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정의
2.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유형
1) 관내교육
2) 관외교육
3. 박물관교육 동향
1) 영국
2) 미국
3) 일본
4.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사례
1) 한국 - 국립중앙박물관
2) 영국 - 박물관교실 / 영국박물관
3) 미국 - 핸즈 언 전시 / 여름학교․캠프
4) 일본 - 친근한 박물관 만들기 사업 / 오사카 역사박물관

Ⅲ. 결 론

본문내용

맞는 접근방식 다양화
3.미술교육으로서의 박물관 활용하기
1)아동 미술을 통한 박물관 보기
2)국립 교과과정과 연계한 박물관 활용
4.음악교육으로서의 박물관 활용하기
1)음악 교과과정에 알맞은 박물관 활용법
2)음악교육과 박물관의 연계를 위한 접근방법
5.과학교육으로서의 박물관 활용하기
1)과학교육의 문제점과 박물관 활용을 위한 개선점
2)과학 교과과정에 알맞은 박물관 활용법
3)과학교육과 박물관 연계를 위한 접근방법
(3)미국 - 핸즈 언 전시 / 여름학교캠프
미국의 많은 박물관들이 교육적 효과의 극대화를 꾀하기 위해 고안해낸 교육프로그램이 있는데, ‘핸즈 언(Hands-on)'할 수 있는 컬렉션들을 전시하는 것이다. 핸즈 언 전시는 관람객들로 하여금 자유롭게 만져보거나, 조작해 볼 수 있는 표본이나 소장품들을 특정한 전시실에 진열하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소장품들은 가급적 진품을 사용하지만, 구하기 어렵고 고가의 물건들이나 깨지기 쉬운 컬렉션들은 모조품으로 대체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전시실의 컬렉션들은 만질 수 없고, 눈으로 감상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으므로, 관람객들의 입장에서 보면, 항상 아쉬움이 남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최근 많은 박물관들이 운영하고 있는 핸즈 언 전시실은 박물관을 찾는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곳이기도 하다. 핸즈 언 할 수 있게 준비되어진 컬렉션들은 매우 다양해서 곤충, 동물, 식물, 화석의 표본들에서부터 옛 의상, 유물, 사진, 가구, 지도, 실험기구에 이르기까지 이루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스미소니언 국립 자연사 박물관http://www.mnh.si.edu/
(Smithsonian's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에 있는 “디스커버리(Discovery Room)"전시실이나 네브라스카 주립 자연사 박물관http://www-museum.unl.edu/
(Nebraska State Museum of Natural History)의 ”만남의 장소(Encounter Center)"의 경우가 전형적인 핸즈 언 경험을 할 수 있는 특별 전시실이다.
박물관이 제공하고 있는 여러 프로그램 가운데, 다채로운 소재와 심층적인 탐구활동을 다룰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바로 여름방학을 이용해서 열리는 박물관 여름학교(Summer Workshop) 또는 여름캠프(Summer Camp)다. 학생들뿐만 아니라 성인들과 학부모들도 함께 참여가 가능하며, 가족이나 그룹단위의 행사들도 열린다. 여름캠프나 여름학교의 경우는 일반 교육프로그램보다 폭넓은 주제를 만들어 기획하고, 지도하는 강사들도 박물관에 소속된 교육원들과 외부의 전문가들을 적절히 안배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캔사스 자연사 박물관http://nhm.ku.edu/
의 여름학교의 경우, 주로 자연과학, 동물학, 지질학, 인류학, 천문학, 사진학, 미술 등을 주제로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각 수업마다 일주일간의 과정을 이수하게 되어 있으며, 참가하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수업을 선택할 수 있다.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 연차학술대회,『박물관과 교육』,1997. pp.73~76.
(4)일본 - 친근한 박물관 만들기 사업 / 오사카 역사박물관 http://www.mus-his.city.osaka.jp/
학교가 쉬는 토요일을 중심으로 한 기간동안 어린이들이 즐겁게 놀면서 전통문화, 과학기술, 역사, 예술 등에 직접 접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구체적인 사업의 사례로는 참가체험형의 전시 즉 어린이들이 보고 만지고 시험해보면서 생각할 수 있는 ‘핸즈 온(Hands-on)'기법을 활용한 활동과 박물관의 관외활동(Outreach), 체험교실, 실험, 창작활동 등을 중심으로 각 박물관의 교육기능을 고도화하는 내용이 중심이 되고 있다.
Ⅲ.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정의와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박물관 교육의 실천과 논의가 축적된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특히 국가의 교육문화적 차원에서 박물관 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영국, 미국, 일본의 사례에 중점을 두었으며 또한 한국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 특히, 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새로운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박물관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박물관 측의 노력,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 등이 함께 수행되어야만 한다. 박물관은 교육기관으로서의 사명감을 가지고, 박물관의 다양한 교육적 기능을 활성화해야만 한다. 이를 현장에서 실천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의 자료관리, 보존, 복원, 전시, 디자인, 행정 들 다양한 박물관 관련 전문가가 양성되어야 한다.
박물관은 그동안의 권위적이고 타율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인간과 자연 그리고 문화에 대해서 누구나가 언제든지 즐겁게 체험하면서 배울 수 있는 평생학습의 장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Ⅳ.참고문헌
<단행본>
게리 에드슨 데이비드 딘, 이보아 옮김,『21세기 박물관 경영』, 시공사, 2001.
교육철학회,『박물관과 교육』,문음사, 2001.
백령,『멀티미디어 시대의 박물관 교육』, 예경, 2005.
세계박물관협회 편, 하태환,『박물관과 미술관의 새로운 경영』,궁리, 2001.
오츠카 카즈요시, 홍종필,『박물관학』, 백산출판사, 2004.
이보아,『박물관학 개론』, 김영사, 2000.
조지 엘리스 버코 지음, 양지연 옮김,『큐레이터를 위한 박물관학』, 김영사, 2001.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 연차학술대회,『박물관과 교육』,1997.
<학위논문>
이은미, 2002,「한국 박물관의 교육적 가능성 탐색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임경미, 2000,「문화교육으로서의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학술지>
이해주, 1999,「박물관의 사회 교육적 기능과 그 개선방안」,사회 교육학연구(한국평생교육학회), 제5권 제1호 : 103-123.
윤여각, 2000,「박물관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시론」, 교육인류학연구(한국교육인류학회), 제3권 제1호 : 47-68.
<공문서>
문화체육부,「21세기 박물관 발전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1997.
  • 가격1,7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10.05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6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