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흡기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0.1 코
10.1.1 외비
10.1.2 비강
10.1.3 부비동
10.2 후두
10.2.1 후두연골
10.2.2 후두강
10.3 기관
10.4 기관지
10.5 폐
10.6 흉막
10.7 종격

본문내용


폐에 분포하는 영양혈관으로는 폐조직에는 산소와 영양분을 제공한 후 되돌아가는 기관지동 정맥이 있고, 기능혈관으로는 혈액 속의 이산화탄소를 산소와 교환하기 위하여 들어왔다가 나가는 폐동 정맥이 있다.
기관지와 같이 폐문을 통하여 들어온 폐동맥은 분지를 거듭하여 폐포의 벽에서 치밀한 모세혈관망을 이룬다. 이 모세혈관 벽을 통하여 가스교환을 한 후 폐정맥이 되어 좌심방으로 되덜아 간다.
가느다란 기관지동맥도 폐문에서기관지와 함께 폐 속으로 들어와 폐실질에 분포한 후 기관지 정맥이 되어 우측은 기정맥에, 좌측은 부반기정맥과 좌상늑간정맥에 유입된다.
10.6 흉막
흉막은 폐를 싸는 2겹의 장막으로 폐 표면을 덮는 장측흉막과 장측흉막이 폐문에서반전되어 흉강 내벽을 덮는 벽측흉막으로 구분한다. 이들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의 좁은 공간을 흉막강이라고 하며, 흉막강 속에는 소량의 흉막액이 차 있어 폐의 운동을 원활하게 해 준다.
벽측흉막은 다시 위치에 따라 늑골흉막, 횡격흉막 및 종격흉막으로 구분하며, 폐첨과 밀착하는 벽측흉막의 첨단부는 경흉막 혹은 흉막정이라고 한다.
흉막강은 그간극이 고르지못하여 일부에서는 폐가 최대로 확장디었을 때에도 공간이 남는 넓은 곳이 있는데, 이를 흉막동이라고 하며, 늑골흉막과 횡격흉막의 이행부에 형성되는 늑골횡격동, 흉곽의 전연에서 늑골흉막이 종격흉막으로 이행되는 곳에 형성되는 늑골종격동이 이에 해당된다.
흉막염 등의 질환시 흉막액을 채취하기 위한 흉막천자의 부위로 액와선상의 제 7 늑간극이 이용되는 것은 바로 늑골횡격동에 해당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흉막강은 폐보다 압력이 낮기 때문에 폐의 병변이나 외상 등에 의하여 공기가 들어갈 수 가 있는데, 이를 기흉이라고 한다.
10.7 종격
종격은 좌 우 폐상, 그리고 앞은 흉골, 뒤는 흉추, 위는 흉강 상구, 밑은 횡격막 등으로 둘러싸인 흉강의 중앙부를 말하며, 폐와 흉막을 제외한 모든 흉곽장기가 수용되는 것이다.
* 종격상부 : 흉골각에서 제 4 흉추 하단을 잇는 선의 윗부분으로 기관, 식도, 흉선, 대동 맥, 상대정맥 등이 들어 있다.
* 종격전부 : 흉골과 심장 사이로 흉선과 내흉동맥 정맥등이 들어 있다.
* 종격중부 : 종격전부와 종격후부 사이의 가장 넓은 가운데 부위로 심막에 싸인 심장, 상 대정맥, 폐동맥 폐정맥 등이 들어 있다.
* 종격후부 : 심장과 흉추 사이로 식도, 흉관, 대동맥, 미주신경 등이 들어있다.

키워드

호흡기계,   ,   후두,   기관,   ,   흉막,   종격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1.0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6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