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란 무엇이며 발생원은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문제란 무엇이며 발생원은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사회문제란 무엇인가?
1. 사회문제의 정의
2. 사회문제의 접근방법
3. 사회문제의 유형

Ⅲ. 사회문제의 이론적 접근방법
1. 사회문제 접근이론의 분석적 초점
2. 기능주의 이론(Functional theory)
3. 갈등주의 이론
4. 상호작용주의 이론

Ⅳ. 결론

본문내용

본능 때 문에 유발된다는 의미에서 사회문제의 원인이 개인에게도 있다고 본다.
5)사회문제 해결방안
(1) 변증법적 갈등주의 : 자원의 불평등한 지배를 영속화시키는 사회체제 자체를 재조직, 즉 자원의 소유와 통제를 평등화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사회제도의 재조직은 현 체제에 대한 전반적인 부정과 도전이 되며 현 체제의 저항이 심하므로, 단기적으로는 어렵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역사적인 발전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즉, 봉건사회자본주의 사회사회주의 사회공산주의 사회로 발전하게 되면 사회문제가 자연적으로 해결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 단기적 해결책 : 革命적인 사회제도 개혁(생산수단 공유화, 자유경쟁시장체제의 폐기, 세제개혁=누진세율 적용)
(2) 기능적 갈등주의 : 사회체계 내에 갈등이 존재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지만 이것은 체제붕괴와 변화가 아니라 현 체제의 개선과 발전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본다. 따라서 제도의 전면적 재조직이 아니라 단편적인 개혁, 개선, 보완으로 가능하다는 것이다. 역기능적 제도에 관련된 자원분배를 평등화,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보편적이고 제도적인 방향으로 강화, 세제 개선 등.
4. 상호작용주의 이론
기능주의와 갈등주의 이론이 사회현상을 巨視적차원에서 접근하고 분석하려는 입장과는 대조적으로 관심의 초점을 개인간의 상호작용과정과 상호작용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결과에 두는 이론적 시각이다.
*분파적 이론: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구조적 역할이론, 과정역할이론, 연극주의 민속방법론.
◆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이론
* 상징적 : 인간이 상호작용의 도구로 언어나 몸짓 등의 상징을 사용하고 상징의 주관적 의미를 중요시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대표학자 : Hurbert Mead, Blumer, Kuhn
1) 사회적 현실
① 인간은 자신이 처한 상황과 거기서 이루어지는 행동을 주관적으로 정의, 해석하게 된다. ② 사회적 현실은 개인들이 상호작용 과정에서 주관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창조, 재창조 된다. 따라서 사회적 현실의 창조자인 개인 현실은 항상 유동적이고 변동적이다.
③ 사회현실은 일종의 포커게임과 같은데 이 판에 참여자는 공통적인 이해와 의미를 부여하 여 규칙을 만들고 동의하에 규칙에 따라서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④ 사회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력보다개인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더 크게 인정, 사회 변화의 주체를 개인으로 본다.
2) 인간의 본성
① 루소가 말한 ‘백지상태(tabula rasa)’와 같으며,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
② 인간 본성은 매우 가변적이므로 사회세계와 개인세계는 끊임없이 재창조된다.
③ 인간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위해 상징을 사용하고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을 대상으로 파 악하며 인간행위는 자발적이고 비결정적인 잠재력에 의해서 지배된다고 본다.
3) 사회문제의 정의
-사회의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의미에 동의할 수 없는 것으로 규정, 그 집단의 의미대로 행동하지 않는 것.
(예)알코올중독 : 자신의 건강을 해치고 타인에게 피해를 끼치고 사회생활 수행에 방해될 정도로 술을 마시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동의하지 않고 계속 술을 마시는 행위는 사회문제.
-같은 현상, 행동도 의미 부여에 따라서 사회문제가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
-누가 그 상황과 행동을 정의하느냐에 따라 사회문제가 될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
4) 사회문제의 원인
- 상호작용에서 어떤 현상이나 행동에 대한 의미에 동의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하는 것
-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범죄자, 비행자, 알코올중독자) 낙인을 찍는 것
- 어떤 행위에 대하여 다른 의미도 사회화된 것
- 상징의 차이
5) 사회문제 해결방법
① 적절하게 상징에 의미를 부여하고 동의 할 수 있도록 사회화하거나 재사회화하는 것
② 적절한 사회화제도나 재사회화 제도를 확립하는 것
③ 낙인행위를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을 조성하지 않는 것
④ 부정적인 낙인 사용에 신중을 기할 것
⑤ 낙인행위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의 범위를 좁힐 것
(다양한 행동과 상황을 정상적인 것으로 규정할 것)
⑥ 낙인행위에서 얻어지는 이득을 제거할 것 등
-사회문제는 단기적으로 해결가능하지만 장기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고 본다. 왜냐하면 상징인 언어와 사회적 상황이 존재하는 한 새로운 의미와 정의가 계속해서 생겨날 수 있기 때문이다.
Ⅳ. 결론
앞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사회문제는
첫째, 사회적 가치 규범에서 벗어난 것
둘째, 상당수의 사람들이 그로 인하여 부정적인 영향 혹은 피해를 받고 있는 것
셋째, 그 원인이 사회적인 것
넷째, 다수의 사람이나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이를 ‘문제’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
다섯째, 사회가 그 개선을 원하고 있는 것
여섯째, 개선을 위하여 집단적·사회적 행동이 요청되는 것으로 정리 요약 할 수 있다.
사회문제에 대한 사회복지학적 접근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이 타당 할 것이다. 그러나 문제의 해결도 다양한 차원이 존재한다. 즉, 사회문제의 최종적인 해결의 차원, 사회문제의 근본적인 원인 제거의 차원, 그리고 그 문제로 인하여 파생되는 부작용이나 고통을 최소화하는 차원 등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해결의 차원 중에서 어디까지가 사회복지학이 개입해야 하는 차원인가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는 것으로 안다. 지금 사회복지학을 배우는 과정에 있는 우리로서는 많은 학문적인 논의를 통하여 그에 대한 해답을 찾아야 할 것이다.
Ⅴ. 참고문헌
사회문제론 , 원석조 , 양서원 , 2002년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김대원외 4인 공저 , 학지사 , 2004년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홍금자외 11인 공저 , 인간과복지 , 2000년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외 4인 공저 , 양서원 , 1999년
사회복지학 연구 , 송정부 , 법지사 , 1999년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일섭·최성재 , 나남출판 , 1999년
http://education.sangji.ac.kr/~jbsong/gangi/daehag/munje/cham/001.htm
2006년 4월 7일 9시경

추천자료

  • 가격4,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1.16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9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