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 산후조리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전통적인 산후관습
1) 삼신할머니
2) 금줄
(1) 상징적 의미
(2) 금줄 치는 기간과 방법
3) 미역국 먹기
4) 수유를 위한 풍속
5) 산후생활

2. 산후조리의 단계
1) 칩거기(critical):
2) 개시전기(preresumable):
3) 주의개시기(careful-resumable):
4) 안전개시기(safe-resumable):

3. 전통적인 산후조리법
1) 일반적 산후 조리법
(1) 안정과 휴식
(2) 땀빼기
(3) 바람은 금물
(4) 정신적 안정
2) 전통 산후조리의 위생관리
(1) 목욕
(2) 좌욕
(3) 칫솔질
3) 전통 산후조리의 일상생활
(1) 수면
(2) 땀
(3) 옷입기
(4) 유방관리
(5) 성생활
4) 전통적 산후조리의 음식
(1) 산모에게 좋은 음식
(2) 산모가 피해야 할 음식

4. 산후조리의 기본원리와 방법
1) 제1원리: 몸을 따뜻하게 하고 찬 것을 피하므로 기운을 돋우기
2) 제2원리: 일하지 않고 쉬기
3) 제3원리: 잘 먹기
4) 제4원리: 무리하게 힘을 쓰지 않아 몸을 보호하기
5) 제5원리: 청결을 유지하기
6) 제6원리: 정성껏 돌보기

5. 전통적 산후조리의 기간

<참고자료>

본문내용

아기에게 직접 바람이 쐬지 않도록 이불을 뒤집어쓰게 하거나 조 심스럽게 다른 방으로 이동하게 하여 신체 표면과 코나 입으로 찬공기를 들이마시지 않도록 하였다.
2) 제2원리: 일하지 않고 쉬기
(1) 신체적ㆍ정신적으로 일하지 않고 휴식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여성들은 ‘몸과 마음을 편하게 쉬기’ 라고 표현한다.
(2) 산모 자신을 돌보기, 식사, 개인위생, 좌욕, 수유 및 기저귀 갈기 같은 아주 가볍고 기본적인 일을 조심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전혀 여건이 닿지 않는 경우라 할지라도 적어도 일주일간은 필수적으로 쉬도록 하였다.
3) 제3원리: 잘 먹기
(1) 산욕부를 위해 특별히 처방되고 마련된 음식을 먹는 것을 의미하며 음식의 종류, 성 질, 빈도, 기간, 양, 준비 방법을 함축하는 의미이다.
(2) 제3원리 잘먹기는 신체의 불편감(예: 변비, 치아문제)과 소위 산후병을 예방하며, 현존하는 신체적 불편감을 치료(예: 부종, 변비)하고, 여성의 생리적 기능(예: 혈액순환, 전신의 회복, 유즙생성)을 유지ㆍ증진하게 된다.
4) 제4원리: 무리하게 힘을 쓰지 않아 몸을 보호하기
(1) 몸이 완전히 회복되지 전에 몸을 과도히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는데 이는 꼼짝 않고 누워 있으라는 의미는 아니며 조리하고 있는 따뜻한 방에서 적당이 그리고 주의하며 움직이도록 추천하고 있다.
5) 제5원리: 청결을 유지하기
(1) 씻기는 회복을 위해 바람직하고 도움이 되나 다른 원리들이 무시된 채 행해지는 것이 아니고 조화와 균형을 이루며 행해져야 한다.
[주의사항 및 방법]
① 충치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아주 부드러운 칫솔로 단시간 내에 아주 조심해 서 부드럽게 칫솔로 이를 닦되 반드시 따뜻한 물로 헹구도록 하였다.
② 머리를 감을 때는 문지르지 말고 허리와 등을 너무 구부리고 과도히 긴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속히 헹구어만 내도록 주의하며 따뜻한 곳에서 말리도록 하였다.
③ 목욕하기를 고집할 경우 더운 또는 뜨거운 물이나 쑥물로 부분 목욕하는 것이 추천된 다.
④ 회음 청결의 한 방법으로 쑥을 이용(쑥찜, 쑥물에 앉기, 쑥물로 씻기)하는 것이 추천된 다.
* 쑥의 효과
체내의 냉기를 몰아내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지혈, 소염, 진통, 균의 성장 저지 및 항 염증작용이 있고, 또한 요통, 월경곤란증, 허약자궁, 냉, 산전 산후 출혈 예방을 위해 한 방에서 사용하며 치료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6) 제6원리: 정성껏 돌보기
(1) 산욕부 주위의 모든 사람이 산욕부를 정성껏 돌본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산욕부를 방문하는 모든 방문객 역시 이 원리를 따라 줄 것을 기대함
(2) 산욕부는 정신적으로 약하고, 사소한 자극에도 쉽게 마음 상하게 되는 상태로 인식되므로 이러한 원리는 정신적 안녕에 기본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산후조리의 장소로 친정이나 자신의 집으로, 이상적인 산관자로 친정 어머니를 가장 선 호하는 것도 이 원리가 가장 잘 실현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며 정성스레 돌볼 수 있 는 산관자 없이는 산욕부가 산후조리의 원리들을 잘 따를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없다.)
5. 전통적 산후조리의 기간
적어도 3주나 한달이 소요되며, 최소한으로는 2주가 필요하고, 7주정도 하면 더 좋고 이 상적으로는 100일이 추천된다.
여성 건강 간호학/이경혜 외/현문사/1999
모성간호학 1/이영숙/현문사/2001
모성여성건강 간호학1/하영숙 외/신광출판사/2003
모성간호학/박춘화 외/.수문사/2000
모성간호학1/정문숙 외/정담출판사/1999
논문 <산후조리에 대한 전통 , 양방 , 한방적 비교와 한방산후조리원의 운용에 관한 고찰>
/김소연 ,조홍윤, 손희천/대한의료기공학회/2001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12.21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4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