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역방식에 따른 통역의 충실성의 기준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들어가기

II. 통역의 충실성과 종류
1. 통역에서 표현의 충실성
2. 해석이론- 이해단계와 표현단계
3. 언어적 의미
4. 통역의 종류

III. 통역방식에 따른 통역의 충실성
1. 동시통역
1-1. 동시통역이 사용되는 경우
1-2. 동시통역과 통역의 충실성
2. 순차통역
2-1. 순차통역과 퍼포먼스
2-2. 순차통역과 통역의 충실성
3. 위스퍼링 통역 (whispering)
3-1. 위스퍼링을 사용하는 경우
3-2. 위스퍼링과 통역의 충실성
4. 생동시통역 (in vivo interpreting/voice over)
4-1. 생동시통역을 하는 경우
4-2. 생동시통역과 통역의 충실성
5. 릴레이 통역(relay)
6. 원격통역(teleinterpretation/videoconference)
7. 테크노 순차통역(techno consecutive interpretation)

IV. 나오기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techno consecutive interpretation)
7-1. 테크노 순차통역이란?
유럽연합 국제회의부(SCIC) 뉴스레터인 SCICNEWS
(2001년 11월, N°26)에 의하면 일부 통역사들에 의해 시험되고 있는 통역방식으로 디지털 기술 발달로 가능하게된 최첨단(?) 통역방식이다.
우선 연사가 말하는 내용을 디지털전자수첩(PDA)이나 소형 랩톱컴퓨터에 녹음한다. 물론 통역사가 일반적으로 순차통역(Standard Consecutive)할 때 하는 노트 테이킹은 안한다. 그 다음 연사의 말이 끝나면 헤드셋을 통해 녹음한 내용을 들으며 동시통역을 하는 것이다. 연사가 처음 말할 때 이미 들은 내용을 다시 또 한번 들으며 동시통역을 하니 청중들에게는 순차이지만 통역사에게는 2번 듣고 하는 완벽한 동시통역이 되는 셈이다.
현재 진행중인 연구를 좀 더 자세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트 테이킹을 하는 일반 순차통역과 테크노 순차통역을 비교하는 테스트로 사용되는 하드웨어에 따른 비교이다.
녹음장치의 어떤 기능을 더 개발할 것인가. 즉, 일반 순차통역에 비해 테크노 순차통역은 시간이 단축될 수 없으므로 - 원문 속도를 그대로 따라가야 하는 동 시통역을 해야하므로 - 녹음된 원문속도를 10∼20% 가속화해서 빨리 재생하는 기능이 가능한가 등이다. 주지하다시피 뛰어난 순차통역은 원문 속도보다 10∼20% 정도 빠른 것이 정설이기 때문이다. 또 하나는 멀리 있는 사람도 들을 수 있도록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느냐 하는 것이다.
둘째, 사용되는 하드웨어별 자체 비교이다.
전원이나 기억용량, 연결성, 배터리 수명에 이르기까지 하드웨어 특성에 관한 것이다. 음질, 사용하기에 용이한가, 휴대하기에 간편한가 등도 물론 포함된다. 재생시 속도 조절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여기에 포함시키는 항목이다.
이는 모두 디지털 녹음기술의 발달로 가능한 것이다.
7-2. 테크노 순차통역과 통역의 충실성
결과적으로 2번 듣고 하는 동시통역에 해당하나 녹음을 듣고 연사나 청중과의 관계에서는 순차통역이므로 동시통역과 순차통역의 충실성 기준이 모두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통역사로 볼 때 오리지널 원문스피치보다 다소 빨리 재생되는 스피치를 들으며 동시통역을 하면서도 많은 사람들 앞에서 아이 컨택트를 가지며 퍼포먼스적 요소도 고려해가며 설득력 있는 목소리로 공연을 해야하는 것이다. 연사가 말할 때 녹음을 하므로 노트테이킹을 안 해도 되고 2번 듣고 통역하는 이점은 있지만 퍼포먼스적 요소에서 오는 스트레스는 여전히 남아있다. 기계의 도움을 받아 자세한 세부내용까지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을 공연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일부 상쇄시켜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앞으로 어느 정도까지 발전된 보조 기기가 개발되나 계속 주시해야될 것이다.
IV. 나오기
새로운 방식의 통역이 계속 도입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는 통역사로서 다양한통역 방식이 통역의 충실성 기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신기술을 응용한 방식이 개발되고 사용된다하더라도 기본은 역시 순차통역과 동시통역임을 재확인 할 수 있다. 순차통역에서는 내용과 표현뿐만 아니라 퍼포먼스적인 요소가 통역의 충실성 기준에 포함되는 반면, 동시통역에서는 무엇보다도 통역의 동시성이 강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개발된 최첨단 기술 기기가 사용되는 테크노순차통역에서는 동시성과 퍼포먼스적인 요소가 모두 요구되며, 순차이면서도 동시이므로 앞으로 통역사의 능력과는 별도로 기기 성능이 통역의 질과 함수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정보기술의 발달이 통역방식에도 끊임없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참 고 문 헌
최정화 (1993) 통역과 번역을 제대로 하려면
최정화 (1998) 통역번역입문
최정화 (2001) 통역번역노하우
D.Seleskovitch (1968) L'Interprete dans les Conferences Internationales
D.Seleskovitch (1975) Langage, Langues et Memoire
D.Seleskovitch (1976) Traduire, de l'Experience au Concept,
D.Seleskovitch &M. Lederer (1984) Interpreter pour Traduire,
D.Seleskovitch &M.Lederer (1989) Pedagogie Raisonnee de l'Interpretation,
M. Lederer (1994) La Traduction Aujoud'hui,
J.C. Catford (1965) A Linguistic Theory of Translation,
E.Nida (1974) The Theory and Practice of Translation,
K.Dejean (1978), Lectures et Improvisiations. Incidence de la
Forme de l'Enonciation sur la Traduction Simultanee
K.Dejean (1982) Why Impromptu Speech is Easy to Understand
K.Dejean, (1989) The Importance of Background Knowledge in Translation
J.Deslile (1984) L'Analyse du Discours comme Methode de Traduction
J.Deslile (1981) L'enseignement de l'Interpretation et de la Traduction
C.Durieux (1988) Fondement Didactique de la Traduction Technique
A.Hurtado Albir (1990) La Notion de Fidelite en Traduction
J. Piaget (1970) Epistemologie des Science de l'Homme
A.Pym (1993) Epistemological problems in Translation and its Teaching
  • 가격2,9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1.2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05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