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국사 3-1학기 중간 01 조선의 성립과 발전(교사용)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조선의 성립
2 사림 세력의 성장
3 왜란과 호란의 극복

본문내용

서 왜란 후 일본의 요청에 따라 파견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활발한 외교활동을 벌이면서 일본의 문화 발전에도 많은 공헌을 하였다. 많을 때는 400~500명이 파견되었다고 한다.
통신사
통신사는 전통적인 교린 정책에 따라 파견되었다. 통신사의 일행이 많아지자 부담을 느낀 일본측이 규모의 축소를 요구하기도 하였다.
[임진왜란의 영향] ★★★
임진왜란이 동아시아 3국에 미친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④
①조선은 인구가 감소하고, 국토가 황폐해졌다.
②명의 국력이 쇠약해지고 여진족이 성장하였다.
③일본은 조선의 문물이 전래되어 문화가 크게 발달되었다.

④조선은 납속책의 시행으로 신분 질서가 더욱 확고해졌다.
⑤조선은 호구 대장과 토지 대장의 소실로 나라의 재정이 어려워졌다.
임진왜란 후 노비 문서가 불타고, 국가 재정이 어려워져 납속책을 시행함에 따라 신분 제도가 동요되기 시작하였다.
[조선 사회의 변화] ★
다음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 임진왜란 이후 조선 사회의 변화상으로 옳은 것은? ③
전쟁 중에 호적 대장과 노비 문서가 불타 없어졌다.
납속책의 시행으로 관직을 사고 파는 것이 인정되었다.
①성리학의 침체②사림 세력의 쇠퇴

③신분 제도의 동요④붕당 정치의 강화
⑤학문 활동의 위축
신분 제도가 문란해져 상민이 납속책을 통해 양반이 되기도 하고, 노비가 상민으로 신분이 상승되기도 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일본과의 관계] ★
임진왜란 이후 일본과의 관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③
①3포를 개항하고 무역을 허용하였다.
②조선의 요청으로 국교가 재개되었다.

③부산포를 개항하여 제한된 교류를 하였다.
④일본과의 교류는 전쟁 전보다 오히려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⑤일본과는 한말 강화도 조약 체결 이전까지 국교가 단절되었다.
왜란 후 조선은 일본의 요청으로 부산포를 개항하고 일본과 제한된 교류를 하였다.
[북벌 운동의 배경] ★★
다음 중 북벌 운동이 좌절된 배경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
①청의 강력한 군사력②청의 중국 지배 강화

③나선 정벌을 위한 출병④청의 우수한 문물 인식
⑤국내 사회의 안정 요구
호란 이후 북벌 운동이 추진되었으나 청과의 관계가 개선되면서 청의 나선 정벌 요구에 응하기도 하였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75~76)
선조의 뒤를 이어 즉위한 광해군은 전쟁의 뒷수습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명이 점점 쇠퇴하고 북방 여진족(후금)이 강성해 지고 있는 정세의 변화를 파악하고 외교적으로 신중하게 대처하였다.
[광해군의 정책] ★
위 글에서 밑줄 친 광해군의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④
①전쟁으로 피폐해진 산업을 일으켰다.
②허준으로 하여금 ‘동의보감’을 편찬하도록 하였다.
③토지 대장과 호적을 새로 만들어 국가 수입을 늘렸다.

④강대국으로 부상한 여진족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⑤성곽과 무기를 수리하고 군사 훈련을 실시하여 국방을 강화하였다.
[광해군의 외교 정책] ★★

위 글의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광해군의 외교 정책은?
①적극적으로 친명 정책을 추진하였다.
②후금을 오랑캐라 하여 무조건 배척하였다.

③명과 후금에 대하여 중립 외교 정책을 썼다.
④후금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사절단을 파견하였다.
⑤명의 요청으로 후금 정벌을 위해 군대를 파견하였다.
광해군은 후금과 명 사이의 싸움에 말려들지 않기 위해 중립 외교 정책을 썼다.
[광해군 축출 사건] ★
다음의 내용을 이유로 서인이 일으킨 사건은? ④
광해군과 북인 정권은 왕권의 안정을 위해 영창 대군을 죽이고 인목대비를 유폐시키는 등 유교 윤리에 어긋나는 정치를 펴 도덕적으로 큰 약점을 드러냈다.
①기묘사화②을사사화③중종반정

④인조반정⑤이괄의 난
왕조의 정통성은 유지하고 왕위만 교체하는 것을 반정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반정으로는 1506년 연산군을 축출한 중종 반정과 1623년 광해군을 축출한 인조 반정이 있다.
[반청 감정의 사건] ★★★
다음 인물들과 관계 있는 사건은? ①
효종 송시열 이완

①북벌 운동②북학 운동③나선 정벌
④행주 대첩⑤쓰시마 정벌
[북벌 운동] ★★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일어난 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⑤
두 차례 호란으로 청에 대한 적개심이 커짐
우리 민족의 여진족에 대한 문화적 우월감
①효종 때 일어났다.
②끝내 실천에 옮기지 못했다.
③어영청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④송시열, 이완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었다.

⑤북학 운동도 같은 이유 때문에 발생되었다.
이 내용은 북벌 운동이 일어난 원인이다. 북학 운동은 청이 정치적, 군사적으로 막강한 나라로 성장하고, 문화적으로도 발달함에 따라 청의 문물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서인 세력의 대외 정책] ★★★
다음 글에 나타난 주장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①
우리 나라는 중국 조정에 대하여 부자(父子)의 의리가 있고 또 나라를 되찾게 해 준 은혜를 생각해야 하는 만큼 이번에 징병하는 일에 관하여 어떻게 감히 병력이 단약하다는 이유로 난처한 기색을 조금이라도 보일 수 있겠습니까 -광해군의 정책에 대한 반대 의견-

①후금 정벌 지원②나선 정벌 지원
③산업 시설 복구④중립 외교 정책
⑤대외 무역 확대
광해군은 명나라의 후금 정벌 지원 요청에 대하여 반대하였으나 의리와 명분을 중시하는 서인 세력의 반대에 부딪혔다.
[조선 중기의 대외 관계] ★★

다음 <보기>의 사건들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 임진왜란 ㉡ 병자호란
㉢ 중립 외교 ㉣ 북벌 정책

①㉠-㉡-㉢-㉣②㉠-㉢-㉡-㉣③㉠-㉢-㉣-㉡
④㉢-㉣-㉠-㉡⑤㉢-㉡-㉠-㉣
㉠은 1592년, ㉡은 1627년, ㉢은 1636년, ㉣은 1654년, 1658년에 있었던 일이다.
[정묘호란 직전 조선의 상황] ★

정묘호란이 일어나기 직전 조선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①명의 군사적 원조로 국방력이 강화되었다.
②여진족을 치려는 북벌 계획이 추진되었다.

③인조는 후금을 배척하고 친명 정책을 추진하였다.
④조선 정부는 청의 나선 정벌 요청을 거절하였다.
⑤광해군은 일본과 청에 대하여 중립 외교 정책을 썼다.
인조의 친명 배금 정책은 후금을 자극하여 정묘호란을 유발하였다.

키워드

사림,   세력,   성장,   왜란,   호란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