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도시공동체 운동의 다양성과 활성화 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1) 보편 지향의 공동체론
2) 반자유주의적 공동체론

2. 도시공동체의 새로운 이해
2.1 도시공동체의 특성
2.2 도시 공동체의 본질
2.3 도시공동체의 탈근대적 조건

3. 도시공동체 운동의 역할과 다양화
3.1 지역사회발전과 도시공동체운동의 역할
3.2 도시공동체 운동의 다양화
(1) 주거 공동체운동
(2) 환경공동체운동
(3) 경제공동체운동
(4) 문화공동체운동
(5) 자치공동체운동

4. 도시공동체운동의 평가
4.1 도시공동체운동의 성격규정
4.2 도시공동체운동의 성과와 한계

5.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결코 평가절하될 수 없다. 성공적인 공동체운동은 해당 지역사회가 당면한 문제(예, 재개발, 교통혼잡)를 함께 해결하고 대처하는 주민의식을 자극하면서 주민들의 높은 참여를 이끌어 내는 가운데 구현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전개된 공동체운동은 대개가 그들의 지역사회를 '살아있고 실천하는 공동체', 즉 '액티브 콤뮤니티(active community)로 만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참여와 실천의 강도가 어느 정도 지속되느냐 하는 것은 분명 별개의 것이다. 운동의 명확한 쟁점과 목표가 사라지고 무료한 일상적인 생활관계를 반복하는 상황에서 공동체운동이 지속되려면 시민들의 내면화된 시민적 실천의식과 진정한 공동체적 의식이 있어야 하겠지만, 이 부분에서 우리의 도시사회 여건은 결코 긍정적이지 못하다. 역설적으로 이러한 현실이 다시금 공동체운동의 활성화를 필요로 하는 조건이 된다.
5. 맺음말
이 글은 도시공동체의 의미와 역할을 재해석하면서 한국의 도시공동체 출현을 가능케 하는 도시공동체운동을 살펴보았다. 도시공동체의 출현은 우리의 도시가 이젠 주인을 갖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런 점에서 공동체운동은 시민이 도시의 진정한 주인이 되고 또한 도시를 그들이 원하는 삶의 터전으로 바꾸어 가는 것을 약속해준다. 하지만 성숙하지 못한 시민사회적 의식과 관계로 인해 우리의 공동체운동은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것만 아니며, 그런 만큼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토대로 공동체 형성은 여전히 멀게만 느껴질 수 있다. 도시공동체의 본질은 공동체적 자치를 구현하는 데 있다. 따라서 공동체운동의 활성화를 통해 도시사회의 통합성과 지속가능성을 모색하면서 궁극적으로 도시가 정의가 구현되는 장이 되도록 만드는 것은 우리 모두가 담당해야 할 실천의 몫이다.
<<참고문헌>>
김두환, 정병순, 2000, '대안적 지역발전의 기제로서 결사체 통치체제', 2000 한국공간환경학회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설한, 2000, '공동체주의: 협동, 책임, 참여의 정치사회학', 한국도시연구소 주관 <<도시공동체운동의 현황과 전망>> 주제발표논문 (2000.12.1).
박호강, 1983, '유토피아적 도시계획에 있어서 공동체의 이상과 실제', <<한국사회학>>, 제 18권.
안승국, 1997, '결사체적 민주주의와 정치공동체', <<한국정치학회보>>, 제 31 권 3호.
아모스, H. 홀리 지음, 홍동식 외 옮김, 1995, <<인간생태학: 지역공동체 이론>>, 서울: 일지사.
양병이, 2000, '생태마을조성을 위한 환경계획 및 설계', 이병철외, <<생태마을 길잡이>>, 서울: 녹색연합.
이원규, 2000, '진정한 나눔을 위한 생태적 대안 경제 시스템', <<환경과 생명>>, 가을호(통권 25호).
이창우, 2000, '사람과 공동체를 살리는 지역화폐', 이병철 외, <<생태마을 길잡이>>, 서울: 녹색연합.
조명래, 1997a, '근대성, 도시, 도시론', <<한국사회학>>, 제 31 집.
------, 1997b, '생태자치구 모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개발학회지>>, 제 22 집 2 호.
------, 19998, 'NGO의 입장을 통해 본 영국의 그린벨트 제도', <<도시연구>>, 제 4 호.
------, 1999a, '지역사회발전과 CBO의 역할', <<자치행정>>, 6월호.
------, 1999b, '도시공동체의 이해와 필요성', <<걷고 싶은 도시>>, 11월호.
------, 1999c, '한국지방자치에서 주민참여의 한계와 활성화방안', <<지방자치>>, 10월호.
------, 1999d, <<포스트포디즘과 현대사회위기>>, 서울: 다락방.
------, 1999e, '문화경제화와 문화도시계획', 한국도시연구소 1999년 연례심포지엄 발표논문.
최병두, 1999, '도시공동체의 복원을 위한 아파트 주민운동', 한국도시연구소 1999 연례심포지엄 발표논문.
피터 홀(Peter Hall)지음, 임창호 옮김, 2000, <<내일의 도시: 20세기 도시계획지성사>>, 서울: 한울.
한국도시연구소, 1996, <<인간주의 도시론>>.
한국도시연구소, 1997, <<우리마을, 들여다보기>>
한국도시연구소, 1999, <<도시에서 지역환경공동체만들기 조사연구>>.
Castells, M., 1997, Power of Identity, Oxford: Blackwell.
Cho, M. R., 1998, 'Progressive community movement in Seoul',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vol.2.
Cho, M.R., 1999, 'Flexible sociality and the postmodernity of Seoul', Korea Journal (by Korea Commission for UNESCO), vol.39 no.3.
Hall, P. and Ward, C., 1998, Social Cities: the Legacy of Ebenezer Howard, Chichester: John Wilely & Sons.
Howard, E., 1997, Garden Cities of Tomorrow, Wilshire,: Attic Books.
Marx, K. and Engels, F., 1970, The German Ideology, 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Savage, M and Warde, A., 1993, Urban Sociology, Capitalism and Modernity, London: The Macmillan Press.
Saunders, Peter, 1989, Social Theory and the Urban Question, London: Hutchinson.
Short, J., 1991, The Humane City, Oxford: Basil Blackwell Ltd..
Simmel, G., 1994, 'The Metropolis and Mental Life', in K. Wolff, ed., The Sociology of Georg Simmel, New York: Free Press.
  • 가격2,9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7.01.30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1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