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학 개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면역학 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후천성 면역과 선천성 면역

2.면역세포의 종류
⑴ 식세포
⑵ 림프구
⑶ 세포독성세포
⑷ 부차적 세포(Auxiliary cell)

3.면역의 가용성 중개물질
⑴ 보체(Complement)
⑵ 사이토카인(Cytokine)
⑶ 항체(Antibody)

4.항원

5.면역반응
⑴ 클론의 선택
⑵ 면역효과기전
⑶ 염증

6.세포외재성 및 세포내재성 병원체에 대한 방어

7.예방접종

8.면역병리학

본문내용

있으며 그 밖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6.세포외재성 및 세포내재성 병원체에 대한 방어
세포외재성 병원체와 세포내재성 병원체에 대한 면역반응에는 근본적 차이가 있다. 세포외재성 병원체를 처리할 때 면역계통은 병원체를 파괴하고 그 생산물을 중화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그러나, 세포내재성 병원체를 처리할 때는 감염세포를 파괴하거나 감염세포가 병원체를 파괴하도록 도와서 감염을 극복하려고 할 것이다. 많은 병원체는 세포외재성 시기와 내재성 시기를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위의 두가지 다른 기전이 다른 시간에 각기 유효하다. 세포내재성 병원체의 처리에 필수적인 세포는 세포독성 T 림프구이다.
7.예방접종
면역학적 연구결과가 가장 성공적으로 응용된 것이 바로 예방백신의 개발이다. 백신의 원리는 후천성 면역의 두가지 요소인 특이성과 기억에서 유래한다. 기억세포는 같은 항원과 두번째로 만나게 되면 처음보다 훨씬 신속하고 강력한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백신으로는 항원성은 상실하지 않았으나 병원성은 상실한, 병원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이용된다.
8.면역병리학
만약 면역계에 어떠한 결함이 존재한다면 감염될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더 늘어날 것이다. 그러나, 세균이나 바이러스 없이도 면역계 자체의 문제로도 질병이 야기될 수 있다. 면역질환의 발생기전은 크게 다음의 세가지로 대별된다.
1.자가항원의 인식 - 자가면역질환
2.무력한 면역반응 - 면역결핍
3.과다면역반응 - 과민반응
그 밖에 면역계는 정상적 기능을 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인체에 해가 되는 쪽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장기이식시에 나타나는 거부반응이다.

키워드

면역학,   개론,   항원,   면역,   세포,   예방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1.20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7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