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2.물상 태양복사에너지-1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지구의 연평균 기온은 매년 일정하다면, 공간 으로 방출되는 지구 복사 에너지의 양은 ?
① 30 ② 50 (잠실)
③ 70 ④ 80
⑤ 100
34. 태양 복사 에너지를 A, 직접 반사되는 에너지를 B, 지구 복사 에너지를 C라 할 때, A, B, C 사이의 관계는 ? (광명여, 잠실)
① A < B + C ② A > B + C
③ A = B - C ④ A = B + C
⑤ A = C - B
※[35~36] 오른쪽 그림과 같이 표면을 검게 칠한 구리통에 물을 가득 채우고 스티로폼으로 싼 다음, 햇빛에 놓아 물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물음에 답하여라.
35. 태양 광선이 측정 장치에 수직으로 들어오게 하려면 그림자 보기 기둥의 그림자가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대치, 고덕)
36. 이 실험은 다음 중 무엇을 측정하기 위한 것인가 ? (언남, 윤중)
① 태양 복사 에너지의 형태 ②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
③ 지구 복사 에너지의 형태 ④ 지구 복사 에너지의 양
⑤ 물의 비열
※[37~39] 다음 그림과 같이 좁은 틈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프리즘에 통과시켜 흰 종이에 비추어 보았다. 물음에 답하시오.
37. 태양 복사 에너지 중 에너지가 가장 많은 부분은 어디인지 기호로 답하 시오. (남서울, 방배)
38. 맑은 날 이불을 밖에 널어 이불에 숨어사는 병균들을 없앨 수 있는 것과 관계가 깊은 부분을 기호로 답하시오. (숭의여, 도곡)
39. 지구가 대기권 밖으로 방출하는 지구 복사와 성질이 같은 부분을 기호로 답하시오. (아주, 경희)
※[40~41] 표면을 검게 칠한 구리통에 물을 가득 채우고 오른쪽 그림과 같이 장치한 다음 그림자 보기 막대의 그림자의 길이를 변화시키면서 물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물음에 답하시오.
40. 구리통의 색을 검게 칠한 이유와 관계가 있으나 효과는 반대인 것을 오른쪽 그림에서 찾아 쓰시오. (아현, 언주)
41. 위 실험에서 구리통의 표면이 햇빛과 이루는 각도가 얼마일 때 물의 온도가 가장 높겠는가 ? (월촌, 구의)
① ②
③ ④

핵심기출문제 ………
태양 복사 에너지 P. 5
1. ①
스티로폼은 열을 잘 전도시키지 않는 성질이 있다. 또 검은색은 햇빛을 잘 흡수하는 반면 흰색은 잘 반사한다.
2. ②
구리통 속의 물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은 태양으로부터 에너지가 오고 있기 때문이다.
3. ⑤
태양의 고도가 높을수록 같은 면적에 복사 에너지가 많이 들어온다.
4. ③ 5. ① 6. ③ 7. ④
8. ①
9. (가) 자외선 (나) 가시 광선 (다)적외선
적외선 : 빨산색 띠 밖의 빛이다.
가시 광선 : 눈으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색깔의 빛이다.
자외선 : 보라색 띠 밖의 빛이다.
10. ④
자외선은 햇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킬 때 가장 많이 꺾이는 복사선이다.
11. ⑤
일최고 기온과 일최저 기온의 차를 기온의 일교차라고 한다.
12. ①
저온의 물체는 주로 적외선으로 열을 방출한다.
13. 복사
손과 전구 사이에는 공기가 있으나 공기는 열을 잘 전달하지 않으므로 전도에 의한 열의 이동은 아니다. 또한, 전구 주위의 따뜻한 공기는 아래로 내려오지 않으므로 대류에 의한 열의 이동도 아니다. 이 때, 전구에서 발생된 열은 복사에 의하여 손바닥으로 직접 전달되었다.
14. ⑤
위 실험은 열의 세 가지 이동 형태, 즉 전도, 대류, 복사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15. ④
대기권에 들어온 태양 복사 에너지는 대기와 구름 등에 의하여 일부가 반사, 산란되거나 흡수된다.
16. ⑤
스티로폼은 단열재로 쓰인다.
17. ⑤
태양의 고도가 클수록 단위 면적이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도 많아진다.
18. 컵이 흡수하는 열량과 방출하는 열량이 같기 때문이다.
알루미늄 컵이 받는 열량 = 알루미늄 컵이 방출하는 열량
19. ⑤
구름은 햇빛을 반사하거나 흡수하므로 흐린 날은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열이 맑은 날보다 상대적으로 적어진다.
20. ④
일반적으로 대기가 흡수하는 복사열보다 방출하는 복사열이 많으면 기온은 낮아지고, 그 반대가 되면 기온은 높아진다.
21. ②, ④
태양의 남중 고도의 연변화에 따라 기온이 연변화 한다.
22. B
검게 칠한 깡통은 백열 전구로부터 나온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동시에 깡통 자체가 가진 에너지를 방출한다. 검은 깡통의 온도가 낮을 때에는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가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 보다 많기 때문에 깡통 속의 공기 온도는 상승한다. 그러나 깡통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양도 점차 증가하여 결국,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와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양이 같아지는 복사 평형 상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복사 평형을 이루는 깡통은 일정한 양의 에너지를 가지게 되고 깡통 속의 공기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23. ④
24. ①
25. ⑤
적외선은 열작용, 자외선은 화학 및 살균 작용이 강하다.
26. ①
27. ⑤
태양은 가시 광선, 적외선, 자외선 등으로 열, 즉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다.
28. ②
태양의 중심부에 생성된 막대한 에너지는 복사의 형태로 우주 공간을 통과하며, 태양에서는 가시 광선이 많이 나온다.
29. ④
자외선과 적외선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30. ④
전등에서 나오는 빛의 양이 일정하므로, 같은 면적의 종이가 받는 빛의 양은 종이와 전등이 수직을 이룰 때 가장 많다.
31. (1) ⑤ (2) 15℃
운량 : 구름이 하늘을 덮고 있는 정도에 따라 1에서 10까지의 수로 나타낸다.
맑은 : 0~1
갬 : 2~8
흐림 : 9~10
32. 연교차
월평균 최고 기온과 월평균 최저 기온의 차를 기온의 연교차라고 한다. 고위도는 저위도보다 연교차가 크다.
33. ③
34. ④
35. 그림자가 없게 된다.
36. ②
37. B
태양의 표면 온도는 약 6000℃로 가시광선을 가장 많이 방출한다.
38. C
자외선은 살균, 화학 작용이 있다.
39. A
지구는 주로 적외선을 복사한다.
40. 은도금
온도금은 복사 에너지를 반사한다.
41. ④
구리통과 햇빛의 각이 에 가까울수록 온도는 많이 올라간다.

키워드

그림자,   태양,   지구,   은도금,   구리통,   자외선,   적외선,   전도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199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