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요점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화사 요점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회 한국사 연구와 민족주의
1. 문제제기
2. 민족사학과 국민국가

2회 한국근대 사학사
1. 성리학적 역사서술의 특징
2. 조선후기 역사서술의 특징
3. 개항기 역사서술
4. 식민사학 중국의 식민지로 첫출발(한사군)
5. 민족주의 사관
6. 1960 ~ 70년대 최고의 화두 : 민족사학/근대화
7. 80년대 민중사학
8. 90년대

3회 단군 신화와 고조선
1. 전제
2. 단군신화
3. 고조선
4. 단군신화, 고조선 인식

4회 고대국제 관계와 임나일본부설
1. 문제제기
2. 임나일본부설
3. 광개토대왕비 -근대의 text로 해석된 고대 text
4 고구려의 TEXT로서 광개토대왕비

6회 중앙집권론과 지방자치제의 변화
1. 문제제기
2. 삼국, 통일신라시대 → 골품제, 정복전쟁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5. 한말 : 자치제의 법제화 시도, 집강소
6. 일제시대 ↱ why 세금 징수기관의 등장
7. 해방후 : 지방 자치제의 차폐, 관변조직의 지방여론 독점

7회 한국의 “미”의 식민지성
1. 한국 미술사의 출발 : 식민시대
2. 아나기 무네요시 : 민예운동가
3. 타자화된 주체의 수용과 반발
4. 한국 미술사 인식의 몇가지 고려사항

8회 한국 근대사에서의 국가주의와 자유주의
1. 문제제기
2. 이론
3. 한말 유기체적 국가관과 국권론
4. 식민지 시기 자유주의적 시화관
5. 일제말 파시즘적 국가관(1930~1940) 히틀러, 무솔리니
6. 해방후 국가주의
7. 70년대 국가주의 1) 제2경제로서의 국민교육헌장 →
8. 해방후의 자유주의
9. 90년대 자유주의

본문내용

2. 이론
1) 자유주의(liberalism) → 독립신문
-국가는 개인의 자유를 침범 할수 없고 개인을 위해 존재
-국가의 권력과 기능은 제한적
-천부인권설, 사회계약론 개인주의, 인민주권론
2) 국가주권론(state)
-국가 권력이 개인의 자유와 인권위에 / 개인은 국가위해서만 존재 → 개인의 이익 < 국가이익
-국가지상주의, 전체주의, 유기체론 → 개인은 국가의 한부분이다
3. 한말 유기체적 국가관과 국권론
1) 배경
-일본을 통한 수입(독일에서 유행하는 국권론 수입 : 국가인원론, 국가주권론 ⇔ 인민주권론
2) 국가주의 우위
- 小我 < 大我 관념의 확산 → 국가의 이익을 통해 나를 찾자
(反제국주의를 위해 근대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봉건관념 극복해야 된다는 논리)
- 민족국가의 위기 속에 동원논리의 휴효성
4. 식민지 시기 자유주의적 시화관 → why 국가 없는 시기
1) 배경 (1910 등장, 1920 확산) → 민주주의(의회, 정당)/자본주의(독점, 개발)/사상(개인,자유)
2)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등장(자본주의의 기본)
3) 자유주의적 허약성→反봉건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12.15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3829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