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의 문제점 진단과 바람직한 방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미동맹의 문제점 진단과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동맹이론과 한미동맹의 문제점
1. 동맹과 국제정치
2. 국가이익과 동맹
3. 국가자율성과 동맹
4. 한미동맹의 문제점

Ⅲ 반미정서와 흔들리는 한미동맹 50년
1. 한국에서의 반미감정
2. 미국에서의 주한미군 철수론과 근거
3. 주한미군에 대한 주변국 입장
4. 한미공조인가 민족공조인가
1) 주한미군에 대한 북한의 입장
2) 민족공조의 함정

Ⅳ 자주국방의 허와 실
1. 한국 홀로 서기 가능한가
2. 자주국방 10년내 실현 불가능
3. 자주국방비용 2010년까지 64조원

Ⅴ 21세기 바람직한 한미동맹의 방향
1. 9.11이후 미국의 신안보전략과 주한미군
1) 부시의 군사닥트린과 해외주둔 미군운용
2) 탈냉전 및 대테러 시대의 한국안보
3) 한미동맹의 3가지 시나리오
2. 한미동맹의 바람직한 방향
1) 수평적 관계로의 발전
2) 지역안보 동반자관계로의 발전
3) 유연한 연합지휘체제로의 개편

Ⅵ 결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도 컸지만 그러한 미국의 피해는 남베트남이 겪은 국가 붕괴라는 피해처럼 결정적인 것은 아니었다는 사실을 상기한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미관계는 보다 성숙한 관계로 발전해야 하며 한미간의 여러 현안들이 한국에 보다 유리하게, 한국 국민의 자존심을 살려주는 방향으로 처리되어야 할 것이다. 하나의 예로 SOFA는 미국이 일본이나 독일과 체결한 협정과 동일 수준으로 개정되어야 하고, 일체의 불합리한 점들은 합리적으로 교정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지금 북한으로부터 한미공조와 민족공조 중 하나를 택일토록 요구받고 있다. 한미동맹을 유지하면서도, 미국이 ‘악의 축’으로 규정한 북한과 화해 협력을 추구해야만 하는 아주 난처한 처지에 있다. 어느 한 쪽으로 편향될 경우 방향타를 잃고 표류할 수 있는 위험한 위치인 셈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북한 핵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우리는 결코 제3자나 중립적 입장이 될 수 없는 현실이다. 이 문제는 우리의 안보와 직결되기 때문에 외부에 우리의 운명을 맡겨서는 안된다. 특히 1994년 핵 위기처럼 우리 정부도 몰래 북한 공격이 계획되는 상황이 재현돼선 결코 안된다. 때문에 한미공조의 안착은 북한 핵문제 해결의 시금석이고 전제조건이다. 이는 일종의 용미론(用美論)이기도 하다. 미국의 적극적인 지지와 협조가 없는 한 실질적인 안보 문제 해결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관점에서 독일통일의 교훈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독일 통일의 이면에는 미국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었다. 독일 통일이 가능했던 것은 서독이 소련, 동독과의 관계개선을 하면서도 정치적으로는 오히려 서방으로의 통합, 특히 미국과의 ‘동맹관계’를 강화했기 때문이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자 ‘거대 독일’의 탄생을 우려한 소련. 영국. 프랑스 등의 반대를 억누른 것은 다름 아닌 미국이었다.
미국은 왜 주변국들이 반대하는 독일 통일을 적극 밀었을까. 그 해답은 바로 서독의 일관된 태도에 있었다. 서독은 모든 나토 회원국들이 꺼려했던 중거리 탄도미사일 배치를 기꺼이 수용하는 등 우둔할 정도로 미국의 정책을 지지해 왔다. 결국 미국은 서독의 협조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결정적인 순간에 서독의 손을 들어준 셈이다.
독일의 사례는 북한 핵 문제 해결에도 어느 정도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탄탄한 한미공조의 틀 안에서 북한 지도층이 핵을 포기토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쪽으로 외교력을 모아야 한다. 대등하고 미래지향적인 한미관계도 좋지만, 이 또한 내밀한 신뢰를 토대로 차근차근 추진해야지 지금처럼 힘 겨루기 양상의 갈등을 노정해서는 곤란하다.
결론적으로 한미공조를 통한 용미(用美)가 우리 민족의 살길이다. 국제관계는 국내문제와 달라 ‘개혁’을 떠든다고 될 일이 아니다. 외교안보의 대상인 국제환경은 우리의 뜻대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미관계에 대해서는 친미냐 반미냐의 단순논리를 넘어 실제로 무엇이 국익에 도움이 되는 지를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 안보에는 우익과 좌익이 따로 없고 오로지 국익만이 있을 뿐이다.
<참고문헌>
권태영정춘일, 「선진국방의 지평」, 을지서적, 1998.
구영록, 「한국과 국제정치환경」,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김일영조성렬, 「주한미군 역사 쟁점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3.
남주홍, “기로에 선 한미안보동맹”,「신동북아 질서의 제문제」, 법영사, 2004.
류재갑, “주한미군에 대한 한국의 입장”, 「주한미군과 한미안보협력」, 세종연구소, 1996.
서옥식, 「통일을 위한 남남갈등 극복방향과 과제」, 도서출판 도리, 2003.
오동룡, “주한미군 철수시 戰力 대체비용 얼마나 들까?”, 「월간조선」, 2003년 6월호.
이춘근, “한미동맹의 문제점 진단과 한미동맹 강화 논리”, 「국가전략」, 2003년 9권3호.
조성환, “통일론의 비판적 지식사회론: 민족 패러다임의 비판적 인식”, 「동 양정치사상사」, 제3권1호 별쇄본, 2004.
국방부, 「한미동맹과 주한미군」, 2003.
국방부, 「21세기를 지향하는 한국의 국방」, 1995.
동아일보사, 「주한미군」, 1990.
세종연구소편, 「주한미군과 한미 안보협력」, 1996.
통일부, 「따로 한 반세기, 함께 하는 21세기」, 2001,
한국국방연구원, 「한반도 평화군축에 대한 올바른 이해」,1998.
Bandow, Doug. "Korea: The Case for Disengagement" Policy Analysis, No.96.
Harrison, Selig. Korean Endgame: A Strategy for Reunification and U.S. Disengagemen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Morgenthau, Hans J. Politics Among Nations: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5th ed. New York: Alfred A. Knopf. 1973.
Oberdorfer, Don.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2001.
Russett, Bruce. " An Empirical Typology of International Military Alliances," Power and Community in World Politics(Sanfrancisco: W.H. Freeman and Co., 1974.
Snyder, Glenn. Alliance Politic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7.
Walt, Stephen M. The Origins of Allianc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87.
Department of Defense, Nuclear Posture Review, January 8, 2002.
Department of Defense, A Strategic for the Asian Pacific Rim: Looking toward the 21th Century (April, 1990: July, 1992)
  • 가격무료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07.01.08
  • 저작시기200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7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