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기업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제철 기업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1) 재무제표 분석의 목적
(2) 기업선정 이유
(3) 비교기업 선정이유
(4) 분석방법 및 방향

▶ 본론
1. 철강산업분석
(1) 철강산업
(2) 철강산업의 2006년 하반기 동향
(3) 철강산업의 2007년 상반기 전망
(4) 산업체크 포인트
2. 현대제철 소개
(1) 현대제철 개요
(2) 현대제철 연혁
(3) 현대제철 현황
3. 요약재무제표
(1) 대차대조표
(2) 손익계산서
4. 경영지표별 경영실태
(1) 유동성분석
(2) 활동성분석
(3) 안정성분석
(4) 수익성분석

▶ 결론
(1) 결언
(2) 재무제표 분석의 한계점

본문내용

업의 고정비율 적합률은 비슷한 수준으로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현대제철의 경우 2006년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경기불황으로 재투자가 감소하고 이로 인하여 이익잉여금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자기자본의 증가로 이어졌으며 부채의 종류가 고정부채에서 유동부채로 변하면서 금융비용의 감소가 고정비율과 고정장기 적합률의 급격한 감소로 이어졌다.
(4) 수익성 분석
▶현대제철의 총자산 이익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영업외비용의 감소로 인한 경상이익과 당기순이익의 증가가 총자산의 증가폭을 상쇄하였기 때문이다.
▶자기자본 이익율을 역시 당기순이익의 큰 증가로 자기자본 대비 순이익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 된다.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매출액 순이익률도 마찬가지로 매출액 증가비율보다 경상이익 당기순이익이 더욱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매출액 순이익율의 증가 원인
현대제철 동국제강 산업평균
▶현대제철의 매출액 순이익률과 영업이익률 등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이는 ATTACK21 운동이라는 공격적 경영기법을 통하여 매출액 증대 뿐만 아니라 영업이익, 경상이익, 당기순이익의 증가를 이룩하였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동국제강과 철강산업 평균에서 나타나듯이 철강산업 전체의 매출액 대비 수익성 지표들이 계속해서 개선되고 있다. 이는 중국의 철강 수요가 증가하고 철강업체들의 자율적인 인수합병을 통하여 만성적인 공급과잉 상태를 벗어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ROA, ROE 역시 국내 각 철강사들의 사상최대 외형성장과 수익성 개선으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국제적으로는 몇 년 전 발발한 이라크 전쟁의 휴유증으로 원유가 등 원자재 가격의 급등과 세계경기 회복의 지체가 계속되고 있으며, 북한 핵문제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더해지고 국내적으로는 내수부진과 건설경기가 침체기로 넘어가면서 수익성의 증대는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제철의 ROA, ROE, 자기자본구성비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 특히 ROE는 2005년에 전년 대비 약 4배 이상 증가 => 총자산 이익률이 급격히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총자산 이익률이 증가한 원인은 ATTACK21 운동과 외형상의 성장 등으로 인하여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결론
▶지속적인 개선과 구조조정으로 재무구조가 호전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수익성과 안정성에 있어서는 경쟁업체와 비교하여 뚜렷하게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수익으로 얻은 현금 흐름을 부채를 상환하는 등의 risk를 최소화하는 경영전략으로 풀이
▶그러나 유동성은 산업평균과 비교하여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2004년 9월 21일 현대제철(당시 INI스틸)과 현대하이스코 컨소시엄이 한보철강 당진공장을 인수합병, 정몽구 현대차 회장의 일관제철소 건립의지는 앞으로의 현대제철의 미래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일관제철소 건설로 2011년 매출액 약 11조원 전망
=>현대기아차 등에 자동차용 강판 등을 제공하기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일관제철소 건립.
=>제2의 POSCO
-철강산업의 호황으로 전체적인 기업의 가치상승-
▶2003년부터 세계적인 경기회복세와 더불어 중국의 급속한 성장과 신흥공업국들의 성장으로 철강수요가 대폭 증가되면서 현대제철 뿐만 아니라 철강업체들이 전반적으로 대규모 수혜를 입게 되었다.
-강원산업의 조기 정상화-
▶2000년 흡수 합병한 강원산업(포항공장)의 정상화가 조기에 이루어져 현대제철의 매출액 증가와 함께 각종 시너지 효과가 발생해 영업경쟁력이 향상되고 있다.
-한보철강 인수로 인해 생산력 확대-
▶몇 년전 현대하이스코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한보철강을 인수를 성사시킨 현대제철은 향후 생산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따라서 당분간 계속될 철강산업의 호황으로 현대제철의 매출신장은 이전보다 더욱 두드러질 전망이다.
-정부의 경기부양정책-
▶최근 정부에서 건설경기부양책에 대해 논의하고 또한 연기금의 SOC투자가 이루어지면서 건설경기와 SOC산업에 많은 영향을 받는 현대제철에게는 좋은 호재로 작용할 것이다.
-중국의 철강수요 급증-
▶현재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중국의 철강수요가 급증하면서 철강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현대제철의 주력제품인 H형강, 철근, STS/CR등의 가격 또한 상승해 기업의 매출신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IISI(국제철강협회)의 세계 철강수요 긍정적 전망-
▶IISI는 2007년까지 시나리오별 세계 철강수요 전망치를 발표했는데 중도적 전망에 의하면 2002년~2007년 중 세계 철강수요는 연평균 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전 세계적인 성장률이고 아시아 지역의 성장률은 전 세계 전망치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왜냐하면 중국과 동남아 국가들의 철강수요가 세계 연평균 성장치를 훨씬 상회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경우만 하더라도 철강수요의 연평균 성장률은 11%에 달해 세계 평균에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이 같은 철강수요 전망에 근거하면 중기적으로 철강업체의 수익성에 대해서도 낙관적인 예상을 가능하게 해 철강가격은 과거 10년 보다 향후 10년 동안 보다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2007년 하반기 대규모 신도시 개발에 따른 봉형강업체 수혜가 예상-
※ 참고 사이트 ※
현대제철 http://www.hyundai-steel.com/
동국제강 http://www.dongkuk.co.kr/ 
한국은행 http://www.bok.or.kr/
한국경제신문 http://www.hankyung.com/
매일경제 http://www.mk.co.kr/ 
금융감독원 http://www.fss.or.kr/
한국경제연구원 http://www.keri.org/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LG경제연구원 http://www.lgeri.com/ 
하나경제연구소 http://www.hanari.re.kr/
우리투자증권 http://www.wooriwm.com/
동양종합금융증권 http://www.myasset.com/
통계청 http://www.nso.g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12.15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8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