넘어지면 승패가 바로 결정이 되기 때문이다. 레슬링이나 유도처럼 넘어진 상대를 공격하는 룰은 없다. 외국에서 들어온 스포츠를 즐기고, 햄버거, 피자를 먹는다고 해서 세계화가 되었다고 할 수 없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말을 다시 한 번 되새겨본다.
--------------------------------------------------------------------
참고자료
http://www.sumo.or.kr/
http://news.daum.net/daily/foreign/200205/30/yonhap/v2671348.html
http://www.dailysports.co.kr/editorial/200202/s20020203142858e7000.htm
http://www.jipango.co.kr/sports/sw/somo1.asp
http://www.paichai.ac.kr/~yjkim/ujc2002/08/08_2/sports.htm
한국씨름협회 www.ssirum.or.kr
대한씨름협회 ssireum.sports.or.kr
한국 씨름 연구소 ynucc.yeungnam.ac.kr/~ssi
LG투자증권 황소씨름단 www.lgssirum.co.kr
현대중공업코끼리씨름단 www.hdssirum.co.kr
신창건설 코뿔소씨름단 www.scapt.co.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9.27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52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