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발효식품과 건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장류
(1) 장류의 생리효과
(2) 고추장
(3) 된장
(4) 청국장

2. 김치류
(1) 김치의 영양가치

본문내용

의 생리적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사람에게 마늘분말 600~700mg을 매일 섭취시켰을 때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약 10%, 혈중 중성지방을 약 13% 낮추었다고 보고되었는데 이러한 감소효과는 마늘의 알리신(allicin)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방의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대장암의 발생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김치의 섭취는 대장암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추 김치를 섭취하면 대장암 발생에 관여하는 장내세균의 효소활성과 장내 pH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변화는 김치를 섭취한 시기에만 나타났고 섭취하지 않았을 때는 본래 수준으로 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김치를 지속적으로 섭취하였을 때 대장암의 예방이 기대된다.
과거에는 김치의 섭취가 300g/1일 이상이었으나, 현재 소득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서구화 현상에 의해 김치의 섭취가 100g/1일 이하로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성인병 예방을 위해 150g/1일 이상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들의 김치섭취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인데 김치고유의 맛을 계속 발전시키고 현대감각에 맞는 김치를 개발하여 김치의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10.22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1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