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의 이해] 연극 떼도적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극의 이해] 연극 떼도적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출가 소개

2. 작가 소개

3. 작품소개

4. 독일 사회에 끼친 영향

5. 줄거리

6. 떼도적을 본 감상문

본문내용

중간고사 대용으로 다녀와야 했던 공연, 기대 반 부담 반으로 남자친구와 국립극장을 갔다. 주말은 A팀인 신구씨가 포함된 배테량 팀이 공연한다고 되어 있었다. 하지만 공연 상 사정으로 B팀의 주진모씨가 포함된 팀이 공연을 하였다. 여담이지만, 처음에 공연을 알아볼때 주진모라는 연극배우와 영화배우를 헷갈려 내심 주진모가 나오는 팀이 되길 바랬는데 막상 연극배우 주진모씨는 영화배우 주진모와 동명이인 이였다는 것을 알고 나의 무지의 소치에 웃지 않을 수 없었다. 이번 연극에서는 중견 급 배우들의 농익은 역할이 볼만 했지만 특히 아버지 역할의 김재건씨의 막깔스러운 코믹 연기에 극 중간 중간 터져 나오는 웃음을 참을 수 없었다. 아버지의 유기, 형제들의 반목 등...주제가 무거웠음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나오는 아버지는 예상외의 행동으로 극의 코믹한 감초역할을 톡톡히 하였다. 그리고 공연 시작부터 날 사로잡는 것은 바로 높게 높게 솟아오른 솟대 같이 생긴 나무들로 이루어진 무대 장치였다. 이 연극의 두 공간인 아버지와 둘째 아들 프란츠가 사는 성채와 카알과 도둑들이 사는 산채로 구성된 이 무대는 비슷한 듯 보이지만 막이 바뀔 때 마다 앞뒤로 회전하여 극의 분위기를 잘 바꿔주었다. 공연 소개에 얼핏 이 무대 구조는 한국의 전통 양식인 산대 구조를 나타내어 열린 공간을 의미한다는 소개를 보았다. 정말 장엄하고 극의 분위기와 적절하게 매치되는 어둡고 장엄한 장치였다. 연극에 있어 극 분위기를 만드는데 배경인 무대 장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주었다.
또한 이번 연극에서 놓치면 안 될 것 하나, 극 중간 중간에 나오는 산도적 떼의 택견무와 탈춤, 독일 작품을 보다 한국적으로 만드는 데 큰 몫을 한 것 같다. 연출가 이윤택 씨가 작가의 작품에 충실하여 본래의 맛은 손상시키지 않고 한국적인 것으로 재해석하는 능력이 돋보이는 작품 이였다. 언젠가 가장 세계적인 것은 가장 한국적인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외국에 나가서 어설픈 외국 문화를 모방하느니, 자신의 문화를 잘 익혀 보급하는 것이 진정한 세계인으로서의 역할이하는 한 유학생의 말이 떠올랐다. 그렇다.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는 어색한 모방이 아니라, 적절한 배합을 통한 또 하나의 한국의 작품으로 나오는 것 라는 생각을 하게 해주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극의 포인트 음악, 이 역시 국악 3인조가 만들어내는 환상의 무대 음악 이였다. 피리와 해금 거문고 북으로 때로는 극의 긴장감을 조성하기도 하고 때로는 탈춤의 배경음악으로 신명이 나게 했다. 국악으로도 훌륭한 무대 음악이 된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이번 연극을 통해 느낀 것을 두 가지로 요약하자면, 첫째 독일 거장의 한 작품이 한국의 문화로 다시 화려하게 재탄생 했다는 것과 이 얼마나 자랑스러운 일인지 가슴이 다 벅차올랐다 둘째, 연극에 있어서 물론 배우도 중요하지만 그 뒤에 배경인 무대 장치와 무대 음악이 라는 양념이 잘 쳐져 훌륭한 작품으로 연출되는 이 또한 연극에서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다시 한번 깨닫게 해주는 뜻 깊은 시간이었다.

키워드

연극,   떼도적,   독일,   작가,   희극,   도적,   쉴러,   희곡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1.22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5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