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엔터테이먼트의 해외진출 성공 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SM 엔터테인먼트 조직
* BCG 매트릭스 분석
2. SM 엔터테인먼트의 일본 진출
A. 일본시장분석 - 일본시장의 특징
B. 시장 선택
C. 진입방법
D. 제품 전략(보아)
E. 촉진 전략
F. 유통전략
G. 성과
3. SM ENTERTAINMENT의 중국 시장 진출
A. 중국 시장 분석
B. 시장 선택
C. 진입방법
D. 제품전략(동방신기)
E. 촉진전략
F. 유통전략
G. 성과
H. SM의 최종적인 목표

결 론

본문내용

주문이 밀리는 등 좋은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3) 전략적 제휴와 미디어 프로그램 제작
보아의 일본진출 당시 일본의 연예기획사 에이벡스와 제휴를 맺었던 것처럼 SM은 해외 기획사들과의 전략적인 협조를 해외시장 공략에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다. 동방신기의 경우 중국 진출을 위해 홍콩의 HAN 엔터네인먼트와 계약을 맺어 ‘H.O.T ASIA'라는 제목의 미디어 프로그램을 공동제작하기로 했다. ‘H.O.T ASIA'는 중국 전역에 방송될 미디어 프로그램으로 미국에서 방영됐던 ’American Idol'과 같은 스타 발굴 리얼리티 쇼다. ‘H.O.T ASIA'는 궁극적으로 남녀 각 1명씩을 뽑을 예정이며 발굴된 중국인 남자 스타는 동방신기의 새 멤버로, 여자는 현재 SM에서 기획중인 새 여성 그룹 ’천상지희‘의 멤버로 발탁된다.
SM은 이 프로그램을 통한 중국인 멤버 투입이 “기존의 동방신기의 인기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즉, 중국인 멤버 투입은 동방신기의 중국시장으로의 성공적 진출을 위한 포석이다. SM은 스타들과 함께 SM이라는 기획사 자체도 중국에서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H.O.T ASIA'는 중국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이며, 동방신기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도 급격하게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E. 촉진전략
① 2000년 이후 매해 소속 가수들의 대형 콘서트 개최
a. HOT단독 콘서트
HOT는 2000년 중국 베이징 공인실내체육관에서 대규모 단독 콘서트를 열었는데, 한중 수교 이후 단독 콘서트로는 처음, 중국 문화부 허가를 받아 열린 것으로 클론의 공연에 이은 두 번째 무대였다. 이벤트 단체인 ‘중국 문화 예술 유한 공사’와 한국의 우전소프트가 공동주최하고, 한국 대중문화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 문화 관광부와 ‘주중 한국 대사관’이 후원한 이 공연은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중앙 북경시 위원회’의 기관지, ‘북경 청년보’‘북경신보’에 의해 비중있게 다뤄졌다.
② 온라인
‘SM Entertainment 라이브 인 차이나‘ 콘서트 실시간 인터넷 생중계
www.smtown.com
- homepage를 통한 Artist, 발매 음반의 온라인 홍보, 마케팅
- 온라인 캐스팅 시스템
www.FandangoKorea.com
- 'SM Entertainment' 이 보유한 문화 컨텐츠를 Mobile, ARS, 컬러링 등의 엔 터테인먼트 디지털 컨텐츠로 다시 제작
F. 유통전략
‘SM 엔터테인먼트’ 측에서의 전략이 뚜렷이 있었다기보다, 앞서 진입방법에서 언급했듯이 대만의 록 레코드사, 우전 소프트의 김윤호 사장의 역할이 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중국 시장 내 불법 유통으로 인해 일개 회사가 확실한 유통망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그러나 중국 정부차원에서 불법 음반 소탕작전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SM 엔터테인먼트’ 도 유통전략을 잘 활용하여 지금보다 나은 수익구조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G. 성과
동방신기는 SM의 캐스팅 시스템을 통해 올라온 후보 중 최고의 인재만을 모아 오랜 기간의 투자를 통해 만들어진 그룹이다. SM의 투자가 많았던 만큼 동방신기는 1년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가시적인 성장을 하였다. 불황 속의 음반시장에서 1년간 싱글 앨범 2장과 정규앨범 1장, 그리고 크리스마스 캐롤 앨범을 발매하여 총 68만 9.044장의 판매고를 올렸다. 또한 MBC 10대 가수상, 삼성전자 MP3광고 등 5개 CF에 출연하여 총 22억원의 광소 수익을 올렸다.
해외에서는 11월 대만에서 정규 1집 앨범 발매와 동시에 대만 최고 음반 판매순위 차트인 ‘G-MUSIC 펑윈방 아시아 차트’ 1위에 올랐으며, 세계 인기가수 명단인 ‘2004 HIT FM 통합차트 100’에 한국 남자 가수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려 최고의 한류스타로 떠올랐다.
곧 중국에서 발매될 예정인 앨범은 신인으로서는 파격적인 선주문량인 10만장을 제시 받았으며. 일본에서는 발매되기 전부터 일본 최대 음반사이트 HMV에서 예약주문 순위 5위에 오르기도 하였다.
H. SM의 최종적인 목표
SM의 최종적인 목표는 할리우드에 아시아 에이전시를 세우는 것이다. 전초작업으로 SM은 2002년 5월 일본, 중국, 홍콩 등 아시아 엔터테인먼트의 대표적 회사들과 함께 SMAA(SM Asia Agency)를 설립했다. SM이 궁극적으로 토털 미디어그룹을 지향하고 있다. 가수, 배우의 매니지먼트뿐 아니라 음반회사,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사까지 아우르는 회사로 커나가겠다는 것이다. 이수만씨는 “아시아 각국의 대표적인 연예 기획사가 동참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며 “2년 안에 할리우드에 아시아 에이전시를 세우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결 론
HOT, SES, 보아, 신화 등 국내의 대형스타를 키워낸 SM은 한국 최초로 스타 캐스팅과 매니지먼트를 체계적이고도 합리적인 시스템으로 정착시켰고 지금도 연예계에서 가장 큰 연예기획사 중 하나로 수많은 스타를 배출해내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동방신기는 SM이 직접 드림팀이라고 부르며, 한국이 아닌 아시아의 스타로 키우는 것이 목표라고 밝힐 정도로 적극적인 투자를 받고 있고 그 기대에 발맞추어 가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동방신기가 또 한번 보아와 같은 성공 케이스가 될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 보아가 일본에 초점을 맞추어 발굴된 반면, 동방신기는 중화권 공략의 색채가 진하다. 일본에서의 활동도 동시에 하고 있지만 브랜딩이나 중국어 앨범 발표, 중국 기획사와의 제휴 등으로 미루어보아 동방신기는 중화권에 초점을 둔 그룹이다. 일본은 이미 성숙한 음반 시장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반하여 중국의 음반시장은 아직 미성숙된 상태이며 엄청난 성장 잠재력이라는 장점과 함께 불법음판 판매라는 단점도 같이 갖추고 있다.
과연 시장의 잠재력이 동방신기의 실제적인 수익으로 전환 될 수 있을 지, 그리고 중화권 시장 공략을 위한 동방신기의 전략이 중화권 대중과 국내 팬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을지가 과제이다. 앞으로 동방신기가 또 하나의 한류스타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신선하고 창의적인 전략을 통해 진정한 아시아 대표 대중스타로 발돋움하면 좋겠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2.14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47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