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형태학 교내식물 조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형태학 교내식물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시나무 <Quercus myrsinaefolia>
2. 감나무 <Diospyros kaki>
3. 갓 <Brassica junceavar.integrifolia>
4. 개나리 <Forsythia koreana>
5. 개망초 <Erigeron annuus>
6. 개불알꽃 <Cypripedium marcranthum>
7. 고들빼기 <Youngia sonchifolia>
8.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a>
9. 괭이밥 <Oxalis corniculata>
10. 꽃잔디 <Phlox subulata>
11. 꽝꽝나무 <Ilex crenata>
12. 나사백 <>
13. 남천 <Nandina domestica>
14.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15. 능소화 <Campsis grardiflora>
16. 단풍나무 <Acer palmatum>
17.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18.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19. 라일락 <Syringa vulgaris>
20. 마로니에 <Aesculus hippocastanum>
21. 마름 <Trapa japonica>
22. 말즘 <Potamogeton crispus>
23. 맥문동 <Liriope muscari>
24. 머위 <Petasites japonicus>
25.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var.subtripinnata>
26. 메타세쿼이아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27. 명자나무 <Chaenomeles trichogyna>
28.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29. 무화과 <Ficus carica>
30. 물수세미 <Myriophyllum verticillatum>
31. 민들레 <Taraxacum platycarpum>
32.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33. 백목련 <Magnolia denudata>
34. 백정화 <Serissa japonica>
35. 벚나무 <Prunus>
36. 벽오동 <Firmiana simplex>
37. 복숭아나무 <Prunus persica>
38. 붓꽃 <Iris nertschinskia>
39. 붉은토끼풀 <Trifolium pratense>
40.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41. 뽀리뱅이 <Youngia japonica>
42.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43.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44.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
45. 새콩 <Amphicarpaea edgeworthii var. trisperma>
46. 섬잣나무 <Pinus parviflora>
47. 소나무 <Pinus>
48. 송악 <Hedera rhombea>
49. 수련 <Nymphaea tetragona>
50.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51. 아왜나무 <Viburnum odoratissimum>
52. 아카시아 <Acacia>
53. 여우콩 <Rhynchosia volubilis>
54.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55.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56.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57. 유채 <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58. 유카 <Yucca>
59. 은목서 <Osmanthus fragrans Lour>
60. 은행나무 <Ginkgo biloba>
61.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62. 자목련 <Magnolia liliflora>
63. 잣나무 <Pinus koraiensis>
64.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65. 종려 <Trachycarpus>
66. 중국단풍 <Acer buergerianum>
67. 찔레꽃 <Rosa multiflora>
68. 철쭉꽃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69.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70. 튤립나무 <Liriodendron tulipifera>
71. 팽나무 <Celtis sinensis>
72. 편백 <Chamaecyparis obtusa>
73. 플라타너스 <Platanus>
74. 호랑가시나무 <Ilex cornuta>
75. 회양목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76. 히말라야시다<Cedrus deodara>

본문내용

이 이름이 붙었다. 큰 것은 높이 60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15㎝로서 버즘나무의 잎과 비슷하지만 끝이 수평으로 자른 듯하다. 턱잎은 크고 겨드랑이눈(腋芽)을 둘러싸고 있다. 꽃은 5∼6월에 황록색으로 피며 지름 6㎝ 정도이고 가지 끝에서 튤립같은 꽃이 1개씩 달린다. 꽃잎은 6개로서 긴 타원형이며 꽃받침조각은 3개이고 수술이 많다. 열매는 익과(翼果)로서 날개가 있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생육이 빠르며 조건이 적당하면 실생(實生)으로 10년에 10m를 넘지만, 바람에 꺾이는 경우가 있다. 가로수나 공원수로 심으며 목재는 건축재·가구재로 이용한다. 옛날 인디언은 환목주(丸木舟)를 만들기 위해 대목(大木)을 잘라 냈다. 북아메리카 원산인데, 북아메리카와 아시아 양 대륙에 격리분포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한국에서는 중부 이남에서 주로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71. 팽나무
쐐기풀목 느릅나무과 낙엽교목. 높이 20m, 지름 1m 정도. 어린 가지에 잔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달걀꼴이나 긴 타원형으로 윗부분에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이 거칠고 측맥은 3∼4쌍이다. 꽃은 잡성화이며 5월에 핀다. 수꽃은 새 가지 밑부분 잎겨드랑이의 취산꽃차례에 달리며, 암꽃은 새가지 윗부분에 1∼3개씩 달린다. 열매는 핵과(核果)이며 둥글고 10월에 등황색으로 익는다. 어린 잎을 생식하거나 나물로 하며 열매는 생식하거나 식용유를 짜기도 한다. 또한 목재는 건축재·가구재·운동구·쟁기자루·땔감 등으로 쓴다. 햇볕이 잘 드는 적윤지 특히 연해지에서 잘 자란다. 한국·타이완·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72. 편백
측백나무과 상록교목. 높이 50m, 지름 2m. 노송나무라고도 한다. 곧게 자라 목재의 용도가 매우 넓다. 가지가 수평으로 퍼져 원뿔모양의 수관(俊冠)을 형성한다. 나무껍질은 적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져서 벗겨진다. 작은 비늘조각모양의 잎이 압착하며, 작은 가지에 앞뒤의 구별이 있고, 잎은 마주나며 표면에 1개의 샘<毛>이 있고 뒷면에는 흰색점이 있다. 이른 봄에 짧은 가지 끝에 암·수 꽃이 피는데, 수꽃은 다갈색이며 여러 개가 모여 달리고 꽃가루는 노란색이다. 암꽃은 홍자색이며 수꽃보다 크고 가지 끝에 달린다. 열매는 구과(毬果)로서 지름 8∼12㎜의 구형이며 가을에 녹색에서 갈색으로 익는다. 실편(實片)은 8∼10개이며 각 실편에 2개의 씨가 들어 있다. 씨의 양쪽에는 짧은 날개가 있다. 목재는 건축재·토목재·배·조각재 등에 쓴다. 일본 특산종이며 한국에서는 남부지방에서 조림수종으로 심고 있다.
73. 플라타너스
장미목 버즘나무과 플라타너스속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이나 그 일종. 비늘처럼 벗겨지는 나무껍질과 방울처럼 달리는 열매 등이 특징이다. 유럽 남동부·인도차이나반도·북아메리카·멕시코 등지에 8종이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양버즘나무·버즘나무·단풍버즘나무 등을 가로수·공원수로 심고 있다. 이 속의 주요 종인 플라타너스(양버즘나무)는 높이가 40∼50m에 달하며 버즘나무보다 추위에 강하고 나무껍질이 작은 조각으로 떨어진다. 잎은 넓은달걀꼴이며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나비 10∼22㎝이다. 턱잎은 크고 밋밋하거나 물결모양의 톱니가 약간 있다. 꽃은 자웅이주이다. 수꽃은 검붉은색이며 꽃받침·꽃잎은 각각 3∼6개이고, 암꽃은 연녹색이며 3∼6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둥글고 1개씩 달리며 많은 수과(瘦果)가 모여서 지름 3㎝ 정도의 방울처럼 된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한국·일본 등지에서 가로수로 심는다.
74. 호랑가시나무
무환자나무목 감탕나무과 늘푸른떨기나무. 높이 2∼3m. 가지를 많이 치고 둥글게 옆으로 퍼진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모양 육각형으로 각점(角點)이 가시모양의 톱니로 되고 앞면은 가죽질로 광택이 있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피며 전년도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5∼6개씩 모여 나서 산형꽃차례를 이룬다. 암술은 암술대가 없으며 암술머리가 약간 높아져서 4개로 갈라지고 검은색이 된다. 열매는 핵과(核果)이며 둥글고 9∼10월에 붉게 익고 종자는 4개씩 들어 있다. 관상용이나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이용한다. 꺾꽂이와 씨뿌리기로 번식된다. 약간 내음성(耐陰性)이 있으며, 적당한 습도의 비옥한 땅에서 잘 자란다. 북아프리카 원산이며, 한국·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75. 회양목
무환자나무목 회양목과 상록관목. 높이 6∼7m. 묵은 줄기는 회흑색이고 새로 난 가지는 가늘고 녹색이며 모가 져 있다. 잎은 어긋나며 가죽질이고 타원형으로 길이 12∼17㎜이다. 표면은 연한 녹색이고 뒷면은 황백록색을 띤다. 잎자루는 거의 없다. 꽃은 연한 노란색으로 4월에 가지끝이나 잎겨드랑이에 핀다. 수꽃은 1∼4개의 수술과 씨방의 흔적이 있으며 암꽃은 3개의 암술머리가 있는 씨방이 있다. 열매는 달걀꼴이고 길이 10㎜로 7∼8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번식은 꺾꽂이·씨뿌리기·휘묻이 등으로 하며, 관상용으로 흔히 심는다. 목재는 도장·지팡이 및 조각재로, 가지와 잎은 약재로 쓰인다. 한국 원산이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76. 히말라야시다
구과목 소나무과 상록침엽교목. 개잎갈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30∼50m. 나무는 원뿔 모양이고, 가지는 수평으로 퍼지며 작은 가지에 털이 있고 아래로 처진다. 나무껍질은 흑갈색이며 얇게 벗겨진다. 잎은 침엽으로 30개 정도 군생하며 길이 2.5∼5㎝로서 짙은 녹색이고, 단면은 삼각형이다. 꽃은 일가화(一家花)로서 10월에 짧은 가지 끝에서 위를 향해 피며 수꽃이삭은 원기둥 모양으로 길이 3∼5㎝이고, 암꽃이삭은 달걀꼴이다. 열매는 구과(毬果)로서 달걀꼴의 긴 타원형이고 길이 7∼10㎝ 지름 5∼6㎝로 적갈색이며 짧은 가지에 1∼2개가 위를 향해 붙는다. 다음 해 가을에 결실한다. 씨는 넓은 막질(膜質)의 날개가 있고 떡잎은 9∼10개이며, 번식은 휘묻이·포기나누기·꺾꽂이·씨나기로 한다. 세계 3대 공원수(公園樹)의 하나로 전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7.01.04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6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