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고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보고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장보고란 누구인가?

2. 8~9세기 동아시아세계의 시대상황

3. 청해진이 설치되기까지의 배경

4. 장보고의 죽음에 대한 두가지 기록

5. 궁정 음모가들에 의한 장보고의 죽음

6. 자신의 심복에게 암살당한 장보고

본문내용

무왕의 쿠데타에 자신의 군사를 제공하였다. 그 대가로 그는 감의군사와 진해장군의 관작과 2천호의 식읍을 받았으며, 아울러 자신의 딸을 왕비로 들이기로 약속하였다. 그런데 골품체제하에서 종래 온갖 특권을 누리던 경주 귀족들은 막강한 군사력과 경제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장보고의 중앙진출에 대하여 일종의 위기감을 느꼈을 것이다.
이에 그들은 장보고의 신분이 미천하다는 이유를 들어, 그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이는 것을 극력 반대하였다. 왕실과의 약속이 무산되자 장보고는 마침내 반란을 꾀하게 되었다.
장보고와 신무왕 혹은 그의 아들 문성왕과의 혼인 약속은 애당초 실현 가능성이 없었다.
9세기 중반에 이르러 신라는 비록 정치적으로 혼란하였으나, 신라사회의 운영원리인 골품제는 엄연히 그 기능을 발휘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낱 섬사람에 불과한 장보고의 딸을 왕비로 삼는다는 것은 왕실의 권위와 신라의 체제를 부정하는 것이나 다름없는 행위였다. 그런데도 신무왕은 장보고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이기로 약속하였다. 그 이면에는 장보고의 군사력을 이용하여 왕권을 차지하려는 노련한 정치가의 계산이 숨어 있었다.
그러나 장보고는 훗날 자신의 딸을 왕비로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하여 반란을 일으키려 했던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신무왕과의 약속을 철석같이 믿었다. 자신의 능력에 따라 얼마든지 왕후장상이 될 수 있던 당나라에서 젊은 시절을 보낸 장보고로서는 신무왕과의 약속을 의심할 필요가 없었다. 또 그는 왕실과의 혼인을 통하여 중앙정계로 진출하려는 야망도 가졌음직하다. 그러나 장보고의 그러한 생각은 신라에서 통하지 않았다. 몇 달 전에 매스컴을 떠들썩하게 했던 어느 여성 로비스트가 `군인은 일반인에 비하여 순수해서 좋아한다`고 하였다.
영악한 경주 귀족들에 비하여 장보고는 순진한 군인이었던 셈이다.
6. 자신의 심복에게 암살당한 장보고
장보고의 모반을 눈치 챈 신라왕실은 막강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던 장보고를 토벌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그냥 둘 수도 없었다. 이에 경주 귀족들은 장보고의 심복인 염장을 이용하여 장보고를 암살하였다. 염장은 무주(武州) 사람으로, 일찍이 장보고의 군사를 나누어 이끌고 신무왕의 쿠데타에 참여한 인물이다. 그의 출신지가 청해진과 가까운 무주였고 장보고가 그에게 군사를 맡길 정도였으므로, 그는 장보고에게 상당한 신임을 받고 있던 청해진의 장수였을 것이다. 그러한 염장이 경주 귀족들의 사주를 받고 장보고를 죽인 후 일시적으로 자신이 청해진을 장악하였다. 장보고는 믿었던 브루투스(Brutus)에게 암살당한 케사르(Caesar)의 신세가 되고 말았다.
어쨌든 신라왕실과의 혼인을 통하여 자신의 세력을 확장하려던 장보고의 야망은 기득권을 고수하려는 노련한 경주 귀족들, 이기동 교수의 표현을 빌자면 `궁정의 음모가들`에 의하여 좌절되었다. 그리고는 마침내 그의 심복의 손에 의하여 죽고 말았다. 그 때가 신라 문성왕 3년(841) 11월이었다. 장보고가 죽은 후 청해진은 급속히 무너져, 해상왕국의 영화는 우리역사에서 다시 재현되지 않았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1.12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14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