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오염의 상세분석과 다각적 대책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양오염의 상세분석과 다각적 대책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해역의 일반현황
2. 해양환경보전의 여건변화

Ⅱ. 자연현상에 의한 해양 변이
1. 해양-대기 시스템
2. 해양 재해
3. 대기권에서의 순환
4. 해양과 해안지역
5. 해류와 해파
6. 해안침식과 퇴적물 이동
7. 해안침식에 대한 대응
8. 해안침식에 대한 논란
9. 기상이변 (엘니뇨Ei-Nino, 라니냐La Nina, 라마마La Mama)

Ⅲ. 해양환경의 오염
1. 해양오염의 원인 물질
2. 해양오염물의 유형
3. 해양오염 실태

Ⅳ. 해양오염방지대책
1. 해역별 수질관리 및 해양환경측정망 운영
2. 폐기물 해양배출 관리
3.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Ⅴ. 해양환경보전대책
1. 해양환경보전 인식의 제고
2. 연안 통합관리 역량 강화 추진
3. 육상기인 오염원의 해양유입 방지
4. 환경관리해역 지정 및 관리 강화
5. 연안정화사업 추진
6. 적조방제대책 추진
7. 해양오염사고 방제기능 강화

Ⅵ. 해양생태계 보전대책
1. 해양생태계 현황
2. 해양생태계 현황조사
3. 해양생태계의 보전.관리

본문내용

바다흐름을 통한 해양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따라서 조개류로 대표되는 여과식자(濾過食者:filter feeder)의 주요 서식지이며, 많은 물고기의 산란장(産卵場:hatching ground) 및 성육장(成育場:nursery ground)으로서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미생물의 작용으로 오염물질의 줄이기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환경정화기능을 지니는 동시에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생태계이다. 이외에도 바다로부터 육지를 보호하는 물리적 완충기능이나 환경교육의 장으로 이용되는 아주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렇게 다양한 해양생태계에는 각각의 환경조건에 적응한 많은 종류의 해양생물이 살아가고 있다.
2. 해양생태계 현황조사
해양생태계조사는 해양환경측정망 운용을 통한 해양환경의 파악과 해양환경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자연 환경보전법”에 의거하여 해양수산부에서는 해양생태계에 대한 조사를 매 5년 마다 전국적으로 실시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전국적인 생태계조사를 토대로 해양환경보전을 위한 기본계획이 수립추진된다. 이에 따라 1997년부터 제2차 전국환경생태계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전국연안의 생태계조사를 실시(환경부)하고 있으나 해양생태계에 대한 전면조사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따라서,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해 해양수산부는 습지보전법을 제정하여 습지의 효율적인 보전 및 이용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고, 1999년 전국 갯벌에 대하여 갯벌 생태계 조사를 착수하여 2005년 완료 하고, 조사결과를 토대로 갯벌생물상 목록을 작성하고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에 대하여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보전시설의 설치 및 지역민 소득증대 방안 마련 등 습지보호지역 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보전전략을 수립시행함으로써 갯벌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고 있음.
더불어 2005년부터 전국 해양에 대한 (갯벌지역 제외) 생태계 기초조사를 착수하여 해안해양 및 도서인근 해역의 생물 분포상태 및 기초 해저지형, 지질, 해양식생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2011년 완료하고 해양생태도를 작성할 계획이다.
또한, 반폐쇄성 해역의 특성을 지닌 황해에 대하여 생태계 조사와 그 보전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황해 광역생태계사업(한중 공동사업)을 2001년도부터 추진하고 있다.
3. 해양생태계의 보전. 관리
해양에서의 무분별한 개발행위와 해양생물의 남획(濫獲)으로 인한 해양생태계의 훼손 및 해양생물자원의 감소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바, 해양수산부는 해양생태계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하여「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2006년 동법의 시행에 따라 해양생태계에 대한 체계적인 보존보호복원정책의 수립시행이 가능하게 되고, 산업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수산동식물을 중심으로 관리되던 기존 정책을 개선하여 “생태계기반의 해양생물자원 관리정책”의 추진이 가능하게 된다.
해양수산부는 동법에 따라 해양의 특성에 맞는 “해양생태계 보전관리기본계획”을 수립함으로써 해양생태계 및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체계적인 보전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해양수산부는 해양생태계에 대한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조사 실시, 보호대상해양생물의 지정관리, 해양보호구역의 지정관리, 회유성 해양생물 및 해양포유동물의 보호, 해양경관 등 해양자산의 관리 등의 세부정책을 통해 과도한 각종 해양의 개발이용에 따른 해양생태계의 훼손을 방지하고, 지속가능한 해양생태계의 이용정책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Ⅶ. 결 론 - 해양오염 방지대책 -
강과 바다가 녹조와 적조에 뒤덮여 신음하고 있다. 지난 6월말춘천 의암호에서 시작된 녹조현상이 경남 밀양댐, 경북 안동댐으로 번지더니 최근에는 김해 서 낙동강과 춘천 소양댐, 충남 서산 담수호 등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어물고기 및 수중생물 폐사 등 생태계 교란과 상수원 오염이 우려된다. 하천들이 이렇듯 초록색 물감을 풀어놓은 것처럼 녹색으로 변하는가 하면 바다는 붉게 변해 적조주의보가 발령된 남해안 일대에서는 어민들이 양식장 물고기 폐사를 막기 위해 `적조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고 한다. 이 같은 녹조. 적조 현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해마다 늦은 봄부터 초가을까지 되풀이되고 있는데 언제까지고 무더위가 가져 수온이 떨어지면서 자연히 수그러들기만 기다리고 있을 것인가.
물속에 유기물질인 질소와 인이 늘어나면서 식물성 플랑크톤이 이상 번식 하여 물이 녹색으로 변하는 녹조현상이나 붉은 색으로 변하는 적조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은 강물과 바닷물이 부(富)영양화로 썩어 감을 말한다. 상수원이 위협을 받게 되는 녹조현상이나 물고기들을 떼죽음시키는 적조현상은 모두 환경오염이 가져온 결과들이다. 산업폐기물에서부터 온갖 생활쓰레기 등 부유쓰레기가 하천을 더럽히고 이 더럽혀진 강물이 다시 바다로 흘러들어가 바닷물을 더럽히면서 생겨난 것이다. 적조의 경우 8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지난 1995년에는 남해안 양식어민들의 피해가 764억 원 상당에 달했다는데 당국은 계속 이렇게 방치만 할 것인가. 적조가 발생하면 주의보를 발령하고 발생지역에 황토를 뿌리는 등의 미봉책으로 일관하기보다는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근본적인 대책이란 사후 약방문 식의 환경오염 대책보다는 예방 차원의 환경정책을 말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바다가 국토면적의 4.5배에 이르는 해양국가인 만큼 다른 자연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오염된 바다의 오염을 예방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모든 환경오염이 다 그러하지만 해양오염은 일단 발생하면 제거하는데 많은 경비와 시간이 들기 때문에 사후처리보다는 사전예방이 훨씬 경제적이라고 전문가들도 입을 모아 말하지 않는가. 정부는 실효를 거둘 수 있는 녹조방지 대책 추진과 함께 환경재앙의 성격을 띠고 있는 적조예방을 위해 대대적인 해양환경정책을 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국민들도 녹조나 적조를 우리 생활환경에 대한 위험신호로 받아들이고 스스로 환경보호에 나서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우리의 다음 세대가 물려받을 땅과 강과 바다를 이토록 더럽혀서야 되겠는가.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7.02.13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4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