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다르크와 백년전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잔다르크와 백년전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본론
1) 영국과 프랑스의 대립
2) 잔 다르크의 성장배경과 활약
3) 잔 다르크의 최후
4) 백년전쟁의 전개
*개전 초기 영국의 승전 요인*
5)백년전쟁의 종전
6) 백년전쟁의 의의
7) 현시대의 잔 다르크

3. 나오며

본문내용

쟁의 공포를 피아여 기술직이민들이 플랑드르로부터 영국으로 이주함으로써, 플랑드르를 능가하는 모직물 공업이 발전하게 되어 경제적 발전의 기초가 다듬어졌다. 즉, 백년전쟁의 결과, 영국과 프랑스 모두 봉건기사의 세력이 무너지고 농민해방의 진전, 부르주아 계급의 대두, 왕권의 확대 등을 초래하였다.
7. 현시대의 잔 다르크
잔 다르크의 처형 이후 거의 20년이 지난 1450년 샤를 7세는 루앙을 방문하여 당시 재판의 검토를 명했다. 그로부터 2년 후 추기경 사절 기욤 데스트르빌은 더욱 철저한 조사를 실시했다. 마침내 잔의 가족들의 탄원으로 교황 칼릭스투스 3세는 조사위원회의 설치를 명했다. 1455~56년에 진행된 이 조사의 결과로 143년의 판결은 취소되었다. 1920년 교황 베네딕투스 15세는 잔을 성인으로 추종했고 축일이 정해졌다. 같은 해 6월 24일 프랑스 의회는 잔을 기리는 국가적 축제를 매년 5월의 둘째 주 일요일에 거행하도록 하는 법령을 선포했다.
역사에서 잔 다르크가 차지하는 위치는 확고하다. 아마도 프랑스 정치군사의 역사에서 보다 인간용기의 역사에서 잔은 더욱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것이다. 그녀는 외국과의 전쟁보다는 프랑스의 내란에서 희생양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오를레앙의 구출은 분명 빛나는 승리이며 이로 인해 프랑스 북부의 일부가 샤를 7세 편에 섰다. 그러나 백년전쟁은 잔의 사후에도 22년간 더 진행되었으며. 발루아 왕조 재건의 기초가 된 것은 1435년 부르고뉴의 선량공 필리프가 영국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샤를 7세와 강화를 맺은 사건이었다. 더구나 잔이 내세운 사명의 성격을 두고 역사가, 신학자, 심리학자들은 계속 논란을 벌여왔다. 잔의 전투행적, 그 지지자들과 적들의 동기와 행동 등 셀 수 없는 부분이 논란거리가 되어왔다. 예를 들면 잔이 보쿨뢰르, 시농, 푸아티에를 몇 번이나 방문했고 그 날짜는 각각 언제인가, 어떻게 그녀가 시농에서 가진 샤를과의 첫 번째 만남에서 바로 그의 신임을 얻을 수 있었는가, 랭스에서의 즉위식 뒤 있었던 샤를의 순회는 개선행진이었는가 아니면 자신 없는 과시용 시위였나, 그녀의 재판관들이 ‘종신금고형’이라 했을 때 그 의미는 무엇인가, 그녀가 신앙을 철회 한 뒤 다시 남자복장을 한 것은 자신의 뜻이나 ‘음성’에 의한 것인가 아니면 나중에 나온 이야기처럼 영국인 간수의 강요에 의한 것인가 등이다.
뒤의 세대들은 잔의 사명이 가지는 의미를 당시의 복잡한 상황과 관련해 파악하기보다는 자신들의 정치적종교적 입장에 따라 왜곡하는 경향이 있었다. 서유럽에서 일어난 교회 대분열(1378~1417)의 여파와 공의회 운동기간(1409~1449)에 일어난 교황권 실추로 인해 신앙문제에 독자적인 판단을 내리기는 더욱 어려워졌다. 종교재판의 판결은 정치를 비롯한 여러 분야의 영향을 받기 쉬웠으며, 당시 변론이 허용되지 않고 감금상태에서 심문을 받았던 피고는 잔 혼자만이 아니었다. 성인으로서 그녀가 차지하는 위치는 다소 의심의 여지가 있는 기적에 의해서가 아니라 혹독한 심문에서 그녀가 보여준 영웅적인 용기와, 자신의 음성이 하느님으로부터 나온 것이며 따라서 자기 입장이 정당하다고 믿는 심오한 확신에 의해 결정되었다. 어떻든 잔은 거의 프랑스 북부 출신인 재판인단에 의해 사형언도를 받은 프랑스 내부투쟁의 희생양으로서 신조와 파벌을 초월해 국민 모두로부터 공감을 얻은 프랑스 국민의식의 상징이 되었다.
나오며_
잔 다르크가 프랑스에 세웠던 공도 지대하였지만 나는 잔 다르크의 인간성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웠다. 단순히 업적만을 기록해 놓았던 위인전은 잔 다르크의 참 모습을 다 보여주지 못했었다. 죽음앞에서도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더욱더 깊은 신앙심을 보이며 자신의 소신을 끝까지 관철시켰다.
나이어린 여자아이에게서 찾기 힘든 모습을 보인 잔 다르크의 모습은 단순히 나라를 구한 업적보다 오히려 인간적인 잔 다르크 그 자체에 매력을 느꼈다. 또한 나라를 구한 영웅을 그렇게 쉽게 내치는 프랑스의 처사에 분노를 느꼈다.
하지만 이번 서양문명의 이해 레포트를 하면서 많은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어서 많은 보람이 되었다. 조사가 미흡하더라도 양해를 바라는 바이다.
*참고자료*
1. 두산 대백과 사전
2.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3. 로마제국 사라지고 마르탱 게르 귀향하다 - 영화로 읽는 서양 중세이야기(차용구 지음, 푸른역사)
-> ‘잔 다르크 - 중세를 대표하는 여성 전사의 인간적 고뇌’ 참고
4. 네이버(www.naver.com)백과사전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0.01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5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