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실험 - 체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질실험 - 체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5) 결과

6) 고찰

본문내용

에 테잎을 붙임으로써 오차를 줄인다.
② 저울의 수평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였다. → 저울은 작은 바람이나 진동에도 수평을 이루지 못 한다. 이를 잘 보정해주어야 한다.
③ 고무재료를 압착함으로써 하중을 더 가하고, 오차율을 최소로 만들었다.
④ 체에 묻은 물을 제대로 닦지 못했다. → 중량을 재는 것에도 오차의 원인이 되었고, 체분석을 하면서 물 때문에 흙 입자가 덩어리졌다.
⑤ 체분석을 원래 10분 해야했지만, 5분만 진동기로 흙을 분리했다. 작은 입자가 큰 입자위에 있어 분리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도분포 곡선을 구함으로써 을 구해보고, 균등계수와 곡률계수 를 구함으로써 시료 흙에 대한 입도분포의 균등여부와 입도분포의 양호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다.
4 <=8.57 < 10 , 1 <=1.05 < 3
이 시료는 양입도이며, 입도분포가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통일 분류법으로 이 시료를 분류하면 → SW. 입도분포 양호한 모래 또는 자갈 섞인 모래
라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흙의 입경과 분포를 알아내서 흙을 분류하고, 공학적인 성질을 파악할 수 있었다. 흙을 토목재료로 사용하는 구조물의 경우 흙 입자의 크기와 분류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한다. 직접 흙을 분류해보는 중요한 실험이었다.
※ 200번체를 통과한 미세한 입자들이 많으면 그 흙의 입도분포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체분석만으로는 부족하다. 이때에는 다른 실험으로 입자의 크기와 성질을 알아낼 수 있다. 대체로 비중계실험을 한다.
비중계 분석
No.10체(2mm를 통과한 흙의 입도분석은 정수 중에서 흙입자가 침강할 때 침각속도가 입경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는 원리에 근거를 둔 것이다.
No.200번체(0.075mm)를 통과한 시료는 순수비중계 분석을 한다.
주로 체분석이 조립토를 분류할 때 쓰는 방법이라면 비중계실험은 주로 세립토를 분류할 때 이용한다.
Stokes 법칙
각 입자들을 구라고 가정할 때 흙 입자의 침강속도(v, cm/s)
여기서 침강속도 , = 흙입자의 밀도, = 물의 밀도, = 물의 점성계수,
D = 흙입자의 직경
적용범위 : 입경의 적용범위는 0.0002~0.2mm이다.
입경이 0.2mm이상이면 침강시 교란된다.
입경이 0.002mm이하이면 브라운(Brown)현상이 생긴다.
6) 참고문헌
「토질역학」, 박영태 편저, 한국고시회
「토질역학의 원리」, 이인모, 도서출판 새론
「토질역학 - 이론과 응용」, 김상규, 청문각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1.28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0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