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의 원인과 대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백신의 안전성의 중요성

3. 국내 예방접종 현황과 문제점

4. 백신접종 후 이상반응의 원인, 분류 및 종류
1) 백신반응
2) Programme error
3) 우연히 속발한 경우

5. 백신의 안전성의 평가(monitoring)
1) 허가전(pre-licensure) 평가
2) 허가후(post-licensure) 평가

6.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백신생산의 품질관리

7. 백신접종에 대한 고려

8. 백신접종 후 이상반응의 감시(surveillance)

9. 이상반응과 백신과의 인과관계의 평가

10. 백신에 의한 상해에 대한 보상

11. 백신접종의 위험에 관한 교육(risk communication)

12. 맺는 말

참고 자료

본문내용

있어서 유의할 원칙들이 있다. 첫째, 개개인은 각자의 성격, 교육 수준, 개인적인 과거의 경험에 따라 위험이 대한 인식이 다르다. 둘째, 개개인의 입장, 즉, 공공 의료 기관에 근무하는 의료인, 민간 기관의 의료인, 백신 제조 회사 직원, 일반적인 부모, 백신으로 상해를 입은 보호자 등 개개인의 입장에 따라 백신 접종의 위험이 대한 인식이 다르다. 셋째, 자동차 운전과 같이 자발적인 행동에 따르는 위험은 쉽게 받아들이지만 의무 접종과 같은 강제적인 위험에 따르는 위험에 대한 거부감은 크다. 넷째, 많은 사람들은 백신 접종이라는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한 백신 접종을 받는 것보다는 아무런 행동이 필요없는 접종을 받지 않는 것을 선호한다. 다섯째, 사람들은 예방 접종의 이득과 위험을 비교하는데 있어서 의사나 다른 의료 전문가의 조언에 의해 좌우되는 수가 많다.
예방 접종을 시행할 때에는 백신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뿐만 아니라 백신의 위험에 관해서도 충분히 설명해 주어야 한다. 또, 백신에 의한 이상 반응이 사회 문제가 되었을 때는, 대중 언론 매체를 통하여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정확한 실상을 알려서 국민들이 잘못된 인식을 같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12. 맺는 말
백신의 안전성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백신에 의한 이상 반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기술한 백신의 개발, 임상 시험, 백신 생산의 품질 관리, 접종, 접종 후 이상 반응의 감시, 국가 보상 및 이상 반응에 관한 교육이 이르기까지의 모든 분야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함께 백신의 이상 반응에 대한 연구와 보다 안전한 백신의 개발도 병행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최근 환자 발생 감소로 인한 무관심, 백신 부작용에 대한 우려, 접종 스케줄의 혼란 등으로 국민들이나 의료인들이 접종을 기피하여 면역수준이 떨어질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좀더 과학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사백신 추가접종 스케줄이 조정되어야하며 이를 통하여 국가 예방접종 사업의 효율성이 다시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1. Nathason N, Langmuir AD. The Cutter incident. Am J Hygiene 1963;78:16-81
2. Howson CP, Howe CJ, Fineberg HV, editors. Adverse effects of pertussis and rubella vaccines. Washington DC: Institute of Medicine, Naitonal Academy Press, 1991.
3. Howson, Fineberg HV. Adverse events following pertussis and rubella vaccines. Summary of a report to the Institute of Medicine. JAMA 1992;267:392-6
4. Aaby P et al. Trial of high-dose Edmonston-Zagreb measels vaccine in Guinea-Bissau: protective efficacy. Lancet 1988;2:809-811
5. Whittle H et al. Trial of Edmonston-Zagreb measels vaccine in The Gambia; antibody response and side effects. Lancet 1988;2:811-814.
6. Extended Programme on Immunization. Measles immunization before 9 months of age. Weekly Epidemiology Record 1990;65:2-8
7. Garenne M et al. Child mortality after high-titre measles vaccine. Prospective study in Senegal. Lancet 1991;338:903-920.
8. Extended Programme on Immunization. Safety of high-titre measles vaccine. Weekly Epidemiology Record 1992;67:357-361.
9. Intussusception among recipients of rotavirus vaccine-United States, 1998-1999.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1999;48:577-581.
10. Stetler HC, Mullen JR, Brennan JP, et al. Monitoring system for adverse events following immunization. Vaccine 1987;5:169-174.
11. CDC. Vaccine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MMWR 1990;39(RR-41):730-3.
12. Chen RT, Rastog SC, Mujllen JR, et al. The vaccine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VAERS). Vaccine 1994;12:542-550.
13. World Health Organization. Surveillance of adverse evetns following immunization. Geneva, WHO/EPI/TRAM/93.02 Rev.1, 1997.
14. Chen RT, Glasser J, Rhodes P, et al. The Vaccine Safety Datline Project: A novel tool for improving vaccine safety monitoring in the United States. Pediatrics 1997;99:765-773.
15. Wise RP, Kiminyo KP, Salive ME. Hair loss after routine immunizations. JAMA 1997;278:1176-1178
16. 김정순, 최보율, 손연모, 김창위: 국가예방접종사업 안정화를 위한 실천 전략 및 백신부작용 감시체계 개발연구 보고서. 보건복지부. 2000년
  • 가격2,7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1.16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7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