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시대와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조선시대와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조선
가. 성립
나. 멸망

2. 북부여

3. 발해

4. 중국의 역사역사왜곡과 관련한 용어해설
가. 동북공정(東北工程)
나. 동북 3성(省)
다.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라.중국의 소수민족
마.연변조선족자치주
바.전욱 고양씨
사. 상(商)
아. 돌무지무덤
- 일사양용설(一史兩用說)
- 일통삼한(一統三韓) 의식
차. 중화관, 중화사상
카 보덕국(報德國)
타 고주몽
파 서경(평양)
하. 서희(徐熙 942-998)

본문내용

품 이상)를 두어 그 격을 높였다. 제 3대 정종 이래 역대 국왕들은 여러 차례 서경으로의 천도(遷都)를 시도하면서 서경을 더욱 중시하여, 문종 16년(1062) 경기 4도를 그 관하에 딸리게 하는 등 서경을 제 2의 수도인 부도(副都)로 인식하였다. 태조 왕건의 신서훈요(信書訓要) 10조를 살펴보면, 제 5조에서 “ 서경은 수덕(水德)이 순조로워 우리 나라 지맥의 근본으로 되어 있으니 만대 왕업의 기지이다. 마땅히 춘하추동 사시절의 중간 달에 국왕은 거기에 가서 1백 일 이상 체류함으로써 왕실의 안녕을 도모하게 할 것이다.”라 하여, 고구려의 수도였던 서경 중시 정책을 펼쳤으며, 역대 국왕들로 하여금 매년 일정한 기간 동안 서경에 머물면서 북진정책을 독려하도록 하였다.
하.서희(徐熙 942-998)
광종 11년 (960) 문과에 급제하였고, 공평원외랑(廣評員外郞)에 이어 내의시랑(內議侍郞)이 되었다. 성종 12년(993) 거란이 침입하였을 때 중군사(中軍使)로 북계(北界)에 출전하였다. 전세가 불리하여 조정에서 항복하자는 방안과 서경 이북을 할양하고 강화하자는 방안 중에서 후자를 택하기로 하였으나, 서희는 이에 반대하여 국서를 가지고 가서 적장 소손녕(簫遜寧)과 담판을 벌였다. 이때 거란측은 고려가 신라 땅에서 일어났으니 옛고구려 땅은 거란 소유라는 주장을 하였는데, 서희는 이를 반박하여 국명으로 보아도 고려는 고구려의 후신이며 그러므로 도리어 거란이 고려의 땅을 차지하고 있음을 설득하였다. 그 결과 거란군을 철수시켰을 뿐만 아니라 안북부에서 압록강 이동(以東)지역의 영유권마저 확보하는 성과를 올렸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0.05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6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